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경제 총잉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85277
난 정부가 개입하면 당연히 총잉여 감소인줄알았는데
총잉여 = (소비자잉여+생산자잉여)였음?
총잉여 = (소비자잉여 + 생산자잉여 - 정부지출[보조금] + 정부수입[세금])
이런 구조라고 생각했는데
첨에 리드인 들을때 착각한건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국 AI 역량 이 정도일 줄이야”...미국·중국 이어 세계 3위 1
우리나라가 배출한 인공지능(AI) 모델의 역량이 양강 국가인 미국과 중국에 이어...
-
자살하고싶다 1
넹
-
내일 더프보는데 스포당할라
-
어렵다고해주세요 제발 15번에 25분쓰고 망했음..
-
나도 이제 에어팟 프로3 오우너
-
아까 더프 본것도 22번 다 풀어놓고 마지막에 280을 260으로 보고 마킹...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
-
레더자켓 ㅇㅇ
-
남들보다 12시간 먼저 일어난 슈퍼얼리버드
-
어떰 갈만함?
-
지금 일어남 1
아니 이게 무슨...ㅁㅊ...
-
확통 30 답 1
왱케다르지 누군 19 누군 28… 내얖자리앉은애는 14나왓다던데ㅜ뭐여
-
왜냐면 진짜 응시를 안 했거듬
-
84면 1가능할까요… 이번에 진짜 개어려워서 풀다 눈물날뻔했는데 다들 왤케 잘보심;; 죽고싶음 걍
-
28맞음?
-
레전드ㅋㅋㅋㅋ
-
ㅠㅠ
-
a 양수잖아 a 음수넣으면 280나오는데
-
더프 국어 1
화작에서 18분 정도 썰림.. 하 ㅅㅂ
-
슬프네
정부개입은 총잉여감소아녓어요? 무조건감소하는줄
근데지금 하이스트풀고있는데
총잉여 = 소잉+생잉으로 나오고
"총잉여에서 정부지출을 빼고 정부수입를 더한 값" 이라는 워딩이 따로 나옴 선지에
총잉여는 소잉+생잉으로 알고잇긴함 근데 민준호가 정부개입은 무조건 총잉여감소입니다 ㅣ
러고한덕이잇는것같은데ㅡ하… 머지
그니까 저도 후자땜에 그렇게 생각한거임

지들 멋대로임 ㅋㅋㅋ하..
이거 문제마다 정의가 달랐던걸로 기억하는데 되게이상해요
경제라는 과목은 왜 이럴까요
모호한 워딩이 너무 많음

뭔가 명확하게 답떨어지는거 같으면서도 개념이 모호한게 은근 있는거같아요소잉+생잉맞는데요
근데 정부 개입시 총잉여가 줄어든다는 말을 개념때 들었어서
당연히줄죠
아니.. 소잉+생잉을 총잉여로하면 정부개입시에도 늘어나는 경우가 있는거 아닌가요
무조건 감소해요
지금 하이스트 풀고있는데
정부가 특정 가격에서 전량 매입해서 특정 가격에 전량 판매하는 구조인데
소잉+생잉은 늘어요
똑같은 정부 개입이 아닌건가
총잉여=사회적 잉여를 까질 땐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만 따지는 게 맞습니다
안 그러면 관련 없어 보이는 외부 효과 문제 선지들이 죄다 맛탱이가 가 버려요
예를 들어 소비 측면에서 외부 불경제를 정부 개입으로 교정하면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가 모두 감소하지만(수요와 공급 법칙을 가정한다면) 조세수입을 고려하기 시작하면 뒤죽박죽이 되어 버릴 수가 있습니다
위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총잉여가 감소한다’는 서술이 옳았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총잉여가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의 합이라는 설명이 맞아 보입니다
+ 정부의 개입이 항상 총잉여 감소를 불러오는 것은 아닙니다
위의 경우와 반대로 정부가 소비 측면의 외부 경제를 교정하는 상황을 생각해 보시면 간단합니다
이처럼 외부 효과 등 시장의 비효율성을 교정하는 정부의 개입(=교정적 개입)은 총잉여의 증가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정부도 생산자 소비자에 포함되서그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