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어떻게 공부해야 할 지 모르겠다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79552
반갑습니다. 입시를 넘어 사람을 키우다. Team.medsky입니다.
저는 약학과에 재학중인 21세 학생입니다. 이 글에서는 수능 영어 영역에서 고득점을 확보하기 위한 현실적인 공부법과 시험 운영 노하우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1. 고2 때 적어도 수능 2등급 확보는 필수
이 글을 읽는 고3 학생분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내용이지만, 현재 고3보다 저학년이신 분들에게는 수능 영어 2등급을 받을 실력을 쌓아두는 것을 정말 추천드립니다.
수능 영어는 다른 과목과 비교했을 때 절대평가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간혹 "90점만 받으면 된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뒤늦게 공부를 시작하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고3이 되어보면 알겠지만 생각보다 국어, 수학, 탐구를 공부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쏟는 나머지 영어를 소홀히 하게 되는 학생이 많습니다.
따라서 고2때까지 적어도 2등급, 가능하다면 1등급을 목표로 하여 영어 공부를 마무리 짓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고3 때는 현재 등급을 유지하는 선에서 감을 잃지 않도록 꾸준히 문제를 푸는 방식으로 학습량을 조절하는게 가장 좋은 상황입니다.
생각보다 아주 어려운 문제들을 제외하면 2등급을 받는건 어렵지 않으니 수능이라고 겁먹지 마시고, 공부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90점 맞을 공부'는 90점을 보장하지 않는다
절대평가라고 해서 90점을 받을 만큼만 공부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입니다. 시험 당일의 컨디션, 지문의 난이도, 낯선 문제 유형 등으로 인해 실력 발휘를 제대로 못 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합니다. 90점 커트라인에 아슬아슬하게 걸쳐 있는 실력이라면 시험장에서 한두 문제를 실수했을 때 2등급으로 떨어질 위험이 매우 큽니다. 안정적인 1등급을 목표로 한다면, 어떤 시험에서든 90점 이상을 받을 수 있는, 100점을 받을 수 있을 만큼의 실력을 갖춰야 합니다. 흔들림 없는 실력만이 어떤 상황에서도 원하는 점수를 얻을 수 있게 해 줄 것입니다.
3. 효율적인 영어 단어 암기법
수능 영어의 7할은 영단어입니다. 단어 암기를 할때 많은 반복을 통해 수많은 시간을 쏟는 사람도 있고, 시간을 쏟아도 명확한 실력향상이 눈에 보이지 않아 영단어를 외우는 걸 거부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제가 알려드리는 방법중 학생 여러분 각각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수능 영어의 기초를 다지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단어장 반복 학습
단어장을 활용하면 특정 범위의 단어를 체계적으로 암기할 수 있습니다. 수능 빈출 단어를 빠르게 익히는 데 효과적이며, 어휘력의 기반을 다지는데에 좋습니다. 하지만, 실제 문장 속에서 단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파악하기 어렵고, 단어의 뉘앙스를 익히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스스로 단어장을 만들기는 어렵지만, 남이 만들어준 단어장을 체계적으로 외우는걸 좋아하는 학생들에게 추천드립니다. 또, 단어의 단편적인 뜻만이 아닌, 사용되는 예문도 함께 학습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문제 풀이중 모르는 단어 정리
문제를 풀다가 모르는 단어가 나왔을 때 별도의 노트에 정리하는 방법입니다. 실전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를 중심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문맥 속에서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연습이 자연스럽게 됩니다. 다만, 정기적으로 단어장을 외우는 것 보다는 체계적이지 않을 수 있고, 누적 복습이 부족 할 경우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정리된 단어장을 로봇처럼 달달 외우는 게 싫은 학생들에게 추천드립니다. 다만, 스스로 단어장을 계속 업데이트하고, 지울 건 지우는 실행력이 있는 학생들이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본인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되, 두 방법 모두 장단점이 명확하므로 다른 방법 또한 가끔씩은 병행해주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4. 듣기평가와 독해 병행
듣기 평가가 아무리 쉽다고 해도 다들 하나씩 틀려본 경험이 있거나, 주변의 잘하는 친구가 틀린걸 본적이 있을 것입니다. 언제 어떻게 틀릴지 모르기 때문에 온전히 집중해야 하지만, 단순히 듣기 문제만 풀고 있다면 귀중한 시간이 낭비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듣기 방송이 나오는 동안, 딱 '수능장에서 할만큼만의' 독해 문제를 풀어두는 연습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이 연습은 실전에서 체감되는 시간 부족에 적응하는 연습입니다. 듣기 문제를 틀리지 않는다고 연습하지 않을 것이 아닌, 듣기 방송이 끝나자 마자 독해 문제 풀이에 집중하는 습관을 기르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주일에 1회정도 추천 드립니다.
5. 효율적인 시험지 운영
수능 영어 영역은 총 70분동안 진행 됩니다. 이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등급이 달라집니다.
1. 듣기평가 : 25분
이 시간동안은 듣기 문제를 틀리지 않으면서 본인이 정해둔 풀어야 하는 뒤의 문제들을 안틀리고 푸는것을 목표로 하면 됩니다.
2. 독해 문제 풀이 : 40분
듣기가 끝난 후 남은 독해 문제를 푸는 시간입니다. 고난도 문제에 시간을 충분히 배분하며, 쉬운문제들은 틀리지 않게 하는 최적의 시간 분배를 각자 찾아보기를 추천드립니다.
