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역차별 오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07196
5번도 맞긴 한데 왜 3번이 틀림?
답 5번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말의 중요성을 참 많이 느낌.. 굳이 라는 생각이 들면 무조건 하지 않기 이런거...
-
유빈+ 집독재하면?
-
노이즈 역확산 과정으로 a.k+1 = 28π/3 - π/5 인걸 파악 해야겠군
-
자라
-
ㅎㅌㅂㅈ<<얘 매x트리 재릅인 거 알고 있긴 했는데 어련히 알아서 처리되겠지 하고...
-
적중예감 파이널 3회 12번 문제 좀 햇갈리는대 봐주세용,,, 3
2번 선지가 정답인데 지문에 B집단은 전체인구의 70%, 즉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
97 97 1 85 98 언미 물지 기준 공대 라인좀
-
만폭동 금강대 진헐대 개심대 화룡소 불정대 산영루 총석정 삼일포 의상대 경포루...
-
걍웃기네
-
나 때는 gs 뉴전주비빔이 900원이었던 것 같은데
-
저는 건강하다가 건강 + 하(동사파생접사) 라고 봤는데 왜 건강하다가 형용사인건가요?
-
카메라덕후있나 2
Canon eos r7 ㄱㅊ? 살려는데
-
이젠 제일싸네..
-
날 속인거니? https://orbi.kr/00074442104
-
음음 믹스커피와 쌍두마차를 이루는 최고의 커피
-
공부에서 벗어난다는 해방감과 그래도 수능 공부라는 안도감 양가적 감정을 불러 일으킴
-
2문제 틀렸는데 1번 5번 틀림 시발
-
습하다 3
날씨때문에 더 피곤함…
-
가족 말고 카톡하는 사람이 없음
백인 아이들이 차별당했다고 볼 수 없지 않을까요? (저는사문해본적없음)
아아니네
우대정책이 아니라서 그런가
그런듯
우대정책 맞지않음?
유색인종 학교에 백인 보내고 백인 학교에 유색인종 보내는 게 왜 우대임
통학시간 길어진 건 소수인종도 해당될 수 잇어서?인가
혹시 어떤실모 몇회차임? 확인해보게
윤성훈 적중예감 시즌프리 파이널 2회
저런 애매한건 수능에서 절대 안나와서 걸러도 될듯?
백인과 소수인종 서로 크로스해서 학교 보내는 거라 역차별아닙니다
이게 이해가 안되는게 버싱정책이 백인들이 유색인종을 차별하니까 시행한 정책 아닙니까 그럼 당연히 유색인종한테 유리한 정책이죠
인종차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지만,
이것은 소수인종을 위한 적극적 우대조치로 볼 수 없잖아요
책직지피가 잘못된건가 역차별 맞다고 하긴 하네요.. 전 아닌거 같긴 한데
역차별의 정의가 ‘소수자를 위한 제도가 오히려 그렇지 않은 뽁으로 차별하게 되는것’인데 제도로 인해 통학 시간이 길어진건 충분히 역차별을 받았다고 허용 가능함. 걍 문제가 애매한건데 확실히 아니라할 근거는 없음.
왜 적극적 우대조치로 볼 수 없어요? 분명히 버싱 정책은 백인이 유색인종을 차별하고 백인들끼리만 시설좋은 학교를 다니니까 이를 막을려고 시행한 제도인데 소수인종에게 더 유리한 제도 아니에요?
흠 생각해보니 적극적 우대조치로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다만 적극적 우대 조치라고 해서 이것이 역차별이냐고 하면 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저는 적극적 우대 조치로 등교시간이 길어진게 역차별로 보이는데 안보이는 이유가 있을까요?
역차별이 되려면 차별당하는 애들을 올려주거나 차별당하지 않는 애들을 내려주는 방식이 있는데 둘중에 해당하는게 어뵤어서 그런가
애초에 버싱이라는 ㅈㄴ 애매한 주제를 가져온게 문제인듯
제 눈엔 역차별로 보이진 않긴 해요..
