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심좀 주라 2
외로워죽겠다
-
어차피 카톡을 잘 안 씀
-
먼 밥이 하얀부분이 더 많냐 하
-
3등급이고 처음보는 지문들로 실전처럼 연습하고 싶은데 (한지문 정도 버리고 시간...
-
오르새 기출이랑 김기현 기출생각집 중에 뭐가 나을까요
-
왜 19번 마킹 안돼있지
-
딱 ★나포함 ★내성적 & 내 위까지는 진급 그 밑으로는 유급 우리학교 유급 판독기가 되고싶다
-
중요한거였는데
-
소개팅은 보통 서울까지 올라와서 연고대애들이랑 함?; 아니면걍6년동안연애안함?
-
물2 맨날 4페다맞아놓고 1페틀려서 45점이야
-
이제 중국인과 한국인의 구별이 사라집니다 워씨중궈런
-
하 시발 5
징징이 톤으로 노래부르면서 수학풀고 있었는데 동생 과외선생님 들어옴
-
소신발언 1
수학하기싫음
-
올해 무조건 전문항 5지선다임
-
남서울대
-
지원생각 있는분 있나요
-
위 문항에서 왜 실험법이 쓰였는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실험법은 실헙집단과 통제집단을...
-
이제 더프 보정컷=수능 등급컷이라 생각해도 되지않음? 4
탐구는 여전히 좀 후한 감이 있긴해도 수학이랑 국어는 보정컷이 딱 수능이었을때의 등급컷 같은데
좋죠.
대신 저기에 매몰되어선 안됩니다.
시험장에서 저렇게 쓸 것이 아니니까요
궁금한게 있습니다.
저렇게 사후해설을 직접 쓰고나서
그 지문을 이해하면
나중에 어느 부분이 도움되는건가요
저는 개인적으로 문제를 처음 만났을때
행동강령을 적는편이 좋을 것 같다 생각해서
여쭤봅니다.
지문을 머릿속에 정리하며 가는 연습을 저렇게 반복적으로 명시화해서 가면
언젠가는 머리속에 저렇게 들어가 있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지식의 구조화같다고 해야 할까요....
제가 학생에게 바라는 것은 대충 이런 느낌이랄까...
옹.. 되게 스키마랑 비슷하네여
혹시 사후 해설 할때 스키마 직접 써보는
것도 좋을까요? 늘 머릿속에 그리면서
풀다보니 잘못그리는 것 같기도 해서여..
원준띠 수업을 들어보진 않았으나
그 학파분들께서 주위에 많다보니... 어떤 식으로 수업하시는 지를 대강은 알고는 있습니다. 아마 직접 써보면서 셀프 피드백해보시고 qna에 올려보며 그 과정이 맞는지 확인하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연마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 시점이라면요.
음.. 제 도식이랑 강의 도식이랑 비교하면서
비슷해지게 다듬으라는 거군요..
감사합니다. 독서공부 방향성이 보이네요
지문이 쉬워지는 시점이니 문제 선지 분석을 치밀하게 하시길 바랍니다.... 꼭이요
나쁠거 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