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 고트들 롤스 질문 ㄱ,ㅂ해요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30041
롤스는 현실 사회에서 우연성이 최소 수혜자 이득 보장이면 그럴 수 있다고 하자나여,
근데 우연성에 따른 분배 자체가 부정의 하다고 할 순 있나요?
글구 "롤스와 노직은 모두 불평등을 허용하지만, 롤스는 결과적 정당화, 노직은 절차적 정당화로 접근했다"
요거는 어떻게 보면 될 까요? 차등의 원칙으로 결과적 정당화 인 동시에 절차적 정의인 것인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다음주부터 다시 달려보자구나..
-
ㅈㄴ 행복함…. 원래 내 톡 보내고 상대방이 보내야 내 톡의 1이 사라지는데 내...
-
투과목의긍지를지켯을때로돌아가고시프네...
-
9덮 기하 후기 8
95분소요 22틀 96 기하쉬웠슨
-
알려주면 수능 대박침
-
오늘병원가기귀찮은데
-
강k 23회 3
미적 현장응시 88(11,12,21 틀 찍맞 x) 11,12 계산 실수로 나갔고...
-
시험지 가져갈 수 있게 해주나요?
-
9덮 국어를 풀엇따 10
70min 92 2번 8번 17번 틀 흠…
-
ㅇㅂㄱ 0
-
11시에 끝난다는데 2학기 중간고사?이건무ㅜ냐? 걍좋은거겟지?ㅎㅎ;
-
ㄹㅈㄷ
-
오해원 옯하하하하하하하하
-
ㅠ///ㅠ
-
다들 풀어보시길
-
내가이해원을맞혔다곸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ㄴㄴㄴㄴㄴㄴ 4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ㅅㅅ
-
잘못된 모양입니다... x=1이 변곡점 기준으로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그리고...
-
서바 16회 9
92 22 30틀 22 어캐하는데
-
기출에 대하여 0
국어 기출은 파이널(현재)되면 다시 회귀하는데 수학도 그래야 할까요?
-
이정도 문제수로 3만5천원을 먹노
-
일단 육수는 글러먹은거같고 이페이스그대로 칠수ㄱㄱ....
-
이해원 또 맞혀버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ㄹㅈㄷ 내가너무좋다사랑해용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
대학은 전문직으로 바로 연계되는 과 안됨 (메디컬같은거)
-
첨엔 잘내더니 4회 문학에 또 ㅈ같은 주관해석으로 쳐 도배해놨노 국바랑 역체감 ㅈ됨
-
요즘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었는데 위로가 되네요 5년 째 쓴소리 한 마디 안하시고...
-
자짤테스트 5
네
-
등원 0
비가 마니 오네,,
-
초딩때는 영재교육원에 가라고 엄마가 시켜서 학교 생활 열심히 했고 중딩때는 특목...
-
슨상이 숙제 안해오거나 즈그 말 안들으면 나오게 해서 종아리 회초리로 걍 ㅈㄴ 후드려팸
-
다담 현역때랑 재수때 풀었는데 별로 남은게 없음.. 걍 다 죽은 지식 느낌인데...
-
https://orbi.kr/00074838113 나 초4때 점심시간에 같은 반...
-
듀 14
배고파.. 짜파게티 세개만 끓여야지...
-
3시간 넘는 시간이 체감상 30분이 되는 마술
-
강k 23회 5
88 엉엉 요즘 왜 이리 말리냐..
-
명문대생이 좋다 6
빡통인 나도 이해를 시켜주는 마법을 부려줌,,
-
왜 1시간전에 일어낫는대 아직도 안갓냐는 나쁜말은 ㄴㄴ.
-
사탐이 만점이면 갈 대학이있지만 국수를 조금 잘보고 사탐을 망치면 갈 대학이 없다
-
돌아왔습니다. 67
안녕하세요 국일만 2.0 / 혜윰 모의고사 대표 저자 코기토입니다
-
ㅅㅂ 카페에서 2
ㅈ반고 교복 입고 씹덕 아이돌 노래 듣고 오르비 보면서 실모 플고 있다가 같은 학교...