합쳐서 65분인 이유는 언제 어디서 생길지 모르는 변수를 차단하기 위해서니까 65분을 잘 배분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이 글에서 알려드린 대로 공부하시면 분명히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고,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이나 질문게시판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만화, 영화, 드라마 등의 대중매체에서 노력이라는 것은 재미와 극적인 전개를 위해 뜨겁고 역동적인 것으로 묘사되고는 합니다. 하지만 저를 비롯한 멘토들은 모두 알고 있습니다. 매일매일 반복되는 치가 떨리는 고통, 외로움, 열정이 바닥난 감정을 말입니다. 노력은 사실 극도로 차갑고 정적인 행위입니다.
현재가 외롭고, 차갑다는 것은 노력을 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모두 남은 기간 성공적인 결과에 다가가기 바랍니다.
Team.medsky 드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ㄹㅇ 개쫄림 ㅋㅋㅋㅋ
-
그가 종이에 싼 것을 꺼냈지만 축축이 젖은 것을 보고... 4
서프 국어 요즘 기조랑 안 맞는 듯. 문학은 좀 쉬웠는데 독서가 ㄹㅇ 채점할 때...
-
해설https://orbi.kr/00074709539https://orbi.kr/00...
-
안정적으로 뽑히노
-
부산-대구도 지하철로 연결되었으면 좋겠음 GTX같은 고속지하철 설치해주면 좋겠다...
-
똥테됐는데 2
맞팔 할 사람 없냐.. 탈릅 그만해라
-
덕코 모아서 산타가 되고 싶픔
-
덕코 주지마세요 0
아잇 참;;; ㅎㅎ
-
자야지 1
내일부터는계획바꿔서달리기
-
야 거기 너 0
잘자용 ><
-
월간승리 실모 0
월간승리 사놓고 유기했는데 실모 대신 걍 월간승리 789호 푸는 거 에바인가요?...
-
예를들면 7시에.일어나는사란이 스능날만 6시에 일어난다든가 그렁거
-
살기싫다 13
내 앞에서 살기를 보이지 말 것.
-
다들 0
덕코를 기부하면 내일 실모 만점마즘
-
십만덕 찍어보고 싶어요ㅠㅠ
-
에피? 2
이거 신청햇는데 언제쯤 나오나여?-?
-
하,,, 차은우 군대간 지금이 절호에 기회인데!!!!!, 1
아무리 잘생긴 나라도 차은우 앞에선 좀 힘들어서 세상에 날 보여줄 지금이 절호의...
-
200명 찍어 볼래
-
사랑해요 그대~ 2
있는 모습 그대로
-
설맞이는 시즌2 풀었으면 시즌1 굳이 안봐도되나요??? 1
어떤가요???
-
문학 하나에서 보기+본문 독해 다 끝내고 문제만 푸는데엔 시간 얼마나씀? 어느정도가 평균이냐
-
초 5때 좋아하던 애 있었는데, 다음년도에 바로 코로나 터져서 포기함ㅋㅋ 걔 연락...
-
빨리 졸업하고싶다그냥 12
공부 자체 말고도 그냥 진절머리난다
-
네
-
아 및친 2
스러너 파이널 띠부씰 마감이네. 이제 돈 들어와서 시키고 보니까 마감이고...
-
썰만 풀게 하고 싶다 수업 듣지도 않는데 개꿀잼이네 ㅋㅋ
-
연애한 적이 없어서 첫사랑이 없음 ㅜㅠ
-
사실 학계에서는 그럼. 왜냐면 ㄹ이 뭐에 닮아서 동화되는지 알기 어려움. 비음화라면...
-
수학 공부 비중 0
학교에 있는 시간 전부 수학하는데 너무 많은가요? 집에서도 조금 함
-
지인선 끝나면 양승진 블랙N코드랑 김기현 더블커넥션 다 하고 아티스트는 시간 남으면...
-
1억은 넘나??
-
어그로 ㅈㅅ 사실 존예까진 아니고 걍 예녀임 ㅇㅇ 아니 근데 보통 여러명있으면...
-
6,9모 둘 다 84점인데(운빨), 실전과 비슷한 경험을 좀 해보고자 실모 추천...
-
교재만 엄청 사뒀는데 1도 안 들어서요 올해 안에 다 못 들을 거 같은데 인강...
-
진자자러감
-
사문 다들 사회적 소수자,사회운동 개념 정확히 앎? 0
나만 걍 이정도면 사회적 소수자노 ㅋㅋ 이정도면 걍 사회운동이지~로 푸는건가
-
솔텍 0
솔텍 파트2는 세트로 수강하러는데 파트1 n제도 풀어야하나요?
-
로크는 주권이 양도가능한가요? 그리고 국민에게있나요? 4
권리는 일부(집행권) 양도인데 주권양도는 아니죠? 그리고 주권은 국민에게있죠?
-
화요일 저녁vs수요일 아침
-
에이예이예~
-
자습 주면 애들이 좋아하겠지? 시험 9일 남아서 뭔 활동하기도 그런데
-
민지야 5
-
현타온다 2
고1 겨울방학때부터 정시파이터한다고 좆나 나댔는데 현역인 지금 9모에서 확 꺾여서...
-
저녁 먹고 여유롭게 7시에 시작했는데 시발
-
240612 240613 이런거 박혀야함
-
특히 ㅈ반고는 그거라도 안 하면 학교 이미지 탈바꿈 절대 못 함 쉬는시간 점심시간은...
-
이제 슬슬 성공할때됏지
-
https://orbi.kr/00074702150 이거혹시답변가능하신분....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