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사문황님 질문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29146
롤스가 절차적 공정을 주장할때 만장일치적 동의를 근거로 들면서
무지의 베일을 주장하는데
결국 무지의 베일하에서 1,2원칙을 만들어도 그때도 만장일치적 동의는 나오지 않을텐데 이러면 자기모순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학년당 80명인 학교에서도 카드는 3장 학년당 400명인 학교에서도 카드는 3장 이거부터 이상함
-
14회차 최지욱 단과응시 수능날에는 상방을 뚫도록 노력해보겠음 보장은 없다는게...
-
9모성적표 2
학교가야댐? 온라인으로 못보나...
-
에 4
에
-
셤 끝나고 5
놀이동산 같이 가자고 하고 싶은데 맘이 있다고 생각하거나 불편할까 싶어서 고민중...
-
현역 9모 ㅇㅈ 4
어디까지 될까요
-
걍 지들맘대로 내면 검토진이 지랄해서 수정하거나 조정하는 시스템이라 이런사단까지 온게아닐까
-
올해 과반수는 확통이다? 올해기준 정상화 = 확통위주로 맞추겠다는 의미임
-
공도 어렵게 그림없이 30번에 출제해줘 수능에서도 30번 공도 ㅈㅂ...
-
또 바로 정상화될것같기도하고..
-
미적 88단 14
장렬히 전사
-
워드마스터 데이 20까지 돌렸으면 슬슬 기출해도 되는 짬인가.. 12
슬슬 문제풀고싶은데 단어몰라서 안풀릴까봐 무떠움.....
-
됐으면좋겟다 그냥 서바 29회 몰래 훔쳐와서 이름만 바꾸고 내다오
-
연논 1-1 4
비요장군이 시민여론 의식한거보고 권력거리가 낮은 사회라고 인식했다 써는데 조졌다
-
점메추 안해주면 게이 25
뭐먹지
-
98 94 2 97 96 아오 만백 터진거 개꼴받네
-
미적 빠지는 것도 오르비 화력으로 어떻게 안되냐 오르비 140만 미적단이 가만히...
-
간쓸개 vs 주간 정석민 주간 정석민은 강k 더프 주요 기출 (리트 사관포함)이긴...
-
ㄹㅇ 꿀인데?
-
ㄱㄱㄱㄱㄱㄱㄱㄱ
-
화작했으면 꼼짝없이 3등급딱 찍을 점수 언매가 멱살잡고 2등급 주차시켜줌
-
답:아니다임 로라시아랑 지엽 그것도 아님 그거 헷갈렸지? 넌틀렸어 최초의 초대륙은...
-
공통 21 22 중 하나 맞추는거랑 뭐가 더 할망함
-
그 어느 성적대에서도 무조건 정배 어느때도 패배한 적 없음 유불리 최소 엄대엄 찬양하라 대 언 매
-
매일매일이 쉽지 않다 ㅠㅠ 이따 또 몇건 뛰어야 됨 ㅠㅠ
-
점심으로 칼국수 4
제가 칼국수를 모르겠어요~¿
-
불공평한데 기분 ㅈ같아서 공부까지안하면 ㅈ되자너
-
88 92 2 50 45 화작 미적 화학 지구 입니다
-
ㄱㄱ...........
-
오히려 인구가 줄었어
-
염병을 해요
-
원점수 98 100 1 50 45 그나저나 학교다니면서 공부하는거 은근 빡세네요..??
-
모르는단어 나왔을때 이게 워마에 있었나 없었나 궁금한데
-
ㅇ
-
개추 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
-
평가원이랑 난도 비슷한 실모 머 있음? 수학 강게이 범모 이런건 딱봐도 뒤1지게...
-
어쩌라고 수능 땐 실수 안 할건데?
-
국어랑 수학 0
하방을 또 뚫어버림 ㅅㅂ
-
나쁘지않음
-
둘이 사진찍엇서요
-
작수 미적2틀이라 고민했는데 6월부터 기하해서 9모 기하다맞음 근데 미적했으면 최소...
-
매일 영어 1~1.5시간 투자할 시간이 나옴 9모 영어 1의 비결
-
나에겐남임 0
에겐남따위 필요 없다는 씹테토 화법 극 중의적 의미
-
그치만... 미적이 재밌는 걸 어떡해... 김범준이 미적을 가르치지 않는 가능세계였다면...
-
설 고 서 성 그 이하 이정도인가
-
많은데 솔직히 시험이 그리 쉽지만은 않았음 그리고 9-> 수능 7천명 늘어난거 다들...
-
수능으로 치면 어느정도임? 불임 평임 물임?
서로 가장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합의한 가장 원초적인 원칙이라서 그럴거에요 당사자들은 이러란 정의의 원칙에 동의하는 것이 자신에게 이익이 된다는 것 알고 있고, 이에 따라 만장일치로 동의하기에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 된다로 알고 있어요 저도 자세히는 모르는데 나름 작수 백분위 100 받았어서 아마 비교적 신빙성 있을거에요
1,2원칙 실행방안임 최소수혜자 이득같은건 무지의 베일해도 만장일치 안될거 같긴함
근데 1,2원칙은 만장일치 나올법도 함
1,2원칙만 만장일치면 되서 그런거 같아요.
맞겠죠?
그런 비판을 당시에도 받은걸로 아는데, 롤스는 “응 가상적 상황인데? 나도 이게 현실적으로 어려울거라는거 알아 ㅇㅇ” 라고 주장합니다.
자기가 자기 주장의 문제점을 알고도 의도적으로 누락한것은 연구 윤리 위반이다(o,x)
o..
깊게 파고들어보자면, 무지의 베일상에서 각자의 사회적 위치, 재능 등을 모르니 보편적으로 수용 가능한 원칙에 대해 합의하게 되는거죠. 또 롤스는 만장일치라는게 현실 사회에서 행해지는게 아니라, 본인이 무지의 베일 이라는 상태는 공정한 절차를 보장하며 이로부터 나온 합의는 만장일치적일 수밖에 없다 라고 주장하기에.. 본인이 그렇게 정의를 내린거니 별수 없죠
무지의 베일안의 개인들은 매우 이성적이고 도덕적이니까 이 개인들은 자신이 최소수혜자가 될 가능성을 고려하니까 만장일치로 1,2원칙이 도출되는 거 아닐까요..?!
“결국 무지의 베일하에서 1,2원칙을 만들어도 그때도 만장일치적 동의는 나오지 않을텐데”
라는 진술의 출처가 따로 있을까요?
모두가 동의할 수 있는 원칙은 맞지요
인간은 위험회피적이라 개인 입장에서 최악의 상황을 상정했을때 최대 이익이 나오는 사회가
자신의 임의적 운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모두가 합의할 수 있는 원칙인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