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름대로 도움이 될 법한? 수학 태도 교정 습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73827
1. 10초간 가만히 문제 응시하기
수학을 적당히 하거나, 못하는 학생들의 경우 대개 문제를 본 순간 일단 할 수 있는 행동을 다 하더라고요.
예를 들어서 지수로그 함수 문제의 경우 길이 나왔으면 뭔가 길이 비도 미지수 꾸역꾸역 껴서 표현하고, 점간의 위치 관계들도 좌표 잡아서 표현하면서 일단 할 수 있는 걸 다하는 등 말이죠.
문제가 쉽거나, 할 만하다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으나 고난도로 가면 갈수록 풀이 시작 전 사전 작업이 중요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미지수로 점철된 문제지를 본 순간 떠올릴 수 있었던 생각도 안 납니다. 문제가 복잡해 보이면 일단 넘긴다거나, 아니면 무지성 계산부터 시작하기 전에 10초만 우리 고민해봅시다.
이번 9평 14번처럼 의외로 매우 간단할 수도 있거든요.
2. 펜 잠깐 내려놓기
1번이랑 연계되는 습관입니다. 보통 문제가 어려워지고, 복잡해질수록 다양한 생각과 더불어 '아 이렇게 풀어도 되나....?' 같은 생각처럼 괜시리 불안감이 막 생겨납니다.
특히 이런 경우는 언제 생기냐면 저 같은 경우 작년 수능 20번 문제 처음 본 순간 그랬습니다. 되게 복잡하고, 당황스럽고, 비주얼이 절~대 20번급이 아니었으니까요.
그때 한 2분 정도 끄적이다 잠시 펜을 내려놓고 1번 습관이랑 같이 그냥 가만히 문제만 응시했습니다. 풀이 설계부터 불안감 해소, 주어진 정보 종합 등 천천히 하나하나 하다 보니까 7~8분 정도 걸리긴 했는데 그렇게 하고 나니까 딱 20초컷 낸 다음 멘탈 잡을 수 있었습니다.
아 물론 작년 20번만 그렇지, 보통 시간을 이런 식으로 오래 쓰는 게 아니라 1번이랑 같이 연계해서 한 20초~1분 정도만 하는 게 제일 좋습니다. 풀이의 방향성, 내가 놓치고 있던 정보 체크까지 하는 데 보통 그 정도가 적정이더군요.
갠적으로 펜 잠깐 내려놓기가 도움이 되는 이유 중 하나가 일종의 '리셋' 타임을 만들기 때문 아닌가 싶습니다.
펜을 잡는 동안은 여러분은 생각하고, 계산하고 해야지만 놓는 순간에는 일종의 브레이크 타임의 개념으로서 천천히 모든 과정을 점검해볼 시간이 생겨나니까요.
3. 미지수 개수와 정보 개수가 대응되는가?
위의 1, 2번이 일종의 수학적 태도였다면 3번은 태도+실력이 겸비되었을 때 괜찮은 습관입니다.
삼차함수의 식이 세팅되기 위해선 필요한 식이 4개입니다. 왜냐면 미지수가 4개니까요.
이차함슈의 식이 세팅되려면 마찬가지로 필요한 정보가 3개입니다 . 미지수가 3개니까요. 결국 주어진 정보가 얼만큼 주어졌냐를 통해서 우리는 답이 되는 케이스를 찾아야 합니다.
근데 만일, 정보가 미지수보다 작다면 어떡할까요?
흔히 우리가 그래프를 그리는 이유 및 특수 지점을 조사하는 이유가 여기서 비롯됩니다.
일례로 어떤 사차함수 f(x)가 7보다 크다고 가정해봅시다.
근데 이때 f(c)=7인 c가 존재한다면?
단순히 계산상의 도구로써 이를 주었다고도 볼 수 있지만, 여기에는 f(c)=7을 만족하는 c가 존재하므로 f(x)의 최솟값은 7이겠구나, 라는 사실을 알 수 있고
또한 여기서 미분가능한 함수의 최솟값=극솟값 이라는 사실을 바탕으로 f'(c)=0이라는 사실까지 끌어낼 수 있습니다.
부등식 조건 1개, 존재한다는 정보 같지 않은 정보의 조합으로 두 가지 정보를 끌어낼 수 있었네요.
결국 말하고자 하는 건 미지수와 정보가 매칭되지 않는다면 주어진 발문에서 내가 이끌어내지 못한 정보가 있다는 겁니다.
4. 글을 마치며
위의 세가지 습관이
당연한 소리 같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다만 저는 고난도 수학 문제에 어려움을 겪을때 저런 방식들을 통해 서서히 극복했고 또 지금도 굉장히 잘 쓰는 습관들이라 공유해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질문/비판 등 다양한 의견은 언제나 환영입니닷!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짜증나네
-
이번에 연고전 했다길래 유튜브 뒤지다가 찾은건데 난 연고전이나 축제에서 노는거보다...
-
난도나 배치 측면에서 비슷한거 주 1회정도는 그런거 해볼려는데 떠오르는게 없음뇨...
-
일단 미적 선택자입니다 23수능이 마지막이었고 26에 다시 돌아왔는데 너무...
