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발음법 특) 현실과의 괴리가 상당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30730
팩트)다
"<표준 발음법>에서 규정한 표준 발음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바탕으로 한 것이지만 둘 사이에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표준 발음법>에서 표준 발음의 대상으로 본 것은 대체로 1980년대 당시 서울의 토박이말을 구사하는 노년층 화자들의 발음이었다는 점이다. 서울에 살고 표준어에 가까운 언어를 구사한다고 믿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세대별 또는 출신 지역별로 발음의 차이가 적지 않다. 따라서 <표준 발음법>을 정하던 당시에도 <표준 발음법>과 현실 발음은 차이가 없지 않았으며, 그로부터 약 한 세대에 해당하는 시간이 흐른 현재는 둘 사이의 차이가 클 수밖에 없다."
"자음은 주로 겹받침의 발음에서 표준 발음과 현실 발음의 차이가 드러난다. 예를 들어 ‘밟고, 넓다, 읽다’ 등과 같이 겹받침이 있는 말들은 표기상으로는 받침에 두 개의 자음이 있지만 발음상으로는 겹받침 중 어느 하나만 발음해야 한다. 이것은 국어 음절의 종성에서 두 개의 자음을 발음할 수 없다는 중요한 원리에 근거한 것이다.
(중략)
그러나 현실 발음에서는 이렇게 발음하지 않는 경우를 많이 접할 수 있다. 겹받침을 발음할 때 <표준 발음법>에서 규정하는 그대로 정확히 발음하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지 의심이 될 정도로 현실 발음에서는 겹받침 중 탈락하는 자음에서 다양한 변이가 나타난다. 이 때문에 국어와 관련된 시험에서는 겹받침의 표준 발음이 무엇인지를 묻는 문항이 종종 출제되기도 한다. 출제자 입장에서야 사람들이 많이 틀리는 부분이니까 출제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시험을 치르는 입장에서는 <표준발음법>을 기계적으로 외우지 않으면 풀 수 없는 문항이기 때문에 <표준 발음법> 자체에 대한 불만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진호(2015) 국어의 표준 발음과 언어 현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기하 재밌어 6
-
이 내신이면 우리 담임쌤이 농어촌 교과로 명지대 자율전공학부 무조건 붙는다고 이거...
-
서바 12회 다들 풀어보셈
-
언매(문법안풂) 기하 물2 지2
-
국어 이 기조면 7
언 확중에 뭐거 더 유리하다고 보냐 그냥 지문형이랑 한문제 버리ㅗ고 찍는게 맞나
-
언매 기하 화2 지1
-
수시원서 접수했는데 사이트에선 접수됏다고뜨고 입금도햇는데 카톡으로 접수완료됐다고...
-
'반례(反例; counterexample)'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없기 때문에 좁은...
-
의사 평균 년수입이 제 월수입입니다!?!???
-
가즈아
-
사실 언제든 1등급으로 가도 충분한 베이스, 잠재력을 지닌거같음. 발현 조건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
서로 다른 모든 실근의 합 vs 그냥 모든 실근의 합 2
평가원 이거 구분시켜서 문제 내나요? 지금까지는 전자밖에 안 풀어본고 같은데..
-
그냥 답만 쓰면 안되고 뭘 더 첨가해야 한다는 거예요?? 특히 경쟁률 높은 학교에서 요구하던데..
-
수학 29,30 5
답이 같을 수도 잇는건가..ㅋ 작년강k푸는데 미적 29,30 답이 같게 나옴,, 아...
-
n제 벅벅하면 실력 오르나요? ㅊㅊ헤주세요 제발
-
당장 청주 자영업자 킬러 100원남 주성훈 부산에도 전직 조폭 대하이햄TV 김판슥...
-
에낙먹는중 3
벌써 3개째임뇨
-
고2가 정시하면 3
쌤들 사이에서 말 나오나요???? 요즘 수업시간에 문제집 대놓고 풍아도 뭐라안하고...
-
5등급이라고 치고 오로지 수학만 한다면
-
대황킅뭐냐 ㄷㄷ 1

공감국립국어원도 알고 있을텐데 넘 보수적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