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계층 이동 도표의 모든 것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37617
안녕하세요. [Prime] Headmaster입니다.
최근 치러진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사회·문화에서, '계산을 요구하는 형태의' 계층 이동 문항이 출제되어 많은 학생들에게 충격을 주었죠.
2020학년도 수능 이후로 해당 형태의 문항이 평가원 시험에서 등장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기에, 많은 학생들은 풀이의 가닥조차 잡지 못한 채 그대로 점수를 헌납하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슬프게도, 역대 사회·문화 출제 기조를 살펴보았을 때 9평에서 새로이 등장한 유형이 수능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던 적은 손에 꼽습니다.
2021학년도에는 '세 개 이상 변수의 가중 평균'이
2023, 2024학년도에는 '사회 집단 개수 세기'가
2025학년도에는 '비(非)수급자를 고려한 벤 다이어그램'이
바로 그러한 위치를 차지했죠.
때문에 사회·문화 만점을 노리시는 여러분들은, 이번 9평 10번에 새로이 등장한 계층 이동 도표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비를 해 두셔야만 합니다.
그리고 이는 제가 칼럼을 통해 대비를 해 드리겠다 약속을 했던 바이기도 하죠.
'계층 이동' 유형이란, 문제에서 주어진 상~하층 간 계층 이동 현황을 표의 형태로 정리한 뒤, 이를 활용해 선지의 정오를 판단해야 하는 유형입니다.
계층 도표는 이전까지는 계층 이동이 아닌 계층 간 비율 현황만 판단하게 하거나(2023, 2025학년도 수능), 문제에서 이미 이동 현황을 제시해 주었기에 계산을 할 필요가 없는(2022, 2024학년도 수능) 형태로 출제가 되었었죠.
하지만 이제는 계층 간 비율 현황뿐만 아니라 계층 이동 현황까지 파악을 해야 하고, 그리고 그 파악의 과정에 계산은 필연적으로 수반이 될 것입니다.
여기서 퀴즈: 문제 해결을 함에 있어 다음 중 먼저 파악을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1. 계층 간 비율 현황
2. 계층 이동 현황
그리고 이에 대해 답을 내어놓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계층 간 비율 현황을 파악하지 못하면, 그 비율에서 이동을 한 / 하지 않은 인구가 각각 얼마나 되는지의 현황은 당연히 파악을 하지 못하겠죠.
그렇기에 '계층 이동' 문항을 해결함에 있어, 여러분은 먼저 부모 / 자녀 세대의 계층 비율 현황을 파악해야 합니다.
실제로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에 출제된 문항에서는, 부모 / 자녀 세대의 계층 비율 현황이 바로 제시가 되었죠이거 정말 많이 봐 준 거에요.
하지만 문항의 난이도가 높아진다면, 아래의 사례와 같이 부모 / 자녀 세대의 계층 비율 현황을 직접 구하게끔 하는 형태로도 언제든지 출제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 20번의 일부
2020학년도 수능 20번의 일부
그렇기에 여러분들은, 수능에서는 계층 비율 현황을 직접 구하게끔 하는 형태의 문항을 마주할 가능성 역시 항상 고려를 해 두셔야 합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그 과정에는 크게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이미 여러분은 '인구 부양비' 문항을 통해 해당 형태에 대한 연습을 충분히 해 두셨을 것이기 때문이죠.
계층 이동 도표 문항에서 계층별 비율을 구하는 것과, 인구 부양비 문항에서 연령별 인구를 구하는 것은 그 과정에 있어 놀라울 정도로 큰 유사성을 보입니다.
'상층', '중층', '하층'이 각각 '노년 인구', '부양 인구', '유소년 인구'로 대체된 것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죠.
그렇기에 만약 수능에서 계층 비율 현황을 직접 구하게끔 하는 형태의 문항이 등장한다면, 여려분은 '인구 부양비 문항을 해결한다'의 마인드를 가지고 접근을 해 나가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제부터입니다: 계층 비율 현황을 구했으면, 이제는 계층 이동 현황에 대한 정보를 구해야 합니다.
실제로 이번 9월 모의평가 10번에 있어, 많은 학생들은 계층 이동 현황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몰라 풀이의 첫 지점부터 잡지 못했죠.
그리고 이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변이 존재합니다: 5×5 사이즈의 표를 그린 뒤, 해당 표에 계층 비율 현황을 먼저 정리하면 됩니다.
위 문항의 사례에 있어서는, A가 중층, B가 하층, C가 상층인 것을 파악한 뒤에는 아래와 같이 표에 정리를 할 수 있겠죠.
