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동서독 옹이 말아주는 오르비 인증 이야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710334
오르비의 역사는 '인증' 그 자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2000년대 초반까지 전화 인증 제도를 거쳐야만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었고, 최상위권의 식별인 에피옵티무스 가입은 성적표 인증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어찌 보면 오르비야 말로 숱한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 가운데 인증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르비에서의 본인의 얼굴이나 몸 사진 인증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아직까지 그 기원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그 발원지라고 알려진 '생활상담실' 게시판에서 여러 고고학자들이(나 혼자) 수십 분 간 연구한 결과, 대략 2005년 후반부터 2006년 초반 사이에 이미 '인증'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보이기 시작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게시물의 형식과 내용 또한 현재의 인증글과 매우 흡사하고요. 따라서 인증은 못해도 2005년에 시작되었고, 2006년부터는 오르비의 보편적인 문화로 자리를 잡았다고 보는 것이 옳은 견해일 것입니다.
인증 초창기에는 명칭이 지금과는 다른 '인증샷'이었습니다. '인증'과 '샷'의 합성어로 유저들 사이에서 널리 쓰였습니다.
지금은 오랜 경험과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의사 지망 수험생들에게 훌륭한 멘토 역할을 해주고 계시는 nicewing님의 학창 시절 모습. 10년 전에는 저희들도 아재가 아니었습니다.
인증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목소리는 8년 전에도 존재했습니다. 저 때에는 일베가 없던 시절이라 조리돌림 공포의 대상은 주로 디씨였습니다. 그래도 꿋꿋한(?) 오르비언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꾸준히, 그리고 더욱 활발히 인증 퍼레이드를 펼쳐 나갑니다.
2007년과 2008년 사이, 드디어 인증샷이라는 명칭이 사라지고 '인증'이라는 표현이 보편화되기 시작합니다.
예나 지금이나 오르비가 남초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습니다. 오르비 인증의 주인공은 누가 뭐래도 여성 유저. 그렇기 때문에 그 해의 인증 농사가 풍년인지 흉년인지는 그 해에 주목할 만한 여르비가 있었는가, 없었는가, 있었다면 다수였는가, 소수였는가 등으로 판가름 나곤 했습니다. 주목할 만한 여르비들이 주도적으로 인증에 나서기 시작하는 순간, 그 해의 인증 농사는 대풍년을 맞이하게 됩니다.
2008 ~ 2010년은 어느 때보다 인증이 격렬했던 시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제 인증을 보기 위해 유저들이 어느 날 새벽, 6페이지 넘게 달렸던 적도 있을 정도로, 인증의, 인증에 의한, 인증을 위한 삶을 살아가는 오르비언들이었습니다.
그러는 사이 적지 않은 문제들이 불거졌습니다. 오르비 인증의 발원지이자 근거지는 생활구의 생활상담실. 이 곳의 취지는 게시판의 이름대로 생활 전반적인 부분에 대한 '상담'을 하는 것이었습니다.
지금이야 태그제로 시스템이 바뀌어 옛날의 규정들이 많이 사라졌지만 과거 생활상담실은 까다로운 제약으로 유명했습니다. 당연하게도 상담이 아닌 일반적인 내용의 글은 쓸 수 없었고(자게화 방지 차원), 입시나 학습에 관한 상담도 쓸 수 없었으며, 본문의 내용도 다섯 줄 이상이어야 했습니다.
그런 생활상담실에서 새벽마다 인증을 달렸으니, 참다 못한 운영진은 칼을 빼들었습니다. 인증 게시물에 블라인드 처리를 하고 유저들에겐 독포를 부여했던 것이죠.
그러나 일제의 탄압이 우리 조상들의 독립 의지를 꺾을 수 없었듯이, 운영진의 탄압(이라 쓰고 매우 합리적이고 지극히 당연한 처벌이라고 읽는다)에도 오르비언들의 인증에 대한 갈망은 꺾이지 않았습니다.
그리하여 오르비 운영진은 문화 통치를 천명하고 유화 정책을 내놓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인증 게시판의 탄생이었습니다.
꾸준한 처벌에도 인증이 끊이지 않자, 아예 멍석을 깔아준 것입니다. 인증을 위한 독립된 게시판을 만들어 생활상담실에서의 인증을 차단하고자 한 것이죠.
생활상담실은 사진관, 수능자유게시판 등과 더불어 오르비에서 가장 이용 인구가 많은 게시판 중 하나였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영진은 생활상담실을 본연의 모습으로 지키기 위해 여러 노력을 했고, 그 일환이 인증 게시판과 생담반상회의 탄생이었습니다. 인증 게시판에서 인증을 하고, 생담반상회에서 친목을 하라는 의도였죠.