-
문학 공부법좀 3
예전엔 독서를 많이 틀렷는데메요즘엔 걍 문학을 우수수 틀림 문학황들 알려주세요ㅜㅜ
-
저번에 가방 샀는데 개별로엿고 옷 사고 싶은데 예쁜거 자꾸 뜨길래... 참고만 해야됨?
-
69평 22 28 30틀 88점입니다 실모+하프모+미적 엔제 이렇게만 해도...
-
뉴련+ 수분감 끝내긴 했는데 기출 함 더 돌리게요. 승효쌤 어떤강의가 적합한가욘
-
수능 수학 번호 1
9모 때 4가 떠버려서 기출 문제집만 제대러 하고 가자 하는 심정으로 기출 풀이하고...
-
사문이랑 한지 영어 를 자이, 마터텅 3회독했고(평가원 기출 포함) 이제 N제...
-
시험은 버리던데 여고라 분위기땜인가
-
하나도못풀ㅇ 2
ㄹㅇ
-
이해원 푸는데 0
성질이 드러워진,ㄴ기분이야
-
음음 옳게 된 처사 해촉을 모를 수... 있나?
1. 우연성에 따른 분배가 이루어지는 대상인 선천적인 능력, 사회적 지위(금수저 흙수저) 그 자체는 부정의하지 않지만 그 분포가 부정의 한 것인데 그 이유가 그것을 원래 공동의 소유로 보기 때문인걸로 알고 있어요. 그러니까 그것에 대한 도덕적 응분의 ‘자격’이 없는 것이구요
2. 롤스와 노직 모두 절차적 정의에 대해서 말하는데 둘 다 절차가 정의로우면 결과도 정의롭다에 입각했잖아요. 근데 롤스의 경우 그 절차가 원초적 입장에서 정의된 정의의 원칙에 입각하는 것인데 정의의 원칙 중 차등의 원칙이 ‘최소수혜자에게 최대 혜택’ 이기 때문에 결과적 정당화로 볼 수 있죠..! 반면 노직은 소유물의 정당한 취득과 이전이 만족 된다면 그것이 정의롭다고 보았으니 절차적 정당화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둘다 제가 공부한 내용 바탕으로 해서 정확하진 않을 수 있어요!!
제가 틀린거 있으면 알려주세요!!
감삼다!
[우연성에 따른 분배]라는 것 자체가 최소 수혜자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최소 수혜자는 대체로 낮은 자연적 및 사회적 우연성을 타고나는데(누가 최소 수혜자로 타고날지는 전적으로 우연에 달려 있으니까요), [우연성에 따라 분배한다]는 것의 의미는 “좋은 운을 타고난 사람에게만 소득을 더 많이 분배하고, 좋지 않은 운을 타고난 사람에게는 소득을 적게 배분하겠다”라는 요지이니까요.
그러므로 정의의 원칙은 오히려 최소 수혜자의 입장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서 분배를 시행해야 하고, 이렇게 하면 우연성에 따라 분배하는 것이 아니라, 우연성의 영향을 완화하도록 분배하는 것이 됩니다.
즉 애초부터 [우연성에 따라 분배]하는 것과 [최소 수혜자에게 이익이 되도록 분배]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상충되는 명제입니다.
+ “결과적 정당화”, “절차적 정당화”로 굳이 나눌 필요가 없습니다. 애초에 두 사상가 모두 절차가 올바른 것으로 검증되면 결과도 올바른 것으로 검증한다는 절차적 정의를 내포하고 있으니까요.
즉 어떠한 결과가 정당화되기 위한 판단 기준이 절차에 있다는 것인데, 이것은 올해 9평 생윤 11번에 출제된 표현이기도 합니다. 이 정도로 이해하시면 충분합니다.
이러한 측면에서 롤스는 ‘분배 결과’를 ‘분배 절차’와 별도로 독립시킬 수 없다고 주장하고, 그러므로 올바른 분배 결과에 대한 [독립적 기준]은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지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