여기까지 오면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을 수 있겠죠: 그럼 가운데에 있는 3×3 사이즈의 표에는 어떤 내용을 넣어야 하나요?
그리고 이 질문은, 이후 문제 풀이의 과정에 있어 핵심을 차지하는 부분이 됩니다.
9개의 칸 각각에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할당될 수 있겠죠:
1. 부모 상층, 자녀 상층
2. 부모 상층, 자녀 중층
3. 부모 상층, 자녀 하층
4. 부모 중층, 자녀 상층
5. 부모 중층, 자녀 중층
6. 부모 중층, 자녀 하층
7. 부모 하층, 자녀 상층
8. 부모 하층, 자녀 중층
9. 부모 하층, 자녀 하층
그리고 이제 여러분이 해야 할 일은, 문제에서 주어진 기타 단서 조항들을 활용해 각 특성이 할당된 부분에 대해 표를 채우는 것이 됩니다.
위의 2026학년도 9평 10번 문항에 있어서는, 중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한 자녀 세대 인구는 전체 인구의 10%,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한 자녀 세대 인구는 전체 인구의 5%, 중층에서 상층으로 이동한 자녀 세대 인구는 전체 인구의 10%로 제시되어 있죠.
이 정보는, 다음과 같이 반영해서 표를 채울 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까지 채우고 나면 보이는 부분이 있습니다:
1. 부모 중층, 자녀 중층
2. 부모 하층, 자녀 하층
의 특성이 할당된 칸은 아직 채워지지 않은 비율을 활용해 다음과 같이 들어갈 비율을 구할 수 있죠.
하지만 우리에게는 아직 4개의 칸이 남았습니다: 그리고 이 칸은, 문제에서 주어진 '자녀 세대 전체 인구 중 부모와 계층이 일치하는 비율은 30%'라는 단서를 활용해 채울 수 있습니다.
자녀 세대 중층 인구 중 부모와 계층이 일치하는 비율은 10%, 자녀 세대 하층 인구 중 부모와 계층이 일치하는 비율은 15%인데, 자녀 세대 전체 인구 중 부모와 계층이 일치하는 비율은 30%이니 자녀 세대 상층 인구 중 부모와 계층이 일치하는 비율은 5%라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죠.
여기까지 채웠다면, 아직 채워지지 않은 비율을 활용해 다음과 같이 표를 마무리 해 줄 수 있는 것입니다.
여기까지 왔다면 선지를 판단하기 전에 여러분이 해야 할 작업은 모두 끝났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각 선지를 판단한 뒤, 2번을 답으로 고르면 되는 것이죠.
이렇게 해서 계층 이동 문항을 해결함에 있어 여러분이 알아 두어야 할 기초 지식은 모두 소개가 끝났습니다: 하지만 '모든 것'으로 칼럼 네이밍을 해 놓고 여기서 끝내긴 아쉬우니, 한 가지 문제를 활용하여 더 연습해 보도록 합시다.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 20번의 일부
이제는 먼 옛날의 기억이 되어버린, 2017년에 출제된 매우매우 녹슨 문항입니다: 하지만 현 시점 여러분이 풀어 봤을 때에는 충분히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문항이죠.
위에서 제가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문항은 계층 비율 현황을 바로 준 것이 아니라, 계산을 통해 직접 구하게끔 출제가 되었죠.
전체 계층 비율을 100%로 둔다면 {(상층 + 하층) / 전체 계층} 비율에 의해 부모 세대에서 상층 + 하층 비율은 50%가 되며, 자녀 세대에서는 80%가 됩니다.
이에 따라 부모 세대에서 중층 비율은 50%, 자녀 세대에서 중층 비율은 20%가 됨을 알 수 있죠.
또한 {상층 / (중층 + 하층) 비율}에 의해 부모 세대에서 상층 비율은 20%, 자녀 세대에서 상층 비율은 25%가 됨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모 세대에서 하층 비율은 30%, 자녀 세대에서 하층 비율은 55%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를 작성할 수 있는 것이죠:
이제는 표 안의 3×3 공간을 채워 넣을 차례입니다: 그리고 이는 문항에서 주어진 두 번째 단서, 다시 말해 '자녀 세대 계층 대비 부모와 자녀 계층 일치의 상대적 비율'을 활용해서 채울 수 있습니다.
우선 상층에서 해당 비율은 1/5입니다: 따라서 자녀 세대 상층에서 부모와 자녀 계층이 일치하는, 다시 말해 부모와 자녀가 모두 상층인 비율은 5%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중층에서 해당 비율은 1/2입니다: 따라서 자녀 세대 중층에서 부모와 자녀 계층이 일치하는, 다시 말해 부모와 자녀가 모두 중층인 비율은 10%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하층에서 해당 비율은 4/11입니다: 따라서 자녀 세대 하층에서 부모와 자녀 계층이 일치하는, 다시 말해 부모와 자녀가 모두 하층인 비율은 20%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온 뒤, 남은 칸은 어떻게 채워야 할까요?