생담반상회는 제 역할을 톡톡히 해냈습니다. 생활상담실과 프로솔로동 등지에서 상주하고 있던 숱한 오르비 폐인들이 대거 그리로 몰려간 것이죠.
그러나 안타깝게도 인증 게시판은 얼마 안 가 정적에 휩싸이게 됩니다. 그리고 다시, 새벽에 생활상담실의 불이 켜지게 되죠. 그리고 약 2년 후, 오르비는 대대적인 개편을 통해 게시판 체제에서 현재의 태그 체제로 변모하게 됩니다.
체제가 바뀐 이후에는 한동안 인증이 뜸하다, 2012년에서 2013년 사이 다시 인증 러쉬가 부활하게 되는데 이 때부터 인증은 수능 이후부터 개강 직전까지인 당해년 12월부터 익년 2월까지 약 석 달 동안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나머지 3월부터 11월 동안은 잠잠하게 되는 패턴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즉, 시즌과 비시즌으로 구분된 셈이죠.
2014년은 오르비 인증 역사상 세 손가락 안에 꼽힐 정도로 화려했던 시기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소위 기적의 세대라고 불린 여신급 여르비들의 인증이 난무했고, 무관의 오장이라고 불린 훈남 인증러들도 다수 등장해 오르비의 새벽을 환하게 밝혔습니다.
물론 이로 인한 부작용이 없는 것도 아니었습니다. 2014년 오르비를 뜨겁게 달궜던 인강 조공 사건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오르비에서의 인증으로 인한 문제점으로 타 사이트로의 사진 유출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과거에는 그보다 인증한 여르비에 대한 남르비들의 과도한 관심과 도를 넘는 치근거림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1. 예쁜 여르비가 인증한다.
2. 많은 유저들이 칭찬한다.
3. 기분 좋아진 여르비가 몇 차례 더 인증한다.
4 - 1. 몇몇 유저들이 시도 때도 없이 인증을 요구하거나 성희롱적 발언을 한다.
4 - 2. 몇몇 유저들이 쪽지로 연락처를 묻거나 음담패설에 가까운 농담을 한다.
5. 이에 회의를 느낀 여르비들의 탈르비행
이런 상황으로 인해 유저들이 오르비를 떠나는 일이 종종 있었고, 그 때마다 일부 유저들이 나서 자성과 반성을 촉구했지만 크게 달라지는 건 없었습니다.
옛날 오르비언들은 호환, 마마, 전쟁 등이 가장 무서운 재앙이었으나, 현대 오르비언들은 무분별한 인증을 게재, 관람함으로써 비행 오르비언이 되는 무서운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유익한 커뮤니티 활동인 인증을 바르게 선택, 활용하여 밝고 고운 심성을 가꾸도록 우리 모두가 바른 길잡이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한장의 인증, 사람의 미래를 바꾸어 놓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야동사서독 옹
참고로 위의 글에서 "10년 전에는 저희들도 아재가 아니었습니다"라는 부분이 있는데 저희들 입장에서 보면 "20년 전에는"이겠죠. 지금 오르비를 하는 사람들(team08, team 07, team 06)이 막 태어나던 시기에도 인증 문화는 있었습니다. 그 당시 오르비는 정말 엄청나게 폐쇄적인 커뮤니티였기에 가능했었겠지만 말이죠
그때나 지금이나 인증은 여전하지만, 친목의 정도는 심해졌다고 느껴집니다. 저도 오르비를 꽤 한 편인데, 확실히 그때와는 느낌이 꽤나 달라졌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ㄹㅇ 미친거같음 로그지수 삼각함수 풀면서 드릴이랑 비슷한듯 했는데 사인코사인법칙...
-
아티스트 맨 앞페이지에 있네 시즌1은 없었던거 같은디
-
9모 84점입니다 15 21 22 28틀이구요 확통이에요. 저 네문제 빼면 30분...
-
11회 쉽다며 나 왜 11번하고 13번 못풀었는데 9모랑 비슷하다고? 뭣됐네?
-
수능 수학 11, 14, 15, 20, 22, 28, 29 확정이네 3
11: 속도 가속도 ㄱㄴㄷ 14: 삼각함수 15: 수2 그래프 추론 20: 빈칸...
-
[인문/규범] 2009 LEET예비 35~37 황종관 2019 LEET 10~12...
-
씨발
-
기출이랑 실모 풀면서 보니까 시험지가 어려울 땐 비유전 + 근수축, 막전위,...
