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논란의 여지가 잇지않나요? (상상 언매) 1000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42291
답이 ㄴ이라는데,
훑다
에서 ㅌ가 ㄷ이 되고나서 된소리 되기가 된다는데,
이게 맞나요?
그냥 된소리 되기 조건중에 ㄹㅌ뒤의 ㄱㄷㅂㅈ는 된소리가 된다는 조건에 의한거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010원은
-
현역때 들은거… 스듀시절 OVS책
-
ㅉㅉ
-
이게 반대가 되어야 하는게 정상아닌가
-
제곧내 다 푼 실모들
-
안녕하세요
-
언매 9월 문법클리어 문법N제,매체N제 강E분 언어 1,2단원 수특,수완(강E분...
-
연고랑 성한 사이? 한양 자동차랑 국제 붙으면 님들은 어디감
-
네
-
그냥 활발한 애들도 무서워서 짜져있는편
-
기하 과외를 ..
-
풀어야겠음
-
근데 확실히 정치인들이나 측근들은 목숨내놓고 활동하는듯 1
최근 3년간 피살당하거나 당할뻔한 일들이 한미일에서만 트럼프, 이재명, 아베,...
-
물리 뒤쪽 파트 뭐가 더 어려움?
-
아직도 집에 책 남아있음 스카이에듀시절...
-
이번달만 듣고 구독권 끊으려했는데 뭔 추억 드립이야 진짜;;; 협박함? 이런것좀...
-
교복으로 조금 유명함... 이럼 특정되나
-
오르비에 올라오는 문법 질문글에는 내 댓글이 어지간해선 있다 5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 문법 댓글만 써 주는 나
-
하원 0
근데 관독 사람들 왤케 옷을 잘 입음? 바지 정보 물어보고싶음
-
N제 추천좀 0
현재상황 9모 88점 21 계산실수틀 28,30번 그냥 실력딸려서 못풀었음...
-
어디가나여 집은 인천이여서 연세대 30분이면 가긴함
-
ㄱㄱ
-
검정색 살걸
-
이감 파이널 팩 사려고했는데 끼워팔기 뭐임 ㅠㅠ 정보좀 알려줘용
-
오늘의 언매 0
부사격조사 부전어 보조사 좀 외움 으흐흐
-
정치색반영
-
주식...
-
입고 다녔는데 주위에서 일진 호소인으로 보던데....
-
걍 내일 피방가서 접수해야겠다
-
왓이즈럽 1
사탕처럼달콤하다는데!
-
Ebs수록부분만 읽었는데 이것만 읽어도 연계체감 6,9모는 오지게 되긴 하던데.....
-
내 다음 모고는 0
나 혼자 만드는게 아니고 다른 사람이랑 같이 만든것이 될거임 일단 어려운 번호대인...
-
염색하면 양아치로볼거같아서
-
뉴진스야 꼭 돌아와야 해 정 안 되면 민지야 너라도 꼭 돌아와야 해
-
성적을 작년에 비해 좀 많이 올린케이스인데 그러다보니 좀 근본이 없는? 느낌도 있고...
-
염색 갈겨야지 ㅋㅋㅋ
-
정신이 나간걸 까요?
-
거세함 진짜
-
돈 잃는 게 무서우면 대체 돈은 언제 벌거고 버블이 무서우면 대체 돈은 언제 범
-
하루만 기다리면 2
심찬우 9평해설을 드디어 듣는구나……. 너무 오래 기다렸어………
-
머리색 미리 ㅊㅊ받음 23
탈색예정
-
구를 먼저 분석하고 그 후 관형어를 따로 분석하는 방식이 아주 합리적인 처리...
-
그 시절의 끊어지는 기계음의 미쿠테토린의 맛을 못 잊는다
-
최적의 풀이가 sin x = x 의 교점은 원점이 유일 -> b+2ㅠa=0...
-
4점 후반때인데 진학사 기준으로 ㅈㄴ 감점되는데 뭐임>>
-
만약에 수능 성적이 논술로 신청한 학교보다 괜찮게 나온 거 같으면 논술 보러 안가면 그만인가요?
-
우울할땐 3
똥싸
어디서 그런 거 본 거 같긴 함
훑다는 ㅌ이 ㄷ으로 교체되고 후행하는 ㄷ을 ㄸ으로 경음화시키고 자음군단순화로 탈락하는 것이 맞습니다
1. 훑다>후ᇎ다>후ᇎ따>훌따
2. 훑다>훌다>훌따(?)
우리말에서 어간의 끝이 ㄹ이라고 하여 어미가 경음화되지는 않으므로(ex. 날다, 줄다, 살다 등) 다>따의 변화는 ㄹ에 의한 것이 아니고 ㅌ(ㄷ)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겹받침 ‘ㄼ, ㄾ’은 음절 종성에서 [ㄹ]로 발음된다. 그래서 자칫 이 조항에서 보이는 경음화가 종성의 [ㄹ] 뒤에서 일어난다고 오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알-, 살-’과 같이 ‘ㄹ’로 끝나는 용언 어간 뒤에서는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그러한 해석은 합리적이지 않다. 학술적으로는 겹받침 ‘ㄼ, ㄾ’의 경음화는 ‘ㅂ, ㄷ(ㅌ)’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제23항과 같은 성격을 지닌 것이다. 다만 제23항의 경우 받침이 종성에서 [ㄱ, ㄷ, ㅂ] 중 하나로 발음되는 데 비해 ‘ㄼ, ㄾ’은 종성에서 [ㄹ]로 발음되기 때문에 별개의 조항으로 분리하였다. 이것은 앞선 제24항에서 ‘ㄵ’ 뒤의 경음화를 ‘ㄷ’ 뒤의 경음화로 보지 않고 ‘ㄴ’ 뒤의 경음화와 동일시한 태도와 궤를 같이한다.
표준발음법 제25항 해설
그래 맞아 이거였어
연계교재인 EBS 수특, 수완은 2년 전부터(더 오래됐을 수도 있습니다) 이 입장을 견지해 왔고, 최근 기출(24학년도 6평)에는 읊다를 읊다>읇다>읇따>읍따로 '음끝규 후 경음화 후 자음군단순화'의 순서를 공식적으로 인정했기 때문에 보이신 사진의 설명은 어떠한 이론의 여지도 없습니다
오 감사합니다 천포드릴께여!
음 근데 읊다의 경우 ㄹㅍ이라는 받침과 ㄹㅂ이라는 받침이 모두있는데,
ㄹㅌ이라는 받침은 있지만 ㄹㄷ은 없는데 이건 상관업ㄱ나여
상관없습니다. 어차피 음운이란 우리가 추상적으로 인식하는 소리이므로 그 과정만 합리적으로 설명하면 되는 것입니다.
표준발음법의 해설을 보아도 ㅌ에 의한 것이고 이는 23항과 같은 성격을 지닌다고 하는데 23항에선 음절의끝소리규칙도 다루므로 이 ㅌ이 ㄷ으로 교체된 후 경음화된다고 설명하면 됩니다.
ㄹㅌ이라는 받침은 있지만 우리가 실제로 ㄹㅌ을 모두 발음하는 게 아님을 생각해 보시면 됩니다. 어차피 ㄹㅌ이니 ㄹㄷ이니 ㄹㅂ이니 하는 것들은 설명을 위한 표기이고 실제 발음만 생각하면 종성에는 자음이 하나만 옵니다.
설명을 위한 표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