그에 대한 단서는 아래 각주에, '상층 부모를 둔 하층 자녀 인구와 하층 부모를 둔 중층 자녀 인구의 비는 2 : 1임'에서 제시가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당장은 그 비율을 모르기에, 아래와 같이 미지수로 둘 수 있죠.
그럼 자연스레 아직 채워지지 않은 비율을 활용해 다음과 같이 표를 채울 수 있고,
자녀 세대 중층 비율에서 25-x=20이므로 x=5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왔다면, 역시 채워지지 않은 비율을 활용해 다음과 같이 표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죠.
여기까지 구한 뒤, 선지로 넘어가면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사례를 더 살펴봅시다: 앞에서 봐 온 문항들과는 달리, 다소 난이도가 있으니 마음의 준비를 해 두시기 바랍니다.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 20번의 일부
(가), (나) 지역 각각 부모 세대의 각 계층 간 인구의 상대적 비에서, A는 40%, B는 10%, C는 50%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두 지역 모두 부모 세대의 계층 구조는 피라미드형이라는 데에서 A는 중층, B는 상층, C는 하층인 것을 알 수 있죠: A~C를 특정해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앞 문항들과는 난이도 차이가 크게 난다는 게 확 느껴집니다.
그리고 '자녀 세대 계층 인구 대비 부모 세대 계층 인구의 상대적 비'에서 (가), (나) 지역 자녀 세대 계층 인구 비율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가) 지역 - 중층 50%, 상층 25%, 하층 25%
(나) 지역 - 중층 25%, 상층 25%, 하층 50%
이에 따라 각 지역 표를 다음과 같이 완성할 수 있는 것이죠.
(가) 지역
(나) 지역
그리고 아래에는 '각 계층의 대물림 인구의 비율'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해석은
'표에서 제시한 비율을 모두 더한 뒤 2로 나누면
부모와 자녀가 모두 A인 인구 비율
+ 부모와 자녀가 모두 B인 인구 비율
+ 부모와 자녀가 모두 C인 인구 비율
이 도출됨'
을 바탕으로 진행할 수 있겠습니다.
이에 따라 (가), (나) 사회 각각에서 부모와 자녀가 모두 'A~C'인 인구 비율을 구하면
(가) 사회에서는
부모와 자녀가 모두 A(중층)인 인구 비율: 30%
부모와 자녀가 모두 B(상층)인 인구 비율: 10%
부모와 자녀가 모두 C(하층)인 인구 비율: 20%
가 도출되고,
(나) 사회에서는
부모와 자녀가 모두 A(중층)인 인구 비율: 20%
부모와 자녀가 모두 B(상층)인 인구 비율: 10%
부모와 자녀가 모두 C(하층)인 인구 비율: 30%
가 도출됩니다.
이에 따라 (가), (나) 사회 각각에서 다음과 같이 표를 채워 줄 수 있습니다:
(가) 지역
(나) 지역
그런데 두 사회 모두에서 부모 세대 상층 비율은 10%인데, 부모가 상층인 자녀 세대 상층 비율도 10%입니다: 이는 두 사회 모두에서 부모가 상층인 자녀 세대 중층 / 하층의 비율은 0%라는 것을 의미하죠.
(가) 지역
(나) 지역
여기까지 표를 채워 준 뒤에는, 역시 채워지지 않은 비율을 활용해 표를 아래와 같이 완성해 줄 수 있겠습니다.
(가) 지역
(나) 지역
이렇게 해서 계층 이동 도표에 대한 기초적 내용의 소개는 모두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물론 본 유형에 대해 현재까지 출제된, 기초의 영역을 벗어난 고난도 요소들은 다수 존재하나, 아래에서 소개할 한 가지 외에는 수능에서 출제될 확률이 매우 희박하다는 판단입니다.
하지만 이 건에 대해서는 알아두고 가셔야 합니다: 다음의 사례를 살펴보죠.
각 계층에 대한 비율, 그리고 부모와 자녀 간 계층이 일치하는 비율이 나타나 있는 표입니다: 이것 외 다른 정보는 존재하지 않죠.
하지만 놀랍게도, 이 상태에서 우리는 다른 정보 없이 주어진 표를 모두 채울 수 있습니다.
