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sh하기 · 1229137 · 8시간 전 · MS 2023

    점수 어떻게 확정지어요?

  • 치즈과학고 · 1399926 · 8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비례대표에서 가장 극단적인 케이스가 11/3/2/1이고, 두번째로 극단적인 케이스가 10/4/2/1이므로, 만약에 A당에게 11점을 준 사람이 최소가 되게 하려면 상술한 두 종류의 유권자만 존재해야 합니다. 전자 100%라면 A당이 44석, 후자 100%라면 A당이 40석이므로 내분 공식에 따라 41석이라면 전자가 25%라는 거고, 이게 41석을 얻은 A당의 11/3/2/1의 최소 비율이라는 겁니다. 따라서 ㄱ 옳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11/3/2/1에 따라서 C,D당이 합쳐서 최소 12석(4+8)을 얻을 것이고, 따라서 B당은 비례대표에서 최대 15석을 얻을 것입니다(68-41-12). 따라서 B당의 최대인 36석은 138석의 30%가 되지 않아 ㄴ 틀립니다.

    ㄷ은 님이 논리를 아시는 거 같아 생략합니다.

    ㄹ같은 경우, 지역구는 아시다시피 30석을 얻을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이유에 따라 비례대표 같은 경우 비례대표의 11/17만이 이론적 최대치입니다. 따라서, 30+22=52로, 이는 70+34=104의 과반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ㄹ 틀립니다.

    ㄱ선지 같은 경우, “1등”을 의미한 게 아닌, “유권자가 한 정당에게 기재할 수 있는 최대 점수”를 의미했는데, 중의적으로 해석된 거 같아, 이 점은 죄송합니다.

  • dash하기 · 1229137 · 8시간 전 · MS 2023 (수정됨)

    어찌저찌 찍긴했는데 최대를 생각해야했었네요.. 재밌게 만드셨네요 잘 배우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