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도 평가를 할 때 보통 절대적인 기준에서 비교함, 시대의 흐름에서 비교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90973
예를 들어서
201130(나) vs 260915
240628 vs 260628 vs 260928
난 갠적으로 절대적 관점에서는 시간이 지나고 나온 문제들이 대부분 어렵다고 생각함.
근데 시대 흐름을 반영했을 때 기준으로는 오히려 역순으로 갔을 때가 더 어렵다고 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야식추천해주셈 7
간단한거
-
믿고해보셈
-
더워 5
에어컨 라스트 댄스 간다
-
강윤구 그는..
-
섹 0
섹 버거
-
논리실증주의자는 예측이 맞을 경우에, 포퍼는 예측이 틀리지 않는 한, 1
논리싫증주의자는 관심이 없다
-
미기확 수1수2 고1수학은 기본에 원통 부피구하기 이런 것들 다시 첨가해버려야함
-
잘 1
자
-
원본 문제 https://orbi.kr/00074709019...
-
ㅇㅇ
-
원석을 알아보지를 못하니 결국 본인이 이미 마음이 떠난 것 같아서 안타깝 얘도 나름...
-
체스 시작햇음 5
2승3패
-
나 꿀벌한테 쏘여봤는데 15
먼저 안 건들면 안 쏜다는데 진짜 가만히 있었는데 손가락 쏘고감
-
문제 퀄 왤케좋음? 드립이 아니라 진짜 그냥 순수하게 문제가 좋은데?? 입문엔제같은...
-
동네 수학학원에서 테스트 보면 항상 가장 높은 반 나오는데(3곳 봄), 학원에서...
-
ㄱㄱㄱㄱ
-
차단목록 6
어 그래
-
살아잇나
-
요새 느끼는게 수능수학 잘푸는게 생각보다 의미없단거임 3
대1 미적분학만 배워도 수학의 세계가 다채로워지는데 수능수학 푸는거 너무...
-
자러가십쏘스 4
-
시마이 0
테마 엄청이쁘네
-
차단 목록 공개 1
늙은노베제외 x
-
차단목록 2
공개원하면 천만덕주셈
-
문제들이 참 좋음
-
기말고사 끝나고 n제 드갈라는데 시대북스랑 메가스터디꺼만 풀거임 (대성이랑 이투스...
-
보조용언은 '본용언+-아/-어+보조 용언' 또는 '관형사형+보조 용언(의존...
-
다들 뭐해여? 5
-
체급이 확실히 높아진 듯
-
복권 당첨도 잘되시네 이래서 착하게 살아야해…
-
애기낳을까 6
흠
-
?? : 공부에 매진할거니 재릅안한다 연락하고 싶으면 옯스타로 오라 @p01nt0
-
이번 9모 찍맞 빼면 안정 4 나왔는데 3등급이 목표거든요ㅠ 실전개념 듣는 거...
-
차단 24명이네 6
근데 대부분 그 이상한 광고계임....
-
새르비하던 동료들 다 어디감
-
원래 그불구 들을려다가 모고랑 같이 묶어서 파는거때매 걍 키센스 들을까하는데...
-
50덕 주는겨 ?
-
30대인데 학창시절에 수학공부를 못한게 한이 돼서 지금이라도 하고 싶어요. 수학에...
-
ㄱㅊ
-
조의금은 여기로
-
나랑도 맞팔 2
마팔
-
주인 잃은 레어 6개의 경매가 곧 시작됩니다. Neuralink"일론 머스크의...
-
물리 시간부족 1
현정훈 선생님 계속 들어서 풀이는 많이 단순화되고 역학도 선생님풀이처럼 꽤 비슷하게...
-
작년에 이지영 샤모 풀었었는데 올해꺼 아직 안나왔어서.. 사설 모고중에 뭐가 좋음? ㅊㅊ좀
-
6모 9모 둘 다 1등급 나오기는 했는데 둘 다 독서가 평이했다보니까 독서가 좀...
-
오 만 덕 당첨 3
개꿀ㅋ
-
안녕하세요 1
안녕히 주무세요
-
지금 2
고양이랑 침대에 누워잇음
-
인강 듣기 0
인강을 당연히 내년에도 있을 줄 알았는데 개정되면 사라진다는 걸 이제 알았어요...
-
솔직히 말해봐요 3
이거 당첨 안되는거죠
어떤 주제로 이야기를 하냐에 따라 다를 듯
대부분은 절대적인 난이도로 말하는 거 같긴 한데, 단일 문항끼리의 비교야 그럴 수 있겠으나 시험지끼리의 비교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함
ㅇㅈ
대표적으로 2411 같은 경우 모두가 쉽게 나올 거라 맹신하다 뒷통수를 맞았던 지라 그런 거는 충준히 시대를 봐줘야 한다고 생각함
그런 걸 봐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었음
평가원에서 다뤘던 모든 문항은 이후에 모든 교재들이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도록 주구장창 소재로 쓰기 때문에 당시 수험생들이 느꼈을 난이도와 현재까지 축적된 소스로 공부를 한 수험생이 느끼는 난이도는 분명히 다르기 때문임
171130도 이런 맥락에서 기울기 함수라는 소재는 지금에 와서는 흔하디 흔해빠진 녀석인데, 저때 당시에는 저걸 저 정도 난이도로 다뤘던 적이 없었음
지금 봤을 때 과거의 킬러 문항(ex. 171130)이 어려운 문항인가를 생각해보면 좋은데,
지금은 이과가 그거 못 풀면 걍 수학 접어야 될 수준임
당연히 공부를 할 때 시계열순으로 푸는 게 아니니 수험생들 입장에선 절대적 비교를 주로 할 수밖에 없는 거 같은데 그런 비교를 하는 게 실력의 척도로 쓰는 게 아닌 이상 뭔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음
171130은 지금 봐도 킬러 같긴 한데...ㅋㅋ
근데 아랫부분은 동의하긴 함.
나도 그렇도 사람들이 문제 서열화 하기 좋아해서 이런 류의 논쟁들이 벌어지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