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는 어원 이야기: 부랴부랴는 불이야불이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83075
불이야~ 불이야~가 줄어든 말이 '부랴부랴'임
모다 소ᄅᆡ 디ᄅᆞ고 불이야 불이야 웨거ᄂᆞᆯ 모ᄃᆞᆫ ᄂᆡ인은 다 와 보ᄃᆡ
[모두 소리 지르고 불이야 불이야 외치거늘 모든 내인은 다 와서 보되] 서궁일기 60(16XX)
그는 불이야불이야 구두를 닥기 시작하얏다. <지새는안개(1923년),53>- 「… 여보세요 난 갑작이 오늘 집을 옮길 사정이 생겼어요」그는 주인에게 인사를 던지고 불이야불이야 짐을 다 싸 놓고 나서 <파종(1935년),177-181>
- 마츰 세 시 오 분에 떠나는 급행이 있으므로 나는 불이야불이야 가방 한 개를 얻어 들고 입든 옷 그대로 남편과 같이 정거장으로 내달리었습니다. <기괴한유언장(1936년),283>
- 그러면 가뜩이 급한 그 행동이 더욱 불이야불이야 한다. <따라지(1937년),288>
- 그러기 때문에 늦잠이 깨여 불이야불이야 아침 먹고 학교로 떠나가든 아침결에는 다시 그 소리에 대해서 귀를 기우릴 여가도 없었든 것이다.<탑(1942년),423>
놀랍게도 진짜임. 불이 나면 본능적으로 ‘불이야 불이야’를 외치는데 불이 난 사실을 주변에 알려야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 이는 원래는 위험 상황임을 알리는 급박한 외침이었는데, 불이 났다고 소리치면서 내달리듯 매우 급하게 서두르는 모양을 지시하는 부사로 굳어짐. 아무래도 “불이야! 불이야!”라는 외침이 지니는 ‘급박성’이란 속성이 매개가 되어 ‘황급히 서두르는 모양’을 지시하게 된 것
‘불이야불이야’가 ‘불야불야’로 줄고 이게 연철된 것이 ‘부랴부랴’임. 20세기 전반기 문헌을 보면 ‘불이야불이야’, ‘불야불야’, ‘부랴부랴’가 나오는데 ‘불야불야’가 제일 빈도가 높음. 조선어사전(1938)에도 ‘불야불야’가 표준어로 실려있었는데 큰사전(1957) 이후 사전에는 ‘부랴부랴’가 표준어로 실림. ‘불’과 관련됐다는 어원 의식이 상실됐다는 판단 때문임. 조선어사전(1938)에는 ‘불야불야’와 같은 의미로 ‘불야살야’로 있는데 1930년대의 김유정의 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임.
이는 외침 “불이야! 살이야!”에서 온 ‘불이야살이야’가 준 형태임 ‘불’은 ‘불(火)’의 뜻이고 ‘살’은 ‘화살’을 가리킴. 활터에서 사람이 다치지 않도록 외치는 “활이야 살이야”의 ‘살’이 바로 그것임. 불도 위험하고 화살도 위험하니 이를 피하기 위해 다급하게 서두르는 모양을 ‘불야살야’로 표현한 것. 현재는 ‘부랴사랴’로 남아 있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시평가좀;; 2
진짜 어디가 상향이고 안정인지 하나도 모르겠음 진학사 이새기들은 거르는게 맞는거같고...
-
안간다
-
우울하다 3
우울핑
-
주인 잃은 레어 3개의 경매가 곧 시작됩니다. 짱구오댕이"울라울라~...
-
친목ㄴ 2
잠ㄱ
-
실모 일기 2
수학 - 지인선 모의고사 3회 96(28) 처음 풀면서 넘기는 문제가 많았던...
-
윤성훈vs최적
-
써도될까요...? 이번 9모 화작 미적 영어 생윤 사문 해서 2 3 2 2 2...
-
자러 간다 5
ㅃ
-
오공끝 2
시부럴 힘들다
-
사문 선택자수네
-
동국 인하 홍익 외대 한양대 요기 중에서요.. ㅠㅠ 26년도에 안 사라지나요?
-
작9평 11번 거리 속도 문제 정답률 작수 11번 거리 속도 문제 정답률 6평...
-
ㅈ되네진짜
-
어릴때 추억이 가득한 장소 우하하
-
현실에서 여자꼬시기: 국평5등급 여자 꼬셔야됨 (요즘국평오라는거...
-
공개저격 멋있다 5
-
이사를 존나 시골로 와버렸네
비슷한 경우로, '부리나케(<불이 나게)'와 '불현듯이(불 켠 듯이)'가 있습니다.
부랄부랄
아이고
태일아태일아
왜 불러 왜 불러
오.....
부라부라(부엉이라이브러리부엉이라이브러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어원글은 항상 재밌군요
오...
개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