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CK [1392461] · MS 2025 · 쪽지

2025-09-18 17:39:23
조회수 1,038

전대실모 국어 8번 출제오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25443

(나) 3문단 4번째 줄 

-참여자들이 놀이의 규칙을 자발적으로 정하고 이를 따르지만,-




3문단 10번째 줄

-게임은 놀이와 달리 (...) 어떤 행위를 할 수 있는지 그 한계를 특정한 제작자가 결정하므로-

->제약을 가하는 주체가 다를 뿐 제약 존재.




8번 보기 문제 3번

(나)에서 리브는 놀이란 '행동의 제약이 미리 정해지지 않는다는 점...

->놀이 또한 행동의 제약을 미리 정해놓고 행하기에 3번도 옳지 않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미적분하는 쌍사 · 1393143 · 9시간 전 · MS 2025

    맞아 ㅡ거땜에 3 5 헤ㅛ갈려ㅛ음

  • 의대생 되고 싶어요 · 1293096 · 9시간 전 · MS 2024

    그거 리브 주장 문단 가보면 그 축구 예시로 든 걸 보면 놀이는 규칙이 있어도 그걸 안 지키는 게 가능하니까 행동의 제약이 미리 정해지 있지 않다라고 근거 잡긴 했는데..

  • NPCK · 1392461 · 9시간 전 · MS 2025

    그럼에도 3문단 10번째줄에 놀이도 한계를 정한다는 텍스트가 있어서 말이 정합성 이탈이라고 봅니다

  • 의대생 되고 싶어요 · 1293096 · 9시간 전 · MS 2024

    한계를 정하긴 하지만 그 보기의 비디오 게임은 규칙을 어길려고 해도 그게 불가능한 반면 놀이는 규칙이 있어도 그걸 어기는 행동이 아예 불가능하지는 않으니까 가능성 차원에서 맞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 의대생 되고 싶어요 · 1293096 · 9시간 전 · MS 2024

    놀이도 한계를 정하는 건 맞지만.. 그 한계를 깬다고 해서 놀이라고 여겨진 게 놀이가 아니게 되는 건 아니니까..

  • NPCK · 1392461 · 9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선지에 제약이 존재한다는 조건만 나타나있고
    제약은 말씀하신바처럼 한계를 정하다와 동의입니다.
    예시로, 법률도 국민을 제약하는데
    법률은 너무나도 어길 수 있습니다.

    결국 이 문제의 관건은 한계를 정하다≠제약으로 봐야되나로 국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