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논란의 여지가 잇지않나요? (상상 언매) 1000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42291
답이 ㄴ이라는데,
훑다
에서 ㅌ가 ㄷ이 되고나서 된소리 되기가 된다는데,
이게 맞나요?
그냥 된소리 되기 조건중에 ㄹㅌ뒤의 ㄱㄷㅂㅈ는 된소리가 된다는 조건에 의한거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효과있나요? 수리논술이요
-
노래 편식 안하는편 근데 공부할때 듣는용이라 일본어곡이면 좋음
-
야~~호~~~
-
와 개시원해 0
해가 내 인생처럼 저무니깐 시원해졌어
-
정확히 1500명 지원했네
-
22번에 f(x)써놓고 10초 고민한다음 넘김 하지만건드렸음
-
근데 별로 놀랍지는 않음
-
전국에서 4명뽑는 과거시험 스타트
-
실모는 그저 시간 맞추고 푸는 준킬러n제라는거임
-
정병훈의뇌를빼앗기
-
머리가 깨질거같음...
-
수논 기출 :D
-
20대 초가 청춘이래 16
그런 추상적인 대답을 원한 게 아니야. 20대 초에 첫사랑과의 연애라던가 술먹고...
-
ㅋㅋ
-
별자리 9
가 될 수 있다면
-
키위맛쿠키에 키위맛새 조합은 무적이엇음
-
정동원, 무면허운전 혐의로 입건…"운전연습한 것, 크게 반성"(종합) 9
면허 취득 불가능한 16세 때…"운전 영상 빌미로 협박당해 신고했다"...
-
난 리트300제 한 20퍼하고 유기했는데.. 먼가 지문은 읽히는데 문제가 너무...
-
안 풀었으니까.
-
실모 오답 귀찮아서 10
누가 대신 해주면 좋겠네..
-
아 이거 여기서 물어보면 안되나?
-
4회 모의고사 1등급 2~3% 대 5회 모의고사 1등급 5~6% 대 안녕하세요....
-
합력변화로 가속도 구하면 (가)에서 우측아래방향 합력이 (8/5)mg가 나오는데...
-
2주 벼락치기 0
ㄷㄱㅈ
-
공부시간 많이 못 뽑아서 국어 기출을 올해는 거의 안 봤는데 기출 비중 좀 있어서 오히려 좋네..
-
님들 뭘로 하심? 마더텅? 빨더텅? 기출을 재작년에 강기분하고 작년에 새기분한게...
-
학부생 때 강의 때 섹드립 한번 쳤던 적은 있습니다. 0
생물 강의였는데, 레트로바이러스 강의 할 때 HIV를 레트로바이러스 중 하나로...
-
대학교 13
대대학교
-
그 증거는 킬캠과 드릴
-
난 이게 제일 예측이 안되던데
-
이게 다 뭐지... 서바 말고는 그냥 푸는건가... 할아부지는 이런거 잘 몰루 ..
-
아 9
적분
-
흠
-
작년 강의들은 올해꺼 완강하면 내려가나요 아니면 1강 올라오자마자 없어지나용
-
서프 때문에 시대인재 본관 처음 가게 됐는데 에 점심도시락용으로 음식 포장할 수...
-
뭘 해야 하지
-
밥와라 11
언제오니어디쯤왔니내가마중나갈까빨리오렴
-
실모가엔제아니냐 5
난그렇게풀고있는데너무맛있는데너무느림
-
학교생활기록부2만 되는거 맞음? 정부 24시에서
-
운영연습+오답정리 덕분인가??? 대부분 실모보다 엔제 풀으라고하던데 실력 올리거싶으면
-
왔구나 9
쌍지만점을향해
-
칼럼보고 오늘 처음 알게됨 ㄷㄷ 제가 푸는 방식이랑 잘 어울리는거 같네요
-
빨리 님 친구한테 연락해서 고소하라고 전해주세요 친구는 맞으신가요??
-
뭔가 쉬운데 나만 못 보는 것 같네... 서바이벌 알파
-
할복 3
대가리 아프노
-
보면 볼수록 존나 웃김 현우진이 3월 학평 1번부터 해설하는 영상이나 김승리 존나...
-
으음 8
흠
어디서 그런 거 본 거 같긴 함
훑다는 ㅌ이 ㄷ으로 교체되고 후행하는 ㄷ을 ㄸ으로 경음화시키고 자음군단순화로 탈락하는 것이 맞습니다
1. 훑다>후ᇎ다>후ᇎ따>훌따
2. 훑다>훌다>훌따(?)
우리말에서 어간의 끝이 ㄹ이라고 하여 어미가 경음화되지는 않으므로(ex. 날다, 줄다, 살다 등) 다>따의 변화는 ㄹ에 의한 것이 아니고 ㅌ(ㄷ)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겹받침 ‘ㄼ, ㄾ’은 음절 종성에서 [ㄹ]로 발음된다. 그래서 자칫 이 조항에서 보이는 경음화가 종성의 [ㄹ] 뒤에서 일어난다고 오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알-, 살-’과 같이 ‘ㄹ’로 끝나는 용언 어간 뒤에서는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그러한 해석은 합리적이지 않다. 학술적으로는 겹받침 ‘ㄼ, ㄾ’의 경음화는 ‘ㅂ, ㄷ(ㅌ)’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제23항과 같은 성격을 지닌 것이다. 다만 제23항의 경우 받침이 종성에서 [ㄱ, ㄷ, ㅂ] 중 하나로 발음되는 데 비해 ‘ㄼ, ㄾ’은 종성에서 [ㄹ]로 발음되기 때문에 별개의 조항으로 분리하였다. 이것은 앞선 제24항에서 ‘ㄵ’ 뒤의 경음화를 ‘ㄷ’ 뒤의 경음화로 보지 않고 ‘ㄴ’ 뒤의 경음화와 동일시한 태도와 궤를 같이한다.
표준발음법 제25항 해설
그래 맞아 이거였어
연계교재인 EBS 수특, 수완은 2년 전부터(더 오래됐을 수도 있습니다) 이 입장을 견지해 왔고, 최근 기출(24학년도 6평)에는 읊다를 읊다>읇다>읇따>읍따로 '음끝규 후 경음화 후 자음군단순화'의 순서를 공식적으로 인정했기 때문에 보이신 사진의 설명은 어떠한 이론의 여지도 없습니다
오 감사합니다 천포드릴께여!
음 근데 읊다의 경우 ㄹㅍ이라는 받침과 ㄹㅂ이라는 받침이 모두있는데,
ㄹㅌ이라는 받침은 있지만 ㄹㄷ은 없는데 이건 상관업ㄱ나여
상관없습니다. 어차피 음운이란 우리가 추상적으로 인식하는 소리이므로 그 과정만 합리적으로 설명하면 되는 것입니다.
표준발음법의 해설을 보아도 ㅌ에 의한 것이고 이는 23항과 같은 성격을 지닌다고 하는데 23항에선 음절의끝소리규칙도 다루므로 이 ㅌ이 ㄷ으로 교체된 후 경음화된다고 설명하면 됩니다.
ㄹㅌ이라는 받침은 있지만 우리가 실제로 ㄹㅌ을 모두 발음하는 게 아님을 생각해 보시면 됩니다. 어차피 ㄹㅌ이니 ㄹㄷ이니 ㄹㅂ이니 하는 것들은 설명을 위한 표기이고 실제 발음만 생각하면 종성에는 자음이 하나만 옵니다.
설명을 위한 표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