-
9모 85점(언매) 강민철 듣는중 : 새기분 수강 중(중단!) 김승리.. 들을까요?...
-
수험생활에서 끈기를 갉아먹는 가장 큰 요인인듯 난 삼수는 못하겠으니 이만 수능...
-
A는 흡연이 외부효과를 발생시키므로 흡연자 라이센스를 도입하여 흡연을 규제한다면...
-
[무료 배포] 국어 독서 수능특강 연계 3콤보 드가자 0
수능특강 독서 연계 지문 3개를 선공개합니다. 푸시고 간단히 후기 알려주시면 감사할...
-
나도 그냥 이원준 들을걸…. 재수하면 이원준 들어야지…
-
추석동안 스개완으로 개념 되살려서 수능날 2라도 노려볼까... 수시가 어떻게될지...
-
구간별로 정의된 함수 문제인데, 해당함수의 정의역을 벗어난 부분에 집어넣고...
-
아까 축구하다가 상대방이랑 부딪혔는데 앞니가 들린 거 같고 통증도 있습니다 만져보니...
-
망갤테스트 13
-
다행이에요 1
-
안녕하세요 ㅎㅎ,,,
-
44점인데 1페이지 3틀해서 6점 까였네 ㅋㅋㅋㅋ
-
예비 고3이라서 1월부터 정식쌤 현강가려고하는데요 믿글 믿문 같이 하나요?...
-
작년에 재수해서 숭실대감 개 밥마냥 보일 수 있다는 거 이해함 원래 고2때까지...
-
추석에 뭐하지 1
하루 시간내서 사문 수완 1일컷 도전해볼까
-
동국대 테러 협박글 하루 만에 자수…도대체 무슨일이? [세상&] 4
테러 예고글 작성 다음날 자수···불구속 수사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22일 정례...
-
진짜 잘만 이용하면 gpt만으로도 큰 성장이 있을 거 같은데 어떻게 사용해야 가장...
-
ㅈㄱㄴ 국어 : 공통 -21 / 언매 -7 = 72점 미적 : 공통 -20 / 미적...
-
상병 D-9 7
사실 10월 1일 국군의 날로 휴무일이라 하루 일찍 상병달 듯 D-8 이제야...
-
으하하핳하하ㅏ 0
뭐하누~
-
아직은 아닌데 스멀스멀 날듯 말듯
-
[칼럼] 수능장 수학 바로 기선제압하기 - 돌파 2206편 0
[그동안의 게시물] - 혈전 1회차:...
-
모순(p and not p)거짓 무모순not(p and not p)(not p or...
-
(가) 6000K, 1, ㄱ (나) 4500K, 32/9, ㄴ (다) 12000K,...
-
사파리 업뎃되고 하단바 이 지랄임
-
ㅇ0ㅇ
-
9덮 정법 질문 2
기초 의회 지역구 의원은 중선거구제로 선출되는데 단순 다수 대표제로 볼 수 있나요?...
-
정답률은 보장되는데 너무 느린느낌 실모많이 풀어야하나
-
폰화면으로 깔짝인게 전부라 난이도나 총평이 어땠는지는 모르겠음 전반적으로 쉬운과목...
-
그게 나야 바 둠바 두비두밥~ ^^
-
Chat gpt같지 않음…? 헛소리 개많이하는데..
-
17번까지 다 맞았는데 18번 주기 6인데 순간적으로 12라고 생각해서 19번...
-
정답을 많이 맞추면 높은 표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그것이 수능이니까.
-
초등생 집단폭행하고 담뱃불로 지진 중학생 5명…주범은 구속(종합) 3
법원 "소년인 피의자 구속할 부득이한 사유 있고 도주 우려" (인천=연합뉴스)...
-
서바도 웬만하면 50 나오고.. 강k도 요즘 슬슬 시간 남기고 3틀 언더로 끊어내는...
-
카레덮밥, 치킨마요덮밥 같은 덮밥류 섞어먹음?
-
부디...몸 상태가 악화되어 수능 전에 다시 입원하는 일은 없기를. 제발 그런 일은...
-
수학 인강 추천 0
수학 인강 추천좀요 텐션 좀 높은 강사면 좋을듯 우진쌤 강의 너무 좋은데 약간...
-
생1 뭐풀까요 1
요즘 모고풀면 계속 개념형 하나씩 나가서 뭐좀 풀어보려합니다 RGB(이미 집에...
-
말투를바꿔볼까 2
욕을 안써보도록하겟슴
-
남은 기간 어떻게 공부해야 수능에서 안정적으로 고득점 받을 수 있는지 공부법 조언해주세요…
-
무엇보다 나를 사랑하는 행동임을 이제야 깨달았습니다.
-
술 좋아좋아 4
취하는거 기분 좋아좋아
-
9덮 2
83 88 44 50 언/확/생윤/정법 등급 어느 정도 예상하시나요?
-
오 굿즈 도착 2
이거 다 ㄹㅇ임
문제 보면 팔짱끼고 저 멀리서 쳐다보면서 어쩌라는거지? 이 고민민 해줘도 문풀 속도랑 깊이가 말도안되게 바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