-
확통 백분위 6모 54 9모 63 백분위 70 까지만 올리고 싶어요 ㅜㅜ 어떻게...
-
활동보조인인가 난 안한다했음 활동보조인은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을 도와주는...
-
좀 친해지다가 나중에 나이 공개할 수 없는 건가…..ㅜㅜ
-
대성강의 들어도됨?
-
언매총정리 비문학 고난도 지문정리 둘중에뭐먼저올리면좋을것같노?ㅇㅇ
-
lim x->inf, x/x=1 에서 x가 수가 아니잖음
-
지금 확통 매우 비상인데 어떨까요 들으면 누구 들을까요
-
아이폰 vs 갤럭시 16
중에 평생 한쪽만 써본 사람 있음?? 살면서 아이폰 안 써봤다거나 그 반대라거나
-
홍대서 폭행당한 대만 유튜버…가해자 알고보니 20대 중국인 2
구독자 약 46만명을 보유한 대만인 유튜버가 '한국에서 낯선 남성들한테...
-
학생회, 노조, 학교 운영위원회 이런건 왜 공식 조직이고 학교내 밴드부 학교내...
-
6∼12세 초등학생이 집안에서 아픈 가족을 돌보거나 설거지·농사일까지 떠맡는 ‘꼬마...
-
내년 즉 지금 고2 학생들이 보는 수능에서의 사탐런 현상은 어떻게 될까요? 올해와...
-
화작 2컷 몇인가용 ㅠ
-
머리 좋은데 공부 안한다? 십중팔구 이 말이 문제다 1
추천! 더중플-헬로페어런츠(hello! Parents) 아이가 특정 분야에 재능을...
-
서프 언매 ㅅㅂ 0
36번에 삼촌과 진수 대화에서 진수 아버지가 당연히 삼촌의 형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
개강한 날짜 언제에요? 궁금해서
-
정시로 간다했을때 각과목마다 몇등급이상씩은 나와야해?
-
a=1이고 b가 엄청큰숫자여도 성립하는데..
-
브레튼우즈빼고 그건이미분석해서올렷어
-
심찬우랑 이원준 방식이 맞는거같아서 다시 틀잡고 인식론적 도식으로 푸는거로 돌아가야겠다
-
언매 98 확통 100 영어 2 한지 48 세지 48 받고 경한 뚫어보자 ㅈㅂ
-
"입장료 올릴까 말까" 이분법에 갇힌 국립중앙박물관 유료화 논쟁 1
국립중앙박물관이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최근 부쩍 늘어난 관람객으로 문전성시를...
-
뭐 푸는 게 제일 좋나요?? 김승리 아수라 따라가려고 하는데 그 전 커리는 올오카...
-
확통 한완기 사려고 하는데 미친기분, 4점기출처럼 오답률 높은 28-30만...
-
7시간수면 0
고1인데요 중간 6일남았거든요 학교에서 쫌쫌따리 공부하고 밥먹기전에1시간...
-
강의실 가는 사이에 신발이랑 바지 다 젖음;;
-
힐링되네
-
일본위에 남조선 올려봄
-
문제가 생긴거부터 괴랄하고 뭘 풀라는건지 감도 안오는 건 그냥 깔끔하게 뻐큐하고...
-
마트 알바 나쁘지 않아보이는데
-
어디까지 갈수있는지 보는것도 재밌지 않을까
-
일반고 내신 1.1대에 권장과목 이수했고 생기부는 평범하면 aa받을 수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학습관련해서 몇 가지 궁금한 게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1.나의 언어로...
-
반응이 어떨까
-
모든예산을 다 삭감하고 철도공사도 다 취소시키고 모든 예산을 영호남,충청,강원에...
-
뜨거운 물 소량에 믹스커피 한 세 봉 넣고 녹이고 찬 물 넣고 흔들면 걍 바로...
-
3과탐이나 3사탐 선택 가능한데 굳이 했음 선생님이 하지 말라고 했는데 그냥 해버렸음...
-
지금부터 들을만한 언매 파이널 인강 좀 짧고 빠르게 끝낼 수 있는거 추천해주세요
-
문학은 좀 쉬운편이고
-
학원가는데 다 젖으면 공부 안된단 말임
-
입시 플랫폼 인앤써가 이번에 합격자들이 실제로 썼던 답변들을 공개했서용 인스타에...
와이고수?
?
아이민이 5자리 ㄷㄷ
2010년에 가입하신 분임. 그래서 오르비 역사 글 자주 쓰셨음
외쳐 야!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