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칼럼? | ㄴㅈ 뒤의 경음화에 대하여(앉다, 얹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14785
표준발음법 23, 24, 25항을 보면 그냥 끄덕끄덕하면서 넘어갈 수 있는 부분이 있고, 그렇지 않은 부분이 있음!
제23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제24항 어간 받침 ‘ㄴ(ㄵ), ㅁ(ㄻ)’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제25항 어간 받침 ‘ㄼ, ㄾ’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24항에서 어간 받침 'ㄵ'이 들어갔기 때문임.
이게 왜 문제냐?
25항에서 다루는 '핥다[할따]'와 비교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음.
'핥다'의 경우 ㄹㅌ -> ㄹㄷ를 상정하지 않으면 경음화(된소리되기)가 일어날 이유가 없기 때문!
그런데 'ㄵ'은 직관적으로 문제가 있어 보임. 왜냐하면 24항이 주장하는 바를 그대로 이행하기만 해도, 자음군 단순화가 먼저 일어난 뒤 어간 받침 'ㄴ' 뒤에서 경음화가 일어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
하지만 국립국어원의 표준 발음법 해설을 보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음.
사실은 'ㄵ' 뒤의 경음화는 23항에서 다루는 'ㄷ' 뒤에서의 경음화라는 것임!
열심히 조항을 더 뒤져본다고 하더라도 이 이상의 설명은 제공되지 않음.
그렇다면 대체 왜 어간 말음 'ㄴ' 뒤의 경음화가 아니라 'ㄷ' 뒤의 경음화로 보는 것이 합리적일까?
이것은 학생 수준에서는 발견하기가 절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대충 다음과 같음.
'ㄴ' 뒤의 경음화는 어간 받침이라는 비음운론적인 조건을 요구하는 경음화인 반면,
'ㄵ' 뒤의 경음화는 순수한 음운론적인 경음화이고, 이는 필수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임.
수험생 중에 이게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싶긴 하지만,,, 그냥 올려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노래방을좀일찍가라고 사실그냥벨누르고말하면되는데 그런걸잘못함...
-
가능함? 피자 6조각을 15명한테 나눠주면 이게 먹는거야? 핥는거나 다를게 없잖아
-
1~4에서 랜덤으로 나옴 (기출 1회독도 안함)
-
사설 커하가 잊혀지질 않는다
-
이거 모르는사람 은근 많은 듯 문헌연구가 질적연구 느낌이라 그런가
-
팩폭당함시발 5
-
내일프미나를 8
보러가볼가 두구두구
-
일단난안누름
-
전에 1인실 썼다가 너무 어둡고(밝은게 좋아) 뭔가 좁고 답답해서 한 달만 쓰고...
-
50홈런 50탈삼진 씹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도망칠 거면 지금 도망쳐. 병신처럼 남은 60일에 부모님 돈 개박살나게 하면서 노력...
-
그냥 금욕하면 되잖아? 이걸 왜 몰라서 아침점심저녁마다.
-
선명한 목표를 향해 달려나가는 사람은 참 아름다운것같음 6
나는 이제 가슴속에서 타오르는 목표를 잃어버려서 공허하게 살고있음
-
접속이 안돼요ㅜㅜㅜ
-
모두 잘자시오
-
빡쳐서 참교육 드간다
-
강사 goat 4
오지훈
-
이건 해봐야지~~
-
20수능 윤동주의 지문인데 내 괴로움에는 이유가 없을까, 하면서 괴로움에 이유를...
잘읽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그래서 정확히 얘기하기가 어려워서 전 왜냐고 물어보는 분들에게 우리 머리 속에서 '앉다'의 어간은 연음 같은 현상이 있기 때문에, '앉-'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이건 '안-'이나 '신-'과는 다르다고 설명하는 편입니다.
그러고 보니 전통적인 제주 방언도 비음 어간 뒤에서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물론 제주방언에선 '앉다'가 '앚다'로 쓰여서 '앉다'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주지는 못합니다만...
아 참고로 경상 방언의 경우도 요즘 비음 어간 뒤 경음화가 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비음 어간 뒤 경음화가 확산되고 있는데 경북이 경남보다 그 확산 정도가 크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