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사생팬 [1255415] · MS 2023 (수정됨) · 쪽지

2025-09-22 13:45:08
조회수 130

9덮 사문 20번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74029

T에서 t+10으로 늘엇을때 그 차이값으로 나누는게 맞나요?


분명 문제에서 “해당시기의 연도수”로 나누라고 되어있는데

이에따르면 t40년 대비 t100년에 왜 5000명이 증가한것이 아닌 3000명이 증가한건가요?


50x100인 5000이 증가햇다가 맞는거 아닌가요?


아마 문제에선 t40에서 t100으로 증가했으면 (100-40) 60으로 나누라고 의도한거같은데 문베보면 그 연도수로 나누라고 되어잇는데 논란될 여지 없나요.?

rare-라무찌 rare-에밀리아땅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문이 먼저다 경제인 · 1248165 · 2시간 전 · MS 2023

    증가한 연도 x 연평균 증가하는 노인 인구 = 총 증가한 노인인구입니다.

    t+40대비 t+100년은 60년이 증가했으니까
    60x10 하시면 노인인구는 600명 증가
    60x25 하시면 부양인구는 1500명 증가
    60x 50 하시면 총 인구는 3000명 증가이고
    부양과 노인이 2100명 증가했으니 유소년은 900명 증가입니다.

    같은 방식으로 t년 대비 t+40년 증가도 계산해보세요..!

  • 김기현사생팬 · 1255415 · 2시간 전 · MS 2023

    네네 저도 다 풀어보고 질문올린건데요.
    각 시기에 증가한 인구를 해당 시기의 연도수로 나누라는것은 몇에서 몇이 됐던간에 그 연도로 나눴다는 뜻 아닌가요? 예를들어 t에서 t100이 됐든 t+50에서 t+100이 됐던 100으로 나누라는 말 처럼 들려서요,,

  • 김기현사생팬 · 1255415 · 2시간 전 · MS 2023

    이 부분이 애매하게(?) 느껴지네요

  • 김기현사생팬 · 1255415 · 2시간 전 · MS 2023

    일단 답변 감사드립니다.

  • 사문이 먼저다 경제인 · 1248165 · 2시간 전 · MS 2023

    증가한 연도 수 라는 표현을 몇년 증가했냐로 해석해야하지, 현재가 몇년인가로 해석하시면 안됩니다.

    학생이 말씀하신것처럼 해석하시려면 사실 T의 값도 알수 없기 때문에 증가한 총 인구 수를 T+N으로 나눠야 하잖아요..!

  • 김기현사생팬 · 1255415 · 2시간 전 · MS 2023

    그렇군요 시간내서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 많이 됐어요

  • 사문이 먼저다 경제인 · 1248165 · 2시간 전 · MS 2023

    감사합니다! 화이팅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