부모 세대 상층에서 아직 채워지지 않은 비율은 전체 인구의 10%이고, 하층에서 아직 채워지지 않은 비율은 전체 인구의 30%입니다: 합치면 전체 인구의 40%이죠.
그리고 자녀 세대 중층에서 아직 채워지지 않은 비율은 전체 인구의 40%입니다: 이 비율은 부모 세대 상층이 되었건, 또는 하층이 되었건 어디로 들어가서든 채워져야 하죠.
그런데 만약 부모 세대 상층에서 자녀 세대 하층으로 이동한, 그리고 부모 세대 하층에서 자녀 세대 상층으로 이동한 비율이 1%라도 있으면 어떻게 될까요?
다음 표와 같이, 무슨 수를 쓰더라도 자녀 세대 중층 비율 50%를 맞추지 못하죠.
이에 따라 위 상황에서는, 부모 세대 상층에서 아직 채워지지 않은 비율 10%와 하층에서 아직 채워지지 않은 비율 30%는 모두 자녀 세대 중층으로 가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이와 같이 되어야만 자녀 세대 중층 비율이 50%라는 것을 만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죠.
남은 칸을 채우면 다음과 같은 표가 완성됩니다.
그리고 이는, 실제로 20학년도 이전 다수의 기출에서 활용되었던 아이디어인 만큼 올해 수능에도 등장할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존재하기에, 반드시 알아두어야 한다는 판단입니다.
분명 표가 다 채워지지 않았는데 단서 조항이 남아 있지 않을 때에는 부모 / 자녀 세대 특정 계층의 비율을 충족시키기 위해 아직 채워지지 않은 비율 모두가 해당 계층으로 이동해야 할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해서 오늘의 칼럼은 모두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이것 외에도 약속한 바와 같이, 수능 전 '계산을 요하는' 도표 문항 20제가 추가적으로 배포가 이루어질 예정이니, 이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esco 모의고사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원 6
오늘도 고생하셨습니다!! 최근에 시험을 잘 치고 싶어지는 이유가 하나 더 생기면서...
-
안녕하세요! 20학번으로 졸업을 앞둔 대학생입니다. 다른 공부를 좀 더 해보고픈...
-
근데 배경지식으로 풀만한건 세지가 한지보다 많지 않나 3
어째서 한지보다 세지가 인원이 적은 것이야
-
고전소설에서 10분 현대소설에서 10분 쓰니까 ㅈㄴ 부족한거였음 솔직히 독서는...
-
아니 사문 왤케 많아 11
사문 경제 정법 중 사문 만점이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데.. 그래서 경제정법했는데…...
-
제곧내
-
8시간 공부했군 12
흥미롭긴 한데 힘들다
-
시발 세상 3
난 더 잘할 자신 있는데 주변은 나를 너무 낮게 본다...
-
무려 적중률이 50프로라는 점 ㄷㄷ 수특 수완도 안풀었으면서 좋은 n제 추천 받고...
-
이번에 생2보다 경제 인원이 적던데 여기도 ㄹㅇ 한줌단이네....4dick좌가 괜히...
-
1. 실모 두개연속 풀어도 머리안아픔 2. 틀려도 아 내가 이걸 몰랐네 엣큥하면...
-
어느 순간부터 연락 잘 안되니까 내가 애타(대학생커뮤아님)는듯...
-
수리 문항 1개 출제되는 걸로 아는데 미적인가요? 아니면 확통 제외하고 랜덤인가요..?
-
6모 성적으로 텔그 돌려봣을때 중경외시 인문계열까지 됏거든요 건동홍은 상경도 됏고...
-
60일의 기적 2
한심하게 유튜브나 보다가 목표가 생겼다 내가 60일의 기적을 보여주지 기대하세용 ㅎㅎ
-
언매: 94->94->96 기하: 99->100->100 영어: 1->1->1...
-
걍 집 앞 편의점 가서 도시락 사온다
-
ㅎ
-
자료 통계가 많이 바뀌었다는데... 수특 자료로 나올 수 있어서 샀음..
-
종강안하나 3
할때됐는데
-
못 찾겠다
-
이때 거의 두달해서 300벌었음 근데 올해겨울에 1시간하고 1200원 번거 보고 그냥 관뒀음
-
나 찾아봐라 흐흐
-
국어: 93 => 97 수학: 99 => 99~100 영어: n => 1 한국사:...
-
맨날 문제만 풀고 인강은 한번도 안들어봤는데 뭐 들어야하나요? 문학 잘 가르치시는 선생님 계신가요
-
사문 질문 11
마더텅 해설지에는 장면 3에 2번째 줄에 적힌 해외 여행 관련 회사 창업을 고민~...
