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국어 푸는 방식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97727
생각보다 하위권한테나 상위권한테나
유의미하게 도움되는 것 같음
현장에서 가장 이상적인 풀이라는 말을 들음
간단 소개: 중간에 문제 풀어버림(문단별 와리가리)
장점:
- 지문 내용이 재진술된 선지를 풀면서 -> 내용 이해 강화
- 각 내용별로 선지 풀어버려서 -> 서로 구별된 내용 섞이고 헷갈리는 거 방지
- 선지를 풀어버린 순간, 해당 내용에 대해 비교적 가볍게 기억해도 됨
(선지에다가 기억 부담(짐)을 내려놓는 느낌)
- 지문 읽는 중에 문제를 풀어 버리기 땜에
-> 지문 다 읽고 난 후 문제 풀이에 대한 부담 감소
( + 문단 일부/작품 일부만 읽었는데 문제 다 풀리는 경우 자주 있음)
- 그때까지 읽은 부분에 대해서, 정확히 아는 부분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판단
(판단을 한 번에, 종합적으로, 복잡하게 하지 않고
해체해서 부분 부분을 명확하게 판단)
-> 착오로 인한 오답 감소
- 종합
: 부분 부분을 파악하며, 내용 이해를 강화한 것을 토대로,
종합 사고력이 요구되는 <보기> 문제까지 풀어 버림
-> 고난도 문제 정답률 상승
- 지문 일부에 대해 문제 일부를 풀어 버림
-> 인지 부담 감소,
단기 기억 활용 최대화,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고 나서 까먹어서 읽고 또 읽는 현상 최소화,
어느 부분에 이 내용 있었는지 몰라서 찾느라 헤매는 현상 최소화
-> 시간 절약, 지문 읽는+선지 쳐내는 속도 모두 이득
능지, 독해력에 비해 유의미한 정답률 상승 가능
(같은 능지, 같은 독해력에서
뽑아낼 수 있는 점수의 최대
출력 구현)
이건 문풀 방식만 언급한 거고
'글'을 읽는 법은 또
N년 간의 귀동냥과
수능 구르기 경험을 축적해서
찐하게 할 얘기 많음
연구개발해서 꼭 국어 과외 해야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와 개좋은거같은데?
이제 글 지워주세요
ㄹㅈㄷㄱㅁ
독서여??
독문언 전부 다여
글은 독서 중점으로 말하긴 했어요
뭔지 아는데 아직 체화는 못했네요..저는 지문에서 읽다가 이 부분 뭔가 나올거 같다 하면 선지에 있는지 바로 찾아버기도 하는..
독서에서 체화하고싶엌ㅅ는데
갓장찌 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