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로우 [1392895] · MS 2025 (수정됨) · 쪽지

2025-09-09 20:38:21
조회수 158

(26 부탁) 가깝고도 먼 훗날 만약 부모 세대의 기술과 지식이 그대로 자식 세대로 넘어가 대학의 합격과 불합격이 갈린다면, 오르비 회원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22469




우리나라의 앞으로는,

과학과 기술이 발전하죠, 해외의 거대 투자에 비해 적은 투자로 인재를 많이 육성 시키기 위해

산학연을 더욱 밀착하여 발전할 건데요.


이렇게 AI 시대가 본격화되고, 곧 새로운 대체 에너지며, 양자 기술 등이 활성화되고,

2040년대 새로운 학과들이 다수 등장하며 기존 학과들도 사라지고, 이후에 통일을 하게 되면,

예상하시는 것처럼 북한이 어마무시한 속도로 발전시키느라, (영과고부터 연구시설 단지, 등 대규모 투자는 다 북한으로)


남한은 10년 ~ 20년 동안 거의 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통일 이후로 높아질 세금, 그러고 나면... 인재들은 해외로도 많이 유출되겠지요.


그러다가 러시아와 미국이 크게 대립하여 싸우게 될 거고,

그 후에 미국은 우주항공산업을 내세우며, 우주항공 기술에서 매우 선진적이고, 우수한 기술력과 과학력을 앞세우며,

새로운 학과들도 만들어서, 인재가 후다닥 다시 한번 더 커다란 대이동 시작... 3명 중 1명 가까이까지 대이동...


//이렇게까지 바뀌면서, 기존의 우리들이 지금까지 대학과 대학원 석사에서 해 온 거의 대다수가 먼 과거 기술처럼 보일 거에요.


마치, 지금의 우리가 과거 화석엔진을 보며, 디젤 자동차를 구식이라고 여기듯... 지금 배우는 지식들도 그렇게 될 때가 오겠죠...//


대다수의 무수한 교육열이 갈수록 더해져, 중학생도 논문 써서 영과고 가고, 하다가 공교육도 결국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이 되고...


그러면서 부모세대가 갈수록 똑똑해진 기술자들로 가득찬 시점에서,

이 기술을 특허내서 국가 전체의 자산이 아닌, 개인 산업화로 끌고가면서,


공교육보다 월등히 앞선 기술 중심의 사회에서, 공교육 <<<<<<<<<< 부모 기술이라, 부모의 영향력이 더 커진 상태에서


이후에는 세계 경제 대공황을 맞이하다가,

어려운 경기 속에서도 반도체며 공장 가동화 시켜서, 사업적으로 나아가고, 미국처럼 거대 자본을 갖추기 위해, 항공 등으로 뛰어들기 시작하며,


공교육보다는 부모세대의 기술력이 중심이 되는 세상이 곧 올 거라는 것은 틀림이 없죠.


공교육은 널리 모든 이에게 제공되야하나,

개인의 기술력은 극소수, 자신의 자녀와 친인척에게만 거의 돌아가도록 제한되니까요. 이 2개가 맞부딪히는 세상이 오는 것은 틀림이 없어요.


........... 2100년대 그런 세상이 오면, 부모의 우수 기술력을 토대로, 미국 등의 명문대는 내신이 안 좋아도 경제 활성화를 위해, 우수 기술력을 가진 아이들을 중점적으로 선발할 거고,


그렇게 바뀐 세상에....

여러분들은 어떤 생각을 가지나요?


지금 다른 게 있다면, 우리들은 내신이 안 좋아도, 수능이나 논술 등으로 대입을 다시 갈 수 있어요.


하지만 고도의 내신화로 인해, 곧 고교학점제로 이 기회도 사라진데다가,


다가올 기술이 중심이 된 미래에서는, 부모 세대의 기술과 지식으로 자녀도 대학가는 세상이 되어있을 거에요.


재수할 기회도 거의 없지만, 재수를 한다고 해도, 이미 부모 세대가 수십년에 쌓아올린 고도의 기술을.... 기술 없는 자녀가, 부모님께 물려받은 게 없는 자녀가... 뛰어넘기는 불가능에 가깝죠...


결국 대다수는 다시 빈민층이 정해진 운명에,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다 휘어잡는 세상이 오는 것은 틀림이 없어요.


참고로 이번 AI 투자에도 우리나라는 충남 역대 최대 규모 9조언 투자했으나, 미국은 스타게이트 등으로 629조 투자했고, 그 외까지 거의 800~900조 투자,

중국도 이것저것 토탈 300~400조 투자

프랑스도 159조 투자 등...


이미 압도적인 차이가 나지요.


우리나라가 AI 모든 분야로 나아가기는 어렵고, 특정 분야로 나아가게 되는데,

그 분야의 인재조차도, 미국의 앞에서 2100년대 세계 경제 대공황 이후로는 빼앗길 거고....




결국 부모 세대의 기술과 지식으로 자녀도 대학가는 세상은 가까운 미래에 현실화 될 거에요.


.................. 그런 세상에 대해 오르비 회원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먼 미래를 어쩌다 미리 내다봐버린 어떤 이가 이 글을 남깁니다.)


그냥 아주 오랫동안.... 15년 넘게 혼자 고심해 온 문제였어서,

언젠가 한 번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이 질문을 한 번... 해보고 싶었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일오_ · 1335396 · 10시간 전 · MS 2024

    첫줄읽고 스킵함 ㅁㅌㅊ?

  • study with lulu · 1127504 · 10시간 전 · MS 2022

  • 부루지 · 1400922 · 10시간 전 · MS 2025

    3줄요약안주면 좋아요안누름

  • 드로우 · 1392895 · 10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고도 기술화로 부모세대가 누적시킨 압도적 기술력으로(개인 특허, 국가 전체 지식 X) 점차 세상이 바뀌어 공교육은 거의 역할 못하고, 경제침체로 특허기술 우대되면서 대학은 내신 안 좋아도, 부모 세대가 가진 기술력 중심으로 인재선발한다면, 어떻게 생각하세요?

  • 이번에 대학안가면 내인생 어쩌지? · 1271836 · 7시간 전 · MS 2023

    일부 생각해볼만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서두에 통일이랑 미러전쟁은 무슨 근거로 말씀하시는지 모르겠네요

  • 이번에 대학안가면 내인생 어쩌지? · 1271836 · 7시간 전 · MS 2023

    저는 오히려 개인의 기술적 성장 부분보다 기업이 한 국가 이상 버금가는 권력과 기술 말씀하신 특허 같은것을 독점해서 경제적 빈부격차가 커질것 같긴하네요
    근데 그 이후 상황에서 오히려 민주적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는 상황이라면, 복지적 국가로 나아가 공교육이나 경제적 불평등이 로봇세나 기본소득제를 통해 더 나아질거 같은데요
    현재 chat gpt 같은 ai도 더 발전한다면
    개인 스마트 비서 역할을 톡톡히 할테니 교육수준도 올라갈거 같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