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칼럼? | ㄴㅈ 뒤의 경음화에 대하여(앉다, 얹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14785
표준발음법 23, 24, 25항을 보면 그냥 끄덕끄덕하면서 넘어갈 수 있는 부분이 있고, 그렇지 않은 부분이 있음!
제23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제24항 어간 받침 ‘ㄴ(ㄵ), ㅁ(ㄻ)’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제25항 어간 받침 ‘ㄼ, ㄾ’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24항에서 어간 받침 'ㄵ'이 들어갔기 때문임.
이게 왜 문제냐?
25항에서 다루는 '핥다[할따]'와 비교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음.
'핥다'의 경우 ㄹㅌ -> ㄹㄷ를 상정하지 않으면 경음화(된소리되기)가 일어날 이유가 없기 때문!
그런데 'ㄵ'은 직관적으로 문제가 있어 보임. 왜냐하면 24항이 주장하는 바를 그대로 이행하기만 해도, 자음군 단순화가 먼저 일어난 뒤 어간 받침 'ㄴ' 뒤에서 경음화가 일어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
하지만 국립국어원의 표준 발음법 해설을 보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음.
사실은 'ㄵ' 뒤의 경음화는 23항에서 다루는 'ㄷ' 뒤에서의 경음화라는 것임!
열심히 조항을 더 뒤져본다고 하더라도 이 이상의 설명은 제공되지 않음.
그렇다면 대체 왜 어간 말음 'ㄴ' 뒤의 경음화가 아니라 'ㄷ' 뒤의 경음화로 보는 것이 합리적일까?
이것은 학생 수준에서는 발견하기가 절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대충 다음과 같음.
'ㄴ' 뒤의 경음화는 어간 받침이라는 비음운론적인 조건을 요구하는 경음화인 반면,
'ㄵ' 뒤의 경음화는 순수한 음운론적인 경음화이고, 이는 필수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임.
수험생 중에 이게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싶긴 하지만,,, 그냥 올려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화작런 지금 가능한가요?
-
18+2 전략으로 가도 생명 1등급 받을수 있을까요? 비킬러13, 준킬러4 는 다...
-
낼 다 풀고 후기 도전
-
아니면 정답만 호ㅓㄱ인하고 나중에 해야할 태도 잡고 걍 넘어감? 김승리가 기출은...
-
제목그대로 고3 현역, 영어 수준은 3월 2등급 5,6,7,9월 1등급 받았습니다...
-
ㅠㅠ
-
진짜곧죽을득ㅂㅇ
-
사설국어 0
다들 이감은 사설느낌 많이 안 난다는데.. 저만 많이나는건가요 문학에서 애매한게...
-
나 2시간만 들어도 집중 다 깨지는데 몇시간까지 보기 ㄱㄴㅠ
-
이스뤠이내애여어얼데에이예이예에애
-
컷 자체가 뭔가 널널한 느낌이 들긴 하는듯… 솔직히 이번 9모 미적 1컷 84...
-
다 풀고 채점하고 해설강의 들으려하는데 강의 듣기전에 한번 제가 분석하고...
-
원래 복장규정이 있었냐..;;? 아니 나 더위 잘 타서 나 때문에 에어컨 세게 틀...
-
기분좋아
-
좋은 밤 되세요!
-
고3~재수 6모까지는 질투 엄청 심했음. 작년 6모 끝나고였나. 친구가 워낙에...
-
적절한 김치가 없다는 데서 나오지 않을까 일단 엄마 김치가 있어야 함.
-
밤 몇시까지 하나요? 주점 운영하나요?
-
국어 유기했어서 수특만 다 풀고 강e분 완강한 거 말곤 암것도 안 함 걍...
-
ㅎㅎ..
잘읽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그래서 정확히 얘기하기가 어려워서 전 왜냐고 물어보는 분들에게 우리 머리 속에서 '앉다'의 어간은 연음 같은 현상이 있기 때문에, '앉-'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이건 '안-'이나 '신-'과는 다르다고 설명하는 편입니다.
그러고 보니 전통적인 제주 방언도 비음 어간 뒤에서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물론 제주방언에선 '앉다'가 '앚다'로 쓰여서 '앉다'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주지는 못합니다만...
아 참고로 경상 방언의 경우도 요즘 비음 어간 뒤 경음화가 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비음 어간 뒤 경음화가 확산되고 있는데 경북이 경남보다 그 확산 정도가 크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