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황님들 도와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32989
갑이 실험범을 사용한건 맞는데 사전검사할때 질문지법을 써서 1차자료 수집한거 맞지않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난 당연히 확산모델 내지 디퓨전이라고 부를 줄 알았는데 “노이즈 지문“이라고 부르는 거 보고 당황함
-
고대국문과에진학해서말이지크킄크캬캬캬
-
고통없이고통가자 1
ㄹㅇ
-
아무 준비없이 보는건 처음이네
-
수능판에돌아온거냐나자신
-
극한이랑 미분파트는 ㄱㅊ은데 적분이 앞단원에 비해 어렵게 느껴졌음요.. 적분파트가...
-
On
-
이거 어디서 볼 수 있는 건가요??
-
신혁모 해설은 1
조교님이 해 주시는구만 신기하네
-
계산실수 많고 실력도 부족하면 변별력 문항 3개 중 2개정도 포기하는게 맞나요?...
-
지예야 1
나는다채로운래핑과라이밍
-
6,9 모보다 쉬웠어요? 아니 솔직히 잘 모르겠어 내가 수학을 맞게 공부하는건지아닌건지
-
고대 인문관 2
여기서 옵붕이들과 교양을 듣고 싶구나
-
관상가 양반 1
내가 서울대생이 될 상인가
-
50일 전사 ㄱㄴ????
-
남친생김 1
히힣
-
ㅈㄱㄴ
-
공부 안하고있으면 정신병와서 죽겠다 그냥 잠이나 자자
-
후자로 표현하니깐 ㄹㅇ 존나 안 남은거 같음
ㅁ 밑줄뒤에 실험을 한 다음에 질문지법으로추론 능력 파악한거 아닌가요? 잘은 모름요(선후가 바뀌긴한것 같은데..)
그거랑 별개로 질문지법을 사용했고 1차자료를 수집했다>>이건 맞는말아님?
어 뭐지 이거
오류같은데요
질문지 안 썼다고 볼 이유가 없는데,,
오류 맞나요? 개념어디부터 빵꾸 뚫렸나하고 겁나 말렸었는데
실험법의 사전검사 아닌가요? 의견을 묻는게 아니라 언어 추론 능력을 파악하는 거니까 질문지법으로 보기 어려울 것 같아요
음.... 좀더 자세히 설명 해주실수있나여?
애매하긴 한데
질문지법이라고 명확하게 판단하려면
'구조화된 (정형화된) 설문지' 라는 단어가
존재해야 할 것 같아요
근데 그러면 30여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검사지<< 이워딩이 질문지 법이 아니라는게 말이댐?
문제가 좀 별로긴한데
구조화됬다는 워딩이 전무하고
독립변인 처치가 명확해서
현장에서도 소거법으로 지웠을 것 같네요 ㅎㅎ
추가로 구조화된 질문이 아니면
ex) '그때 당시를 그림으로 나타내보시오'
이런것도 가능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