경제 사문고수분들 이거 가능?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30668
그 우영호쌤 코어 자료분석 특강에 보면
실질cdp증가율 +물가상승률 하면 명목gdp증가율 나오잖음
그럼 이거 똑같이 사문 도표 유부노파트에 유소년 부양비 뭐 이런거에 적용이 가능함???
적중예감 풀다가 혹시 되나 싶어서 해봤는데 될거같아서 질문드립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케인인님 한판해요~ 2 0
노안이 와 눈이 잘 안보이는 나
-
휴 1 0
아침 8시에 독서실 와서 계속 공부하다가 중간에 30분 동안 밥 먹고 다시 공부...
-
이해원이 진화하면? 2 3
오해원 옯하하하하하하하하
-
너무나도 충격적인 영화를 봤음 0 0
갑툭튀 1번 나온뒤로도 ㅈㄴ 스릴넘치네 마지막 대사는 진짜 ㅈㄴ 기괴하고 공포스럽네요
-
음음 좋아좋아
-
용기가 생겼어요 1 1
-
이거보고쓰는 초4때 담임썰 2 0
https://orbi.kr/00074838113 나 초4때 점심시간에 같은 반...
-
학교가서 강x 두탕 뛰어야지 2 0
3시간 넘는 시간이 체감상 30분이 되는 마술
-
강민철… 0 0
강평업은 끝나지도 않았고 우기분은 이제 시작했고 강e분 n제 시즌2 나오는거임?
-
어쩌지.. 0 0
밤새야하나... 원래 5시 반에 일어나는데 토욜에 아침 6시에 자버려서 패턴...
-
순대에 쌈장같은 소리하네 0 0
그냥 당면순대는 거들떠도 안보는 샠기
-
ㅅㅂ 카페에서 2 0
ㅈ반고 교복 입고 씹덕 아이돌 노래 듣고 오르비 보면서 실모 플고 있다가 같은 학교...
-
등원 2 0
점심 맛있게 드시고 화이팅입니다
-
. 0 2
-
사설 비문학 ㅈㄴ틀리는데 1 0
이감 시즌 6 1~3회차까진 ㄱㅊ았는데 4~6회차부터 독서 3개는 틀림; 어느순간...
-
9모 88점 (22 28 29계산실수) 9덮 84 (15 28 29 30)점인데...
-
하나도못풀ㅇ 2 0
ㄹㅇ
-
음음 옳게 된 처사 해촉을 모를 수... 있나?
-
신에 대해 1 0
제1원인은 비결정론적이다 제1원인은 수학/논리를 포함한다 제1원인은 자유의지를...
뭔말임? 설명좀해보삼
저는경제안해서
분모 증가율(실질gdp)에 분수 자체 증가율(물가상승률)을 더하면 분수 증가율(명목gdp)이 나오는데
이걸 똑같이 유소년 증가율 구할때 부양인구 증가율 알고 유소년 부양비 증가율 알면 유소년 증가율 알수 있을까? 라는 의문임
알수있을거같음
근데 증명은 못하겠네...
근데 경제 그 공식이 근삿값이라 사문은 그냥 원래 방법대로 푸는 게 낫지 않을까요 괜히 선지 헷갈릴 수도 있을 것 같음
윗댓 언급처럼 굳이 이 방법을 써서 사문 유부노 문제를 풀어야 할까 싶긴 한데(유부노 문제는 줄 수 있는 자료가 그때그때 너무 다양하게 달라져서요) 일단 결론은 내 드리겠습니다. 가능합니다.
편의상 명G를 N, 실G를 R, 물가지수를 D로 쓰겠습니다.
D = N/R 이므로, 양변에 실G를 곱해
N = R x D라는 식을 얻습니다.
이제 N, R, D가 모두 시간(t)에 대한 미분가능한 함수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세 지표는 정의상 0 이상일 수밖에 없으므로 위의 식에는 자연로그를 취할 수 있습니다.
ln(N) = ln(R) + ln(D)
초월함수의 미분법에 의하여 양변을 시간에 대하여 미분하면
dN/N = dR/R + dD/D (단, dx는 x의 t에 대한 미분량)
t에 대한 연속함수 x에 대하여 dx/x는 x의 변화율을 의미하므로
N 변화율 = R 변화율 + D 변화율
평가원에서 주는 자료 속 지표가 시간에 대한 미분가능한 함수가 아니므로 자연로그를 씌운 뒤 미분하고 나기 전과 후의 식이 서로 다른 정보를 말할 수 있긴 합니다만 근삿값의 관점에서 보면 충분히 써먹을 만한 방법이 됩니다. 문제는 경제의 경우 변화 비율이 많아봤자 +-5%p 범위 내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근삿값을 써도 하등 문제가 없지만 사문은 변화 비율이 50%를 넘나든다는 것이지요.
경제에서 실G 증가율이 2%이고 물가지수 증가율이 1%라고 했을 때 위의 방법으로 구한 명G 증가율이 3%(실제로는 3.02%)인 것과 달리, 사문에서는 부양인구 증가율이 20%이고 유소년 부양비 증가율이 50%라고 했을 때 유소년 인구 증가율의 근삿값(70%)과 실제값(80%)이 상당히 차이납니다.
그리고 사문은 경제 인플레이션 문제에 비해 정확한 값을 물어보는 상황이 너무 많습니다. 대소 비교를 위해 근사만 벅벅 사용하는 경제와는 환경이 아예 다른 겁니다. 그래서 위 방법은 알고는 있되 경제 공부할 때나 쓰지 사문에서는 안 쓰는 게 낫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