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V01V3(이볼브) [1336775] · MS 2024 · 쪽지

2025-09-17 16:25:48
조회수 66

6모 분석(개인 공부용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14894

1번. 플룸구조론에 관해 묻는 문제임.


->차가운 플룸은 섭입되는 해양판에 의해 생성되어 가라앉고, 뜨거운 플룸이 상승한다는것,

그리고 뜨거운 플룸은 멘틀과 외핵 사이에서 생성된다는것만 알아도 푸는데 지장은 없음

(시소를 생각하면 편함)


+)유라시아쪽에 거대한 차가운 플룸이 가라앉고있다는것도 알아두면 좋을듯..


아무튼 답은 ㄱㄴㄷ임


2번. 섭입대에서 생성되는 마그마종류를 알아야됨.


섭입대에서 물에 의해 용융점이 낮아져서

암석이 용융되어 현무암질 마그마가 형성됨.

그리고 그게 상승해서 대륙지각을 가열하면서

유문암질 마그마가 생성됨.

위의 현무암질 마그마와 유문암질 마그마가 섞이면서

안삼암질 마그마가 생성됨.

그러니까 웬만한 화산암+심성암은 다 형성됨.


+)현무암질 마그마의 SiO2 함량이 가장 낮고,

유문암질 마그마는 제일 높다는것도 알았으면 좋을듯.


+)상승하는 물질이 다른 물질보다 밀도가 낮다는것도 알았으면 좋겠음.


3번. 해수의 밀도와 염분을 비교하는것에 대한 문제임.


염류의 총량이 일정하다는거. 이거는 안봐도 바로 넘어갈 수 있었음.


수온의 연교차는 가장 차가울때, 그리고 가장 뜨거울때를 봐야 알 수 있음.

(1월과 7월 비교해도 ㄱㅊ)


표층해수--->이게 웬만하면 수심 0미터 이런식으로 혼합층이랑 수온약층을 간접적으로 제시할때도 있는데

암튼 수온이 낮을수록 염분이 높을수록 해수의 밀도는 줄어든다는걸 알아야 함.


4번. 위성영상


진짜 뒤지게 헷갈림.

가시영상은 하얗게 보일수록 구름이 두껍다는 것이고,


+)가시영상은 구름에서 반사되는 햇빛이 강할수록 밝게 보임-->그래서 구름의 두계가 두꺼울수록 밝게 보임.

(밤에는 관측 불가)


적외영상은 하얗게 보일수록 구름이 높은 위치에 있다는 거임.


+)구름의 최상부의 온도가 낮을수록, 구름의 최상부의 고도가 높을수록 밝게 보임.

구름 최상부의 온도가 낮을수록 구름 최상부에서 방출하는 적외선 에너지양이 적음.


그러니까 하얗다?

무조건 온도 낮음, 높이 있음, 적외선 에너지량 적음

이렇게 잡아야 함.

(적외영상에서는)


5번. 해류


이름 웬만하면 외우자.


북태평양 아열대 순환: 시계방향으로 순환

북적도 해류(서쪽으로)--->쿠로시오 해류(북쪽으로, 동한난류의 시초)---->북태평양 해류----->캘리포니아 해류


북태평양 해류랑 캘리포니아 해류는 한류이고,

북적도 해류랑 쿠로시오 해류는 난류임.


한류가 용존산소량이 많음->영양염류 많음-->플랑크톤 많음


북대서양 아열대 순환: 역시나 시게방향으로 순환


북적도 해류-->멕시코 만류-->북대서양 해류-->카나리아 해류


남태평양 아열대 순환: 반시계 방향으롯 순환

남적도 해류--->동오스트레일리아 해류--->남극 순환 해류--->페루 해류


남대서양 아열대 순환: 반시계 방향

남적도 해류-->브라질 해류-->남극 순환 해류-->벵겔라 해류


+)0도~30도: 무역품

30도~60도: 편서풍

60도~90도: 극동풍


각각 서쪽으로, 동쪽으로, 서쪽으로 분다.


6번. 태풍


전형적인 준킬러.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반갈죽한다음

오른쪽이 위험반원(풍향 쌤)
왼쪽이 안전반원(풍향 약함)


+)태풍의 중심과 관측소 사이의 거리는 기압을 비교해보자.

더 낮은게 더 가까이 있다는 거임.


7번. 상대연령


부정합, 단층, 포획-관입을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였음.


경계면이 부정합이라면 그 사이에는 많은 시간이 있었다는 의미이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