-
한학기 휴학해서 올해 2학년 1학기 마친다는 가정하에 인아단 금융공학과 경제학과...
-
제가 지망하는 대학에 생기부 예측 경쟁력이 다 저렇게 상위 1% 찍히는데 저만...
-
엄기은T, 최지욱T 고3 현강 어디서 들을 수 있나요 0
내년에 고3 되는 학생입니다 BEST 완강했고 12월까지 PEAK, DEEP까지...
-
해설은 없나요
-
수학 엔제 2
시대 엄소연T 단과반 듣고있는데 실모는 충분한데 엔제가 좀 부족한거 같아서 지금까지...
-
문제가 뭔가 실모에 들어가긴 애매하고 엔제에 들어가기도 애매하고 버리기도 애매한...
-
바로 저 프린트팜 없었으면 지금보다 등급 하나씩 내려갔을듯 대 프 팜
-
썰 풀어주세요.... 간단하게라도 ㅜㅜ
-
화작 83 > 84 확통 82 > 84 영어 3 > 2 한지 73 > 89 사문...
-
시발점 미적분 빠답 촬영해주실 수 잇으신분 계신가요….ㅜㅜ 0
뒤늦게 공부중인 반수생인데 빠답이 필요해서요… 한번만 촬영해서 보내주실 수 있으신분...
-
자꾸 탈릅한 누군가의 망령이 보임
-
내일 놀려면 오늘해야한다.
-
자료가 많네 5
-
수학 0
지금 두각 현강생인데 써킷 사고싶어서 그런데 힉원가서 산다하면 주나??
-
인생그만 2
말아먹어야
-
그냥 첨엔 외적 이상형은 아니라고 생각했고 그냥 자주봐서 넘 친해진 사람인가...
-
애플 요즘 영 맘에 안드네 근데 이미 너무 애플 생태계에 갇혀버림 아이폰 아이패드...
-
올해 모의수능 수학 탐구 중 하나는 던져야함 근데 탐구 던진다고 수학이 된단 보장은...
-
적 22 159틀 96 화 1페틀 48인데
-
상상 국어 실모로 새로운 방식으로 풀어보려고 하는데 어케 될지 모르겠어 또 낮게...
-
아니겠..지? 근데 얼굴이 너무 낯익어
-
막 배고프진 않고 약간 출출함
-
T= 9
2pi sqrt(R^3/GM)
-
2차원 운동 나오면 걍 성분분해 벅벅임 기하러 맞나... 그러면서 포물선+빗면 나오면 정사영씀
실전에서 저렇게 표 형태로 다적는게 맞나요?
네네 저건 진짜 저렇게 해결해야해요
한 4분 잡고 해야겠네요 어후..
실제로 그 시절에는
저건 5분 쓴다는 마인드가 기본이었어요
대신 인구 부양비 도표가 없었고
복지 제도도 나왔다 안 나왔다 했죠

드디어 부활하는구나 ㅋㅋㅋㅋ시간잡아먹기 1대장
무조건 기출딥러닝으로 풀잇법을 암기할것.
19 20수능처럼 출제된다면,,
어우 끔찍하죠
윤성훈쌤은 상중하 적고 선으로 잇던데.... 전 그러면 헷갈려서 무조건 틀리더라구요. 저 3by3표가 보기좋고 유용한거같아여
사실 두 방법 중 뭐 쓰느냐는
진짜 취향차인 거 같아요
근데 윤성훈쌤 방법이 유용할 때가 있고 쓰리바이쓰리표가 유용할 때가 있다는데 그럼 둘 다 익히는게 좋은건가요??
세대 간 이동 비율이 전체 대비 비율이었구나…….

그거도 헷갈리기 좋은 지점이었죠저는 느낌이 이전 문제 그대로 출제할 느낌이 들더라고요 18수능때 갑자기 튀어나온 10번 표본의 적절성? 질문지 포괄성? 문항처럼..
16~19 까지 20번 풀어보는게 좋아 보여요 사문러들은
어제 기출에서 저 유형 풀었는데 20학년도 문제들 표 2개 그리게 하는건 ㄹㅇ 헬인것같아요...
와 경이롭네요 특히 중층 자녀쪽으로 다 옮기는 건 상상도 못했습니다.질뭉이 있는데 사피엔스 day 19/20남았는데 너무 괴랄해서 하기가싫은데 꼭 해야할까요?
제가 내긴 했지만
거기는 솔직히 정복하지 못해도 충분히 만점권 나올 수 있다고 봐요
넹

유익해요 좋은데요감사합니다 ㅎ
wow 20년도 헬이네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