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 교재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48077
'문명' 교재 활용 중 질문있습니다.
1. 표상화 부분을 어떻게 활용해야할까요? [방법]란을 참고하니 각 단어의 보편적인 이미지( 문장에 있는 내용을 염두에 두지 않은 이미지 )가 적혀있는데 독해시에는 결국 각 단어끼리 연결된 이미지가 표상화되어야 하지않나요? 교재의 표상화 부분에서 어느정도의 이미지를 떠올려야하며 그것이 독해에 어떻게 연결되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2. 작가님 칼럼 중에 문장 명료화 과정을 위계낮추기 - 명료화로 설명하셨는데 교재 사용도 그렇게 하면 되나요?. 문장 명료화 해설에는 위계낮추기만 반영된 느낌이어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겨울에 림잇 듣고 사문 유기하다가 9평 이후에 마더텅 + 복습용 인강 하는 중이고...
-
근데 이거 쓰다 보니까 1 0
어째 리트같음
-
외이도염걸림 5 1
-
현역 9덮 4 2
국어 (언매) 97점 (#12) 일부표본 추출을 못 봄 수학 (미적) 96점...
-
젠지 조합 지리네 1 0
뒤가 없어
-
발산형 경계이면 플룸 상승류가 있다 이거 참인 명제인가요?
-
제가 무자퇴라 대충 내신 시험 3등급 정도만 받으려고 하는데 물1이 시험범의가...
-
김승리 아수라 0 0
좋음? 차라리 올오카나 t1m 복습해야 하나 고민중 앱스키만은 안들었음 시간효율적으로쓰고싶은데
-
공부법 질문 3 1
여러분들은 공부할 때 순공시간이나 플래너를 쓰나요? 아니면 그날 할 일은 그날...
-
앙딱 0 0
수업 시작 전부터 도파민 팡팡
-
ㅈㄱㄴ 개념도 복습시켜줌?
-
최적 사문 듣는분들 5 0
개념은 한번돌렸는데 뭐부터 커리타는게좋을까요 말하시면 책 바로살려고요
-
갠적으로 잘 맞아서 ㅋㅋ 비타민 K, 카메라를 잇는 새로운게 나올 때가 됐는데
-
부탁드립니다ㅏ 현재까지 설맞이 시즌1,4규시즌1,드릴6 했음요 이해원은 지금 풀고있고 다 풀어감요
-
현실적으로 수학4등급 8 1
지금부터 해서 2등급 가능? 지금 기생집+아이디어 회독중이고 9월에 끝나요 문제...
-
부엉이 n제 풀었는데 3 1
거의 절반 틀림ㅠㅠㅠ
-
올초 키스로직부터 탈모 한번씩 말씀하신거같은데 키센스 1주차에서 한시간 내내 검은콩...
-
식단 잘 아는 헬창들 있음? 8 0
다이어트 하려고 먹는건 아닌데 공부 하면서 오래 앉아있으니까 소화가 잘 안돼서 점심...
-
근데 1컷 54는 진짜 뭐지 1 0
아니 아무리 시험이 어려워도 어케 저런 등급이나올수가 있지
-
과외 구하기가 너무 힘드네요... 동기들은 어디선가 잘 구해서 하던데 대체 어케 구하는거죠










1. 표상화 부분 활용법
교재의 표상화(이미지화) 단어 리스트는 개별 단어가 가진 가장 보편적이고 전형적인 이미지를 떠올리게 돕는 장치입니다.
예: 사자 → 동물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갈기 달린 사자’ 이미지
예: 책상 → 교실에서 흔히 보는 네모난 나무 책상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문맥과 분리된 ‘기본 단위 이미지’를 확보하는 겁니다.
왜냐하면 독해 과정에서는 문장 속 단어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상황 장면(Scene)’으로 재구성되기 때문이에요.
즉,
교재의 표상화 단계: 단어 하나하나의 기본 이미지 틀을 훈련 (사자=사자, 사과=사과)
실제 독해 단계: 그 기본 이미지를 조합해 문장이 말하고자 하는 장면을 형성 (예: “사자가 책상 위의 사과를 바라본다” → 사자 + 책상 + 사과 이미지를 하나의 장면으로 연결)
따라서 표상화 훈련은 “독해에서 장면을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단위 재료를 쌓는 과정”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얼마나 구체적으로 떠올려야 하냐?
‘사자의 털은 몇 가닥인가?’ 수준의 디테일이 아니라, 다른 단어와 결합했을 때 장면을 만들 수 있을 정도의 기본적인 형태까지만 충분합니다.
핵심은 “눈앞에 떠올릴 수 있느냐”이지, 그림을 그릴 정도로 정밀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2. 문장 명료화: 위계 낮추기 → 명료화
칼럼에서 말씀드린 위계 낮추기 → 명료화 과정은 실제 독해를 단계화한 설명이고, 교재의 해설은 훈련을 쉽게 하기 위해 ‘위계 낮추기’ 중심으로 제시된 것입니다.
위계 낮추기: 원래 문장의 구조적 무게를 낮춰 학생이 이해하기 쉽게 변환
예) “예술의 자율성은 예술이 삶을 다루는 고유한 방식이다.” → “예술은 삶을 다루는 자기만의 방식이 있다.”
명료화: 단순히 구조를 낮추는 것을 넘어서, 그 문장이 말하고자 하는 의미를 자기 언어로 재진술
예) “즉, 예술은 다른 기준에 휘둘리지 않고 자기 방식으로 삶을 표현하는 것.”
교재 해설이 ‘위계 낮추기’에 더 가깝게 보이는 건, 훈련 초기 단계에서 학생들이 바로 ‘명료화’까지 가기 어렵기 때문이에요.
실제 수업 활용법은 이렇게 추천드립니다:
먼저 교재 해설처럼 ‘위계 낮추기’를 따라가면서 구조를 단순화.
이후 “내 말로 다시 말하면?”을 스스로 해보며 ‘명료화’까지 확장.
교재를 따라 읽을 때는 위계 낮추기까지, 별도 연습할 때는 명료화까지 시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