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수생 수학공부 하소연 하나만 하겠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86942
사탐런한 군수생이고요
언매 미적 생윤 사문입니다.
9평때 수학을 대차게 말아먹어서 도대체 어떻게 수학을 끌어올려야 하는지 감을 못잡겠어서 물어봅니다.
6평 성적입니다. (원점수)
언매 98 1등급
미적 84 1등급
영어 92 1등급
생윤 42 2등급
사문 50 1등급
9평 성적입니다.
언매 90 1등급
수학 76 3등급 (추정)
영어 76 3등급
생윤 46 1등급
사문 44 1등급
영어는 수학 망하고 나서 멘탈을 못잡아서 저지경이 났습니다.
문제는 수학인데,
15, 21, 22, 28, 29, 30
이렇게 까였습니다. 이외에 막힌문제 하나도 없었는데 저 6개에서 우왕좌왕하다가 종료 직전에 22번 빠르게 풀고 틀렸습니다.
(모두가 다 아는 159...)
15번은
|f(x)| - |x| 에서 교점 조건을 끝까지 |f(x)| , |x| 그대로 그래프에 그렸다가 아무리 생각해도 답이 안나와서 여기서 한 20분 까였습니다.
둘째 조건인 g(2)>2 때문에 정적분값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에, 의심의 여지 없이 절댓값 그대로 푸는게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21번은
250921 류의 문제라는거 알고 계수 미지수로 두고 했는데, 0 극한 개념 써서 b 범위까지 알아내고, 부등식 얻고 했는데 도저히 뭘 어떻게 하라는건지 모르겠어서 포기했습니다.
28번은
f(x)가 삼차함수라는거 못보고 겉함수 그리고 염병하다가 풀이에 진척이 없어서 넘어갔습니다.
29번은
초항이 정수라고 생각해서 풀다가 조건간의 충돌이 발생해서, 주어진 세 정수 항이 연속인지 아닌지 의심하다가 시간 잡아먹어서 넘어갔습니다.
30번은...
시간이 없어서 못봤는데 시험 끝나고 보니 쉽게 풀 수 있었습니다.
그밖에 28번은 차분히 읽고 다음날에 보니까 쉽게 풀 수 있었습니다.
6모땐 공통 22, 미적 28 30 못풀고 20번 실수해서 틀린건데
왜 이렇게 점수가 꼴았는지, 어떻게 공부를 해야하는지,
뭐가 부족한건지 짚어주셨으면 좋겟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젠 인간 에프킬라가 되어버림 자다가 천장에서 떨어진 지네한테 물려보면 바선생 정도는 선녀로 보임
-
ㄱㅊ? 경우에 따라 3-4일까지도 늘어질 수 있을 것 같은데 일단 확통만 보면...
-
지방일반고 전과목 내신 1.68 정도 됩니다 생기부는 소프트나 컴퓨터관련해서...
-
월요일 화이팅!! (월요웹툰 - 이직로그 재밌어요!)
-
알아내긴 했는데 실수를 좀 해가지고 적당히 흥분하는 법을 좀 연구해야 될 것 같음
-
다 문제없이 접수하셨으면 좋은거지만 한편으론 궁금하기도 하네요.
-
진지한 질문글이면 내 손가락과 이성이 두뇌의 통제권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함...
-
입시를 떠나와서 다시 보는 오르비는 느낌이 새롭네요 1
공부, 원서 정보 얻고 얘기하던 기억이 생생한데 올해 수능 보시는 분들 마지막까지...
-
메가가 맞음 대성이 맞음?
-
사회문화문제 2
3번 선지에 '연구팀이.... 분석한 것'이 어떻게 실험 법이 되는지 설명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
전과목 노베라 시간이 많이 없는 상황인데 정승ㅈ 50일 수학부터할까요 아님...
-
시간 지나가는게 너무 느껴짐
-
하 2
독재 주변 자리에 빌런이 너무 많음 작년에 ㅈㄴ 욕하면서 다녔으면서 올해 또다니는...
-
2번은 왜 틀린 건가요? 적극적 우대 조치가 포함된거면 역차별 유발 아닌가요..?
-
9모 30은 맞긴 맞았는데 보통은 28 30 틀리고 웬만하면 29는 맞아요 뭘...
-
ㅈ구리다던데 맞나
-
개인적으로 실모는 무조건 빡빡해야한다 생각해서 난이도 좀 있는거 추천해주세요 통통이...
-
죄송합니다 평소 수학 엔제를 풀면 모든 문항에대한 해설을 봤는데 이제 촉박해져서...
-
퇴실 2120 2
b
15번은 양쪽에 절댓값 있을때 한쪽으로 부호 몰아주기 해서 f(x)= 플마x 로 놓고 푸는방식이 더 유리했던거 같고
21은 다 아는 식(그릴 수 있는 식) 과 모르는 식(미지수 붙은거)을 구분해서 변수분리하는 식으로 가운데 모르는 식만 남기고 양쪽에서 아는 식이 직선의 기울기를 0으로 만들어버리는 접근이 필요할 거 같고... 등등 공통은 나오고 있는 유형들이 정형화된 풀이와 사고방식을 가지기 때문에 앞으로 문제 풀면서 이런 행동을 하나씩 적립하는 노트를 만들고 체화하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근데 미적 28~30은 솔직히 수능때 똑같은 문제 나올거 아니고 평가원도 요즘 좀 맘대로 이거저거 내고 있으니 최대한 미적분 공부 많이 하고 공통을 빨리 쳐내서 시간확보하는게 중요할 거 같아요
그래요? 최신 평가원 기출이나 교육청 문제들이 비슷한 논리를 자주 쓴다는 말씀이신가요?
기출에서 직접적으로 '이걸 써라' 하고 주어지지 않더라도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저런 논리를 썼을 때 더 빠르게풀린다거나 케이스가 줄어드는 경험이 있었다면 그걸 써놓고 체화하는 거죠 물론 사설에서 쓰는 논리도 저는 다 흡수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장 절댓값 한쪽으로 넘기는건 이미지t 하사십 풀다가 체화한 케이스고 변수분리는 평가원 기출 풀면서 체화했습니다
21번 같은 경우는 계수 미지수로 두었으면 오른쪽 부등식의 사차함수(X^4-4x^2 >= 2ax+b)를 그려보는 시도를 했으면 답이 나오는 건데 아쉽네요. 내가 식으로 마음 잡았다고 해서 마지막까지 식 붙들고 있을 필요도 없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29번에서도 비슷한 논리인데, '당연히 그렇겠지'라는 고정관념을 빠르게 깨는게 중요합니다. 첫항이 정수겠거니~~~ 이런 생각을 누가 빨리 깨냐가 문제 푸는데 관건이었어서...
갠적으로 이런 부분의 해결책은 다양한 문제 많이 접하면서 머릿속에 입력해 놓는 거라 생각해요. 남은 시간 쉽지 않겠지만 이러한 부분 생각하면서 해 보시길
그렇다면 실모보다는 N제 양치기를 추천하시는 것인가요?
양치기를 무엇으로 하는 지에 대해서는 저는 둘 다 ok라 생각합니다. 다만, 위에 글에서 30번이랑 28번 모두 다음날 차분히 시도했더니 풀었다라는 이야기를 보면서, N제보다는 실모에서 얻어갈 게 더 많은 단계란 생각이 듭니다. 대신 다른 사람들보다 복기를 더 철저하게 해서 많은 시나리오 연습을 해보는 게 꼭 필요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복 받으실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