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통 잘하시는 분들ㅠ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23104

이거 계산할 때 해설 보니까 확률 구할 때 경우의 수 / 경우의 수로 계산했던데 1,1 / 2,2 / 3,3 을 각각 같은 것으로 보고 계산했더라구요ㅠㅠ 확률 구할 때는 같은 것도 다르게 봐야하는거 아닌가요?
혹시 풀이 방법 알려주실 분 계신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ㅇ?왜죠..
-
언매 6 9 백분위 100인데 2 2
(9월은 턱걸이긴함) 전대실모만 보면 박음 ㅠ 진심 2점만 5개 틀려서 90점이...
-
당연히 똑같지…이거 모르는애들 왤케많냐
-
사문 도표 0 1
심기일전에 있는 모든 유형을 워크북까지 풀어야할까요? 부양비,사회이동,사회보장제도는...
-
점수 하락 폭 ㅁㅌㅊ? 1 0
언미영물지 순으로 9평 84,89,73,45,41 전대실모 9월 70,70,79,40,32 ㅁㅌㅊ?
-
사탐공대 허용한게 10 1
상황판단 메타인지 능력도 '수학능력'으로 보고 테스트해보고싶었나보죠...
-
마지막 지문 다찍었는데 다틀림 ㅅㅂ ㅋㅋ
-
10월쯤나오려나
-
수학 선택은 확통이고 대체로 2930만 틀리거나 운좋으면 둘 다 맞는정도고 공통이...
-
연대 과잠 갖고 와 1 1
형이 입어줄게(제발)
-
전대실모 문학0틀 언매0틀 2 2
독서 9틀 *발 민거 0개 맞고 푼 것도 다 틀림
-
빠빠이 1 0
-
기하 실모제작자는 들어라 4 0
28번에는 “”그림을 주고“” 공간도형을 넣고 29번에는 이차곡선을 넣고 30번에는...
-
미적분 너무싫어 7 3
너무 어려워
-
템플렛 ㅅㅂ 1 0
거대한 운명의 흐름인가
-
비호감 컷 알아서 낮춰준다니 개꿀 아님?ㅋㅋ
-
근데 왜 화난거임?ㅋㅋㅋㅋ 12 2
ㄹㅇ모름 내가언제 쉽다거햇냐 뭐에 화난건데 ㅋㅋㅋ
-
국어 문학 3 0
저만 문학에서 현대시가 제일 어려움? 소설은 좀 풀만한데 현대시가 뭔가 더 어려움
-
nice coping bro 0 0
yeah
-
등원 0 0
14인가요?
네 맞아요!
어떤 배열을 택하더라도 다르게 본 경우가 8배 더 많이 나오는 거라 확률 구할때 8끼리 캔ㅅ.ㄹ되잖아요.
캔슬되는거로 따지면 조건 하에서 1이랑 3도 자리바꿈 가능하니 2가 고정될 때 어떤 경우가 가능한지만 보면 될겁니다
아 그럼 캔슬된다는 말이
어차피 경우의 수/ 경우의 수 라서 다르게 봐봤자 캔슬된다는 건가요?
뭐 약분된다고요...
이걸 설명을 안했었네요..
아하 넵 감사합니다...!
경우의수 6 6 3떠서 E값이 9/5가 뜨네요
네ㅔ 맞아요...!
이해가 안된느데 조금만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경우의수 구하는건 약간의 노가다가 필요하긴 해요.
왼쪽부터 1 2 3 4 5 6번 자리라 할게요
##위치만 먼저 정해놓으면 됩니다. 1이 쓰인 공과 3이 쓰인 공끼리 자리바꿈 가능하니 미리 분모분자에 2를 나누고 시작할게요##
2 사이에 1개의 숫자가 있는 경우는 1,3번 자리에 있는 경우랑 2,4번 자리에 있는 경우 더해서 2를 곱하면 되죠. 대칭적이니까요.
1,3번 자리에 있는 경우는 4-5번 자리에 있는 공이 달라야 하고, 5-6번 자리에 있는 공이 달라야 하니까 결국엔 2번-5번, 4-6번 자리끼리 같은 공이 배열될 겁니다.
2,4번 자리에 있을 때는 5번자리와 6번 자리에 들어갈 공이 다르기만 하면 되니까 해보시면 2가지가 뜰 거예요.
X=2일때도 마찬가지로 2가 1,4번 자리에 있을때 2가지 2,5번 자리에 있을때 2가지 대칭성 고려하여 총 경우의 수 6
X=3일때는 2가 1,5번 자리에 있을 경우 1, 1,6번 자리에 있을 경우 1. 대칭성 고려하여 경우의수 3
흐아…너무 감사합니다…!!
이웃하지 않게 배열할 경우
전체경우 -( 11, 22, 33일 경우 - 1122, 1133, 2233일 경우+112233일 경우)
6!/(2!*2!*2!) - (3×5!/(2!*2!*2!)-3×4!/2!+3!)=30
X=1일 경우
(212313 또는 232131)
=> 2*(4!/2! - 3!) = 12
X=2일 경우
(231213으로 배열될 경우)
=> 2*3! =12
X=3
(30-X1일 경우-X2일 경우) =6
아 정말 감사합니다ㅜㅠ
그런데 처음에 전체 경우를 셀 때는 같은 것을 포함한 순열로 계산하셨는데 X=1, X=2, X=3 인 경우를 구할 때, 2를 서로 다른 2로 봐야하는 것 아닌가요…?
하ㅠㅠ제가 뭔가 이상한 부분에서 헷갈리고 있는 것 같은데 그걸 잘 모르겠아요…
2 두 개는 같은 걸로 봐야합니다
212와 같이 한 덩이로 묶으셔야 합니다
그 부분이 이해가 안 가요…
확률 구할 때는 같은 것도 다르게 생각하라고 배웠는데 왜 같은 걸로 보는거죠…?
22는 같은 걸로 보되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의 수를 다르게 보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