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노동자가 성취지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03807
노동자는 성취지위가 맞더라도 외국인 노동자도 성취지윈가요? 어떤 건지 까먹었는데 사설 모고 풀 때 비리 국회의원은 성취지위가 아니라고 했던 것 같은데 그럼 외국인 노동자와 비리 국회의원의 차이가 뭐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박승동님 개멋짐 2
와 ㅋㅋ..
-
풀 시간이 없어..
-
2025.09.03(수) 실시된2025학년도 9월 고2 모의고사 수학영역 손해설...
-
겆쥐대전 ~음~
-
하,,, 아무리 나라도 연예계에서 성공하려면 차은우가없는 지금 연예계진출하는게 제일...
-
학교는 같은데 둘이 부르는 과가 다름.. 둘다 상대방이 부른 과는 1차떨이라고 주장 중..
-
아배불러 4
늦은저녁밥
-
아무도 못알아보는 글씨랑 말로 주목할만한 종목 다 모아서 정리하고 시나리오...
-
어디서든 함께 있는 거라던 꿈속에서도 헤어지지 말자던 그런 네가 너무 그리워~~
-
휴릅휴릅 5
-
심심해 5
-
ㅆㅇㅂㄱ 6
냠
-
이런 시발! 2
이직로그 좋다! 이거지!!
-
안해서 ㅁㄹ
-
이번 슈능 잘 봐서 달아야지
-
아마 곧 죽을듯함
-
슈냥미만잡 ㅋㅋ
-
ㅈㄴ 일관적인 새끼
-
불안정병 올라오고 있어서 차라리 걍 자고 싶음
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치인가 아닌가로 따져보는건 어때요
음 하나의 카테고리 느낌으로 분류되는 식으로요??
근데 교육청 기출에서 최고령 사원도 성취지위였다고 해서..
지위에는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역할이 존재한다는 개념도 활용해야 더 명확한 판단이 가능할 것 같아요
최고령 사원은 확실히 성취지위같아요
꾸준히 회사에 도움이 되는 사원이어서 이룬 것이기도 하고 앞으로도 사원으로서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잖아요
비리 국회위원의 경우 사회가 기대하는 역할이 있지 않고 낙인에 가까운 수식어라서 아니라고 생각해요
와.. 저도 방금 이 생각했는데 이게 그나마 명쾌한 답변 같네요… 감사합니다 ㅠㅠ
저도 덕분에 명료한 기준을 생각하게 됐네요 화이팅입니다!
와 너무 어려움
해외에서 국내로 외국인 신분으로 일을 하러 왔으니 성취 지위로 보는거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