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침없이원큐에합격 [1334491] · MS 2024 · 쪽지

2025-09-24 10:45:19
조회수 165

이중차분법 겁나 어려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96117

왜 사건의 효과를 평가해야하는지

왜 사건후의 결과와 사건이 없었을 경우의 결과를 비교하는게 불가능한지

그래서 표본을 가져오는데 이걸 어떻게 배치하는지

그 사건이 없었다면 시행집단과 비교집단의 평균임금을 같도록 구성한다는게 무슨 뜻인지

하지만 사회문제에는 이를 적용못하는 이유가 뭔지

그래서 사용하는 이중차분법에서는 왜 두 집단의 변화에 주목하는지 

두 집단의 변화의 차가 의미하는게 뭔지

그렇게 나온 변화의 차가 보장하는게 뭔지or

두 집단의 시작점이 다르더라도 변화의 차로 이를 커버칠 수 있는 이유는 뭔지 

두 집단의 통계적 유사도가 어긋났을때의 문제가 뭔지

그렇다고 사회문제에서 통계적 유사도만을 같게 두면 왜 더 큰 변화에 휘둘리는지

그럼 어찌해야하는지



<그 사건이 없었어도,그 사건이 없었다면>이 두문장을  <그 사건이 없었을때의 >로 바꾸면 이해가 더 편했을테지만..

12시간 걸렸다 하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퀘일 · 1322412 · 19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그건 그냥 받아들이시는게 낫긴한듯 독해 시엔

  • 퀘일 · 1322412 · 19시간 전 · MS 2024

    평균임금 같게 한다는건 말그대로임 사건이 없었다고 가정하면 동일하게

  • qbodpbo · 1227343 · 19시간 전 · MS 2023

    조금 내재적 의미였던, 같은 집단의 사건이 있을 때와 없을 때 모두 측정할 수 없다는 것을 추론하고, 그래서 실험적 방법으로 집단 두 개를 구성하고, 그래도 문제가 있다고?->2문단에서 개념 설명하는 걸로 정확히 이해해야 하는데
    막 말도 비슷하고 1문단 독해가 불친절한데다 어려워서 2문단에서 멘붕 왔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