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 [1359468] · MS 2024 · 쪽지

2025-09-05 15:47:38
조회수 255

연세대 인문논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66075

수시 최저 없거나 2합 6이라서

연세대 인문논술 써보고 싶은데 어떤가요

(모고 평백 8n~90 왔다갔다)


(영어 제시문 나온다는데 영어 공부 많이 해야되는건가요?

미적러인데 확통 해야하나요? 사탐 공부 따로 해야되나요?)


하루에 5시간 이상 투자할 수 있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Jangwon_주영 · 1324551 · 09/05 16:51 · MS 2024

    시간은 충분합니다! 확통은 22 개정 이후로 출제된 적이 없습니다. 주로 공통 범위에서 출제되고, 수1 수2 역량과 이를 해석하는 인문 능력이 훨씬 중요합니다! 영어는 2~3등급 정도면 따로 공부하실 필요 없습니다. 제시문의 입장을 잘 해석해서 결국 한글로 쓰는 국어적 능력이 더 중요해요 :)

  • Jangwon_주영 · 1324551 · 09/05 16:52 · MS 2024

    참고로 저는 미적 과탐 응시하고 연세대 인문논술 합격하였습니다. 사탐의 배경지식도 과도하게 요구되지 않아요! 현장에서 독해만 잘 해 주시면 됩니다 :)

  • 밤하늘별빛 · 1130487 · 20시간 전 · MS 2022

    논술에선 ‘공리주의‘ ’의무론‘ 등 사탐에서도 기본이 되는 개념어들은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 답안에 바로 인출해야하는 경우가 많아요. 심지어 성균관대같은 경우는 이러한 논술(사탐) 개념어를 모르면 제시문들을 분류해야 하는 1번 논제에서부터 막힙니다. 따라서 사탐과 논술 모두 노베이스라면 지금부터 연세대 기출 5개년-10개년치는 모두 접하고 가야한다는 점에서 하루에 얼마나 논술에 투자할 수 있는지 고민해보세요.

  • 밤하늘별빛 · 1130487 · 20시간 전 · MS 2022

    https://admission.yonsei.ac.kr/seoul/download.asp?furl=bbs/202209071657068FS6M8.PDF&fname=2023%C7%D0%B3%E2%B5%B5+%BF%AC%BC%BC%B4%EB%C7%D0%B1%B3+%B4%EB%C7%D0%BA%B0+%B0%ED%BB%E7+%C0%DA%B7%E1%C1%FD%2Epdf

    제가 알기로는 2023학년도가 가장 최근 중에서 유일하게 연세대 입학처 측에서 모든 문항에 대해 예시답안을 작성해서 준 년도일거에요.
    이 대학별고사 자료집에 있는 2023 기출을 혼자서 읽고 답안을 생각해보신 다음에, 학교측 예시답안과 비교해보세요. 그러면 얼추 연대 논술에 진입해도 될지말지 스스로 기준이 세워질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