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즈 지문 이해 안 되는 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00743
애초에 노이즈를 추가하고 다시 제왜를 왜 하나요? 마치 낙서하고 다시 지우는 그런걸 왜 하는지… 마지막 문단에 나오는 여러 이미지 혼합? 이런 거 때문인지. 아시는 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야가미 라이토군의 레어와 같이 나란히…….. 배치하고 싶은데……. 찾아봐도 안 보이네여
-
혼자 갈거에요
-
특히 남자애들은 위압감 느껴지는 듯 얼굴은 애기들인데 신체가 미쳤어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내가 옆에 있는 애보다 몇백시간 더 박아도 미적 28찍맞 딸깍한 애한테 따일수도...
-
원인중 하나가 밤에 객기부리다가 수면패턴 망가뜨린것 같은데 국수 탐탐 공부하려면...
-
범위적음 모의고사 하나랑 본문한단원 단어(유기)
-
문담피 3
문득 번지는 생각의 불빛 담담히 견디는 하루의 무게 피어난 꿈조차 저물어간다.
-
씨발 ㅋㅋ
-
어쩌다보니 그렇게 됫서요
-
콘서타까지먹었으니 지금이 절정인듯 ㅁㅊ ㄹㅇ미치겠다 너무화가나 빨리 음식으로...
-
수시원서0 라인잡을이유없음인데 사실
-
수능의 무서운점 5
당일날 한번으로 모든것이 결정된다는것… 평소에 얼마나 잘햇는지는 전혀 중요치...
-
헤어졌어요 3
헤어이겼어요
-
책왔드앙 4
-
짱이에요!
-
빅팀 티셔츠 진짜 존나 많음 ㅋㅋㅋㅋㅋ 개나소나 다입고다님 강평단/승리단/심단 삼국시대임
-
이러다가 서울대내신반영조차 cc가 떠버려요
-
김동욱도 그러고 정석민도 그러고 그냥 처음에 언어 하는게 잘만하면 운영이 괜찮긴한데 어찌해야 하나
-
웹소설 추천 5
목숨 무한 저술사는 저승이 쉽다 마도서를 줍다 마법사가 되다
둘이 다른 과정입니다...
노이즈 추가 >>> 원래 이미지에 어떤 노이즈가 추가되어야 특정 노이즈 이미지가 되는지를 학습
노이즈 제거 >>> 학습된 것을 바탕으로 특정 노이즈에 어떤 노이즈가 들어가있는지를 판단, 그 노이즈를 제거(=이미지 생성 ai 작동 방식)
즉, 노이즈를 추가하는 과정은 이미지 생성 ai를 훈련하는 거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과정은 이미지 생성 ai를 실제로 쓰는 겁니다
좀 첨언하자면
제 생각에 저 지문은 연계지문이었거나 과거 퍼셉트론의 학습 과정에 대한 출제가 있었기 때문에 기계학습이 무엇인지 어느 정도는 알고 있다고 보고 출제를 한 것 같습니다.
지문에 있었을 텐데 지도학습은 정답과 출력값의 차이 = 손실을 최소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학습은 가중치를 손실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갱신하면서 이루어진다고 예전 기출에 나와있었을 겁니다.
이 모델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노이즈 값(보통 가우시안 분포 이용)과 예측기가 예측한 노이즈의 차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결국 각 시점에서 어떤 노이즈가 들어간 건지 예측을 하는 건데 그럼 그 예측된 노이즈를 제거하면 그 시점에 더해진 노이즈와 거의 같은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학습을 시켰으니)
그래서 왜 굳이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노이즈 같은 게 필요하냐? 깡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건 기술적으로 매우 어렵고, 가우시안 분포를 따르는 노이즈를 입력으로 받아서 다루는 게 훨씬 편하기 때문입니다. 지문에서 얘를 어떻게 활용하는가는 설명을 안 해놔서 좀 난해할 수 있는데 글에 있는 대로 특정 이미지를 노이즈 입력을 통해 생성할 수도 있고, 시중 모델들 처럼 이런저런 매개변수나 프롬프트 같은 걸 통해 원하는 이미지를 노이즈 조합을 통해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관련 내용이 더 깊이 궁금하시면 딥러닝과 디퓨전, 그 중에서도 DDPM 관련 이해가 필요합니다. 지문에 있는 대로만 이해하시는 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