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모 영어 문법에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63620
답이 2번이잖아요
뒤에가 완전해서 찍긴했는데
이게 that으로 바뀌어서 동격으로 되야하는건가요? 자세히 어떤구조인지 잘 모르겠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1 2 다 n제 풀면서 머리 쥐어짜고 고통 속에 문제푸는데 정작 시험만 보면...
-
https://orbi.kr/00074583075...
-
빅포텐 시즌2 산건 아까워서 주간지마냥 하루 2~3문제씩만 풀거에요
-
교재 구매 들어가보니까 없던데 사이트로 들어가도 없어요 혹시 아시는 분 계실까요?? 혼란스럽네요
-
얼버잠 5
다들 굿밤
-
몇등급정도 나올꺼같음?
-
우리 동기중에 재외국민으로 와놓고 맨날 학기초반부터 톡방에 집에만 박혀있다고 원래...
-
아직 수학 개념 제대로 시작도 안했다면 어떻기 해야 할까요 8
현재 확통 쌩 노베, 수1 수2 피상적으로 대강 개념만 알고 있는 상태입니다....
-
6평 28을 진화시킨 버전이 9평 28같음 근데아무래도 비슷하니 체감난도는 다를수잇겟지
-
독서 다 틀리고 박았는데 등급컷 뭐임...? MDP 보기 문제는 진짜 에바던데
-
보통 언제쯤 올라오나요 ??
-
어그로 진심으로 죄송합니다. 화내지말고한번만도와주세요.. 작수 언매 98 백분위...
-
좋은거있나요 특히 6 9평에 나온 항등식 관련문제 대비 ㄱㄴ한거
-
가면 저처럼 돈주고 서비스받는것도 까먹고 혼자 인간관계라고 생각해서 슬퍼짐..ㅠㅠ...
-
유대종의 미 0
심찬우 현강이랑 유대종의 미 병행 할까 고민중인데 괜찮을까요? 다른 강사 파이널...
-
벌써 12시야 2
오늘은 12시 전에 잘려고 했는데..
-
자야지요 14
네
-
3덮 47 4덮 50 5덮 47 7덮 44 8덮 47 25수능 42 3모 50 5모...
-
프테뱃 조합 좋은것같다 11
금색눈알도 있으면 좋을텐데... 금색눈알을 배급하라!!!!!!!! 금어게인!!!!!!!!!!
-
https://youtube.com/shorts/j-bT0jEF3qY?si=GE4dp...
-
진석이처럼 1025마리중에 랜덤돌려서 깨볼까
-
나 어떡하지..? 진짜 그사람이 너무 좋은데 어캄
-
2주동안 열심히 배우고 나면 나에 대한 이해가 늘어날까
-
조졌다 6
배터질것같음.꾸웨에엑
-
대한민국 말고 또 있나 싶음 탈조선이 답같음 유승민이 옳았고 그가 승리자인거임
-
수학은 주4회 과탐은온힘을다해 국어는 주1~2회
-
스나이퍼 후기 3
라떼는 오르비에 fait이라는 게 있었는데 없어진지 4년? 5년? 만에 스나이퍼가...
-
확통이고 9모 15 21 틀렸는데 n제 뭐 풀면 될까요? 뉴런이 아직 안 끝나서...
-
어차피 눈팅하다가 다시 하게 돼 있음
-
57분 4
-
너무슬퍼
-
면이 싫으면 중국집 볶음밥 시켜서 딸려오는 짬뽕 국물 마시는 게 맞다
-
아수라일지라도 킬링캠프 텐트 속에서 키스하면서 일취월장하게 강평업
-
어그로ㅈㅅ합니다 15,19,21,22,24,28,29,30 틀렸는데 19, 24는...
-
민지 이때가 ㄹㅇ 진짜 ㅈㄴ 이쁨
-
다들 안녕히 2
조용히 잠시 작별인사를 다시 떠들썩할 11월에 만나용
-
ㅎ
-
안녕하세요 총내신 1.8정도이고 9모 가채점으로 텔그돌렸을때 중대 경영까지 바라볼...
-
자자 3
피곤하다
-
그샘얼굴만보면 슬퍼지는 뭔가가 있어..ㅋㅋㅋㅋㅋㅋㅋㅋ 맨날 울면서나와ㅜㅜㅜ하는