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ocalypse-II [1402694] · MS 2025 · 쪽지

2025-09-21 23:19:42
조회수 110

[국어의 불변 법칙 tip] 언어의 논리와 기능의 탐색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69102

국어는 엄연히 말하자면

저희 말을 배우는 과목이기도 하지만


언어의 논리구조가 도출하는 사실을 찾아내고

말이 그 글에서 맥락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적 역할을

빠르게 눈치채는 데에도 본질을 두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국어가 꽤나 논리적인 과목임을 뒷받침하는

사례를 세 가지정도 준비해봤습니다.





[01. 선지의 교묘한 시간끌기] (문학)

"A는 B가 C하는 것을 목격하고 안타까움을 느낀다."

⇒ 해설: 목격한 것이 아닌 '전해들은 이야기'다.

[Comment 01]

문제를 풀 때 A,B,C의 내용에 집착하기 마련인데

알고보니 인식 과정이 일치하지 않았다는 의외의

내용이 시간을 끌 수 있는 요소로 기능합니다.





[02. 구간 관찰 vs 전체 관찰] (문학)

알기 쉽게 흥부전을 예시로 들었을 때

다음의 두 선지를 판단해봅시다. (모든 내용 안다고 가정할 때)


①흥부를 내쫒는 모습에서 놀부는 동생도

챙기지 않는 나쁜 성품을 지닌 인물임을 알 수 있다.

(O)

[comment 02-1]

①⇒ 흥부를 내쫒는다는 시점으로 

판단 시기가 한정되니 당시의 모습에서

도출된 결과들만 관찰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②흥부의 말을 듣고 박을 타다가 도깨비한테 맞는 놀부의

모습에서 욕심많은 인물로 계속 남게될 것임을 알 수 있다.

(X)

[comment 02-2]

②⇒ 마지막에 놀부는 반성하고 착한 인물로 변하게 됩니다.

미래형 진술이 들어간 선지에서 판단 대상의 시기가

그때만으로 한정된 것은 아닙니다. 결말을 비롯한 전체 지문을

파악해서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03. 관형어로 정의된 개념] (독서)

비문학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글의 요소가 있습니다.

바로 "개념 정의"입니다. 대개 "A는 B다"라는 정의의 형식을

띄고 있죠. 하지만 이러한 개념 정의가 꼭 "A는 B다"라는 형식으로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A인 B는 C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라는 문장을 유심히 보시면

"A인 B는"이라는 말은 곧 "A는 B다"라는 말과 동일한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죠.

[comment 03]

ex) 시냅스는 뉴런과 뉴런을 연결하는 부위를 일컫는다.

↔ 뉴런과 뉴런을 연결하는 부위인 시냅스는

세포 간 전기적 충격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한 번씩 부탁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