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즈 지문 이해 안 되는 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00743
애초에 노이즈를 추가하고 다시 제왜를 왜 하나요? 마치 낙서하고 다시 지우는 그런걸 왜 하는지… 마지막 문단에 나오는 여러 이미지 혼합? 이런 거 때문인지. 아시는 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대신커뮤에선20분컷이라고빨림
-
ㅇㅋ?
-
ㅠㅠ
-
아퍼 1
우에ㅔ엥
-
누가 제일 좋나요 막전위 근수축 감수분열 등
-
중강고사공불를 하구읻는구지?
-
서울대 뱃지 보이면 바로 키갈박는다
-
난 당연히 확산모델 내지 디퓨전이라고 부를 줄 알았는데 “노이즈 지문“이라고 부르는 거 보고 당황함
-
ㅋㅋㅋㅋ
-
덕코주세뇨 0
덕코거지입니다.
-
욕심이무서워 0
난진짜지금대학보다훨씬아래대학만붙어도절하면서다니겠다했는데...
-
고대국문과에진학해서말이지크킄크캬캬캬
-
ㄹㅇ
-
못갈대학이없음
-
수능판에돌아온거냐나자신
-
이감 6-6난도 1
어렵지않음? 이게 어떻게 화작 1컷이 91임 너무높은데
-
풀리스트옴… 8
어 경제 만점 쟁취해줄게
-
극한이랑 미분파트는 ㄱㅊ은데 적분이 앞단원에 비해 어렵게 느껴졌음요.. 적분파트가...
-
50일남앗는데개추좀 말고 맑고따스한댓글좀
-
On
-
단과 하나 더 다녀야되는거조?
-
의욕이 안나는군 가능세계가 너무 희박해잉 아 리프레쉬를해야겟군
-
여러분 근데 9
맞팔만 제 게시물 볼 수 있는 거 어케 해여???????? 무조건 전체 공개만...
-
메디컬이나 연고대는 어디까지 가능하지 계약은 서시반빼고는 다 붙을 거고
-
고대 인문관 2
여기서 옵붕이들과 교양을 듣고 싶구나
-
기분이꿀꿀해 6
치킨시켯어...
-
지금은 틀리는 것을 담담히 받아드리고 그것을 발판 삼아 성장할 때니깐요! 채점할 때...
-
수학 실모특 4
848884888884484848484 어쩌다 한번 92 96
-
나는 징크스임
-
50일 전사 ㄱㄴ????
-
그래서인증안하기로했어
-
조선이 훨씬 발전한국간데 이해가안가누
-
어쩌다보니 그렇게 됫서요
-
고 려 대
-
언미영사문생1 91 88 1 45 45 평가원은 언매 생명이 2등급. 성한 공대 목표입니다
-
오늘공부 1
국어 : 월례오답, 강e분 5작품복습, 독락당 학습 문학ebs 끝냈으니 낼부턴 언매...
-
생윤 커리 질문 0
9모 높 3 떴습니다. 현돌 기시감 풀면은 n회독을 많이해서 이제 다 맞습니다. 뭘 해야할까요?
-
사랑한다 4
고려!!
-
설의 수시는 인정할 수 밖이 없음 설의 정시 급이라 생각함 3년간 옆에서 봤는데,...
-
영어 1등급은 0
못할 짓인 것 같네요 걍 다른거 할랍니다;
-
한 번도 안 핀 이훈식 솔텍 n제 시즌1, 2. 홍준용 CONTACT n제 팝니다....
-
수능의 무서운점 5
당일날 한번으로 모든것이 결정된다는것… 평소에 얼마나 잘햇는지는 전혀 중요치...
-
평가원, 교육청 이런 시험은 위에 나오듯 수학 하나만큼은 자부심도 잇엇습니다 모고...
-
1일2실모하니깐 4
두번째꺼 바로 75점으로 재기해버림
-
자살하고싶다 0
ㅇ
-
강의 보는데 반문화가 아닌 하위문화도 갈등을 유발할수있다고 해서 든 생각인데 주류...
-
너무 높은데 법 ㅈㄴ어려웠는데 어케 1컷 91이지.. 원래 등급컷짜나요?
둘이 다른 과정입니다...
노이즈 추가 >>> 원래 이미지에 어떤 노이즈가 추가되어야 특정 노이즈 이미지가 되는지를 학습
노이즈 제거 >>> 학습된 것을 바탕으로 특정 노이즈에 어떤 노이즈가 들어가있는지를 판단, 그 노이즈를 제거(=이미지 생성 ai 작동 방식)
즉, 노이즈를 추가하는 과정은 이미지 생성 ai를 훈련하는 거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은 이미지 생성 ai를 실제로 쓰는 겁니다
좀 첨언하자면
제 생각에 저 지문은 연계지문이었거나 과거 퍼셉트론의 학습 과정에 대한 출제가 있었기 때문에 기계학습이 무엇인지 어느 정도는 알고 있다고 보고 출제를 한 것 같습니다.
지문에 있었을 텐데 지도학습은 정답과 출력값의 차이 = 손실을 최소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학습은 가중치를 손실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갱신하면서 이루어진다고 예전 기출에 나와있었을 겁니다.
이 모델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노이즈 값(보통 가우시안 분포 이용)과 예측기가 예측한 노이즈의 차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결국 각 시점에서 어떤 노이즈가 들어간 건지 예측을 하는 건데 그럼 그 예측된 노이즈를 제거하면 그 시점에 더해진 노이즈와 거의 같은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학습을 시켰으니)
그래서 왜 굳이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노이즈 같은 게 필요하냐? 깡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건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고, 가우시안 분포를 따르는 노이즈를 입력으로 받아서 다루는 게 훨씬 편하기 때문입니다. 지문에서 얘를 어떻게 활용하는가는 설명을 안 해놔서 좀 난해할 수 있는데 글에 있는 대로 특정 이미지를 노이즈 입력을 통해 생성할 수도 있고, 시중 모델들 처럼 이런저런 매개변수나 프롬프트 같은 걸 통해 원하는 이미지를 노이즈 조합을 통해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관련 내용이 더 깊이 궁금하시면 딥러닝과 디퓨전, 그 중에서도 DDPM 관련 이해가 필요합니다. 지문에 있는 대로만 이해하시는 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