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학년도 리트 지문 이거 이해안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47271
갑자기 자연법이냐 사회학이냐의 양자택일을 감수해야 된다면서 선택의 결과는 자명하다는게
대체 뭔 소린지 하나도 못알아먹겠음
자연법이냐 사회학이냐의 양자택일을 감수 >> 이게 대체 뭐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댓글좀 남겨줘요
-
똥싸는것도 힘을 써야하는 일임뇨
-
실력만 되었어도
-
안녕하세요, 서울대 지망하고 있는 재수생입니다.. 현재 언확쌍윤으로 12211정도...
-
그정도 지능이 안돼서 씹덕글 양산중
-
후후 11
기분좋다
-
항문한성보고나서부터 귀칼ost들이하. .
-
의사 파업 '필수의료공백방지법' 발의…위반 시 '3년 이하 징역' 0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
-
뭐가 더 쇼킹함?
-
애 9
애
-
존나 정신사납네 5
사람 개만다 ㅅㅂ 평일인데 ㅎ
-
그냥 전형적인 일본인 이름이지만 미국인이다. Fabiano Caruana <~...
-
흠
-
걍 으르신 입장에서 응애를 잠시 갈구는것 뿐.. 민망하어니 더이상의 개추와 관심은 자제 부탁이요
-
급하게 사고싶은데 수특만 있나요??
-
저사람은 오르비에 맨날있네 에서 저사람을 맡고 있습니다
-
치지직이나 숲 깔아서 버튜버 보세요 그게 연애입니다
-
찍어서 틀려도 맞았다고 하는게 마음이 편함
-
오늘은 무슨 날일까? 47
옯뉴비 스마티의 탄신일입니다
-
ㅇㅇ 1
ㅇㅇㅇ
-
추석연휴 2
오랜만에 보는 그 친구
-
90점넘길때까지 계속보면됨 다행히 오늘은 2실모로 끝났음
-
처음, 끝 7
아이고.
-
쳐맞을거각오하규
-
자다깼어 3
으으으...
-
물리학 2025년 수능 기준 1은 50나오고 2는 43정도 나오네요;; 전공이...
-
만점 거의 확보인듯
-
일단 국,영,사탐은 N제,실모 없이 받아봤는데 수학이랑 과탐은 힘든편인가요?
-
옯하 2
드디어 내신 끝났다 ㅅㅂ 앞으로 2주간 오르비에 상주할 예정
-
아직 1도안건드림
-
빡모 해모 꿀모 7
최근에 푼 거 중에서 젤 좋다고 느낌
-
동사연표 0
연계있는 사건들은 같이 외우는데 69 닉슨 독트린 72 방중 공동성명 중일수교 79...
-
아
-
수능도 제발 ㅠ
-
아직 포지션 없는데 슬슬 포지션 키워나갈것 현금 확보되는데로 *제가 오를거라 할 때...
-
짝남한테 …. 찌질이라서 좋아한단 내용은 아니엇지만..
-
승리쌤이 비연계랑 연계 연달아 치랬는데 승리감은 못살거같고 비연계모의고사로 작년...
-
지구과학 과외 수업용 파이널 교재 제작 중인데 제가 구입한 사설 실모 중 괜찮은...
-
카톡 친구목록에 사진 대문작만하게 뜨는거에 과잠 보이는데 외대임 목표를 바꿔야하나
-
도대체 어떻게하는건가요 공통은 이제 웬만한 문제는 다 건들여보겠는데 미적은 진짜...
-
수열의 극한 joat
-
뭐지이게 6
-
나처럼
-
형이 마침 도파민 부족해서 시비털리면 호르몬 좆된다 빨리 쳐 대답해라 수능성적 인증할꺼냐 말꺼냐고
같이 표시하신 문장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자연법은 기존에 주어진 것으로 이해하면 되고, 사회학적인 것은 인간들이 만든 것을 의미합니다.
자연법은 기존에 주어진거면
저 지문에선 신학적인건가요?
근데 양자택일이면 둘 중 하나를 선택한다는 의미 같은데 이걸 감수해야 된다는건 무슨 뜻인가요?
말 그대로 이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뜻입니다. 문제애서 이 이상을 물어봤는지 기억이 안 나네요.
딱 문제에서 물어본 만큼만 처리하면 됩니다. 제가 지금 밖이라 문제를 못 보고 있어요.
감수한다=필요조건
으로 이해하시면 될 듯 합니다.
자연법 = 절대적인 규범에 구속 = 비판/성찰을 하지 않음 = 신학과의 유사성을 피할 수 없음
사회학 = 비판/성찰을 함 = 신학과 법학을 구분할 수 있음
왕간단하게 축약하면 이 정도일 듯합니다
그 자연법에 관한 기출이 있었던 거 같은데
자연법의 예시로는 뭐 인간에게는 태어날 때부터 주어진 권리가 있으니 이를 보장해야 한다. 따라서 국가가 국민의 생명을 보장하는 것은 국민이 요구할 수 있는 당연한 권리이다.
요런게 자연법인데, 알베르트 씨는 법이란 인간의 계약에 의해(사회적으로) 제정된 것이지, 그런식으로 자연법이 실정법의 근거가 된다 주장하면 그게 신학이랑 다를 게 뭐냐고 비판하는 거 같습니다.
그래서 자연법이 아닌 사회학을 당연하게 택해야 한다고 하시는 것 같네요.
요즘 법학의 주류는 아닌데..
검색해보니 근대 계몽주의가 한창 유행할 때 영국의 법관으로 지내시던 분이셨군요 확실히 배경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지문 같아요(근데 로스쿨 시험이니 이 정도는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