역차별 기억나는 예시로 미국에서 흑인들 시험 성적 낮아도 대학 합격시켜줬다는게 기억 나는데 저런 예시는 ‘역’차별이라는 거리가 있는듯요
B가 불만을 표출한거만으로 역차별이라고 단정하니까 틀린거같아요
통학시간이 길어졌다고 나와있기도 한데.......
지문에 차별받은 ”사례“가 정확히 나와있으면 역차별이 확실히 맞는데, “불만을 표했다”로 중의적으로 해석될수 있게 만든거 같네요..논란의 여지가 충분히 있죠.
역차별은 부당한 차별을 받는 쪽을 우대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반대편에게 차별이 발생하는 현상인데,
버싱제도로 인해 백인만 등교시간이 늘어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반대편인 백인에게 차별이 발생했다고 보긴 어렵지 않을까요?
물론 좀 애매하다고 생각하긴 해요
그리고 백인 들끼리 시설 좋은 제도 다니니까 막을라고 버싱제도 시행한거 아니냐고 하셨는데, 배경지식이 아니라 지문에 근거한다면
버싱제도는 그런 목적이 아니라, 인종차별 문제를 막기위해 학교를 서로 스위칭 하는거라고 봐야하지 않을까요
저는 유색인종은 안나와 있으니까 저는 백인만 차별받은걸로 간주했죠
소수인종 어린이들은 백인 거주지 소재 학교로,
백인 어린이들은 소수인종 거주지 소자 학교로
배정 받아서,
백인 B가 통학시간이 길어졌다고 나왔으면,
소수인종들도 통학시간이 길어졌다는 정보를 함축하고 있는 거 아닌가요?
너무 극단적인거 같으십니다.
소수인종도 통학 시간이 길어졌다는게요?
농담이긴 한데 그렇게 적용하면 배경지식도 적용될 수도 있을거 같아서요.....
이거 맞는 거 같은데 흑인 입학제도 생각해보면 흑인은 백인 황인보다 높은 점수여도 떨어진다는 일이 없지만 백인 황인은 흑인보다 높아도 떨어지니까 역차별이 확실하지만 저기는 섞인 유색인종 애들도 통학시간이 길어진 애들도 있으니 반대상황도 있기에 역차별이 아닌듯?
배경지식이 아니라 추론 아닐런지...
그렇게 정하면 생각이 한도 끝도 없이 가짐
와 (나)자칫 역차별로도 읽히는데 소수인종애들중에서도 백인지역에 섞인 애들도 B처럼 통학시간이 길어진 애들도 있을테니 각 집단(?)이 같은 고통을 갖기에 역차별이 아닌건가 해설은 뭐라함? 역차별이면 흑인입학제도 생각했을때 그거때문에 점수 더 높은 황인이나 백인이 탈락을 하지만 흑인이 그 제도때문에 백인과 황인보다 높아도 탈락하지 않기에 역차별이 확실한 것처럼 그 반대에서도 발생하는지 생각해보는게 맞는 듯??
답글이 왜 달랄리나 쨌든 애초에 소수인종도 간다는 말이 있어서 그 정도 추론까진 할 수 있다고봄 흑인입학전형도 걍 예시든 것뿐이지 굳이 생각안나도 됨 단지 어려워지고 이렇게까지 안나올듯 역차별 사전에 찾아보니까 반대편이 차별받는다라 적혀있어서 백인만 역으로 피해본다는 아니기에..쨌든 걍 패스하셈~
일단 뭐 이렇게 논쟁이 되는 것만으로도 애매하고 확실하지 않네요
저도 100% 역차별이 아니라고, 그렇다고 100%역차별이라고도 주장하기 힘들다고 생각해요
너무너무 애매모호한 문제니까 글쓴이분의 정신건강과, 수능 성적을 위해 해설지와 해강 참고만 하시고
그냥 넘어가시는 게 베스트일 것 같아요
그게 맞는듯요 차피 수능에서 이렇게 안나올듯요
넵 절대 안나오죠
“사설틱“ 이렇게 생각하시면 될 듯
나도 그거 틀렸는데 ㅋㅋㅋㅋ
같이 잘 섞여서 어울려보자는 취지의 정책(사회 통합)이지 (약자) 우대 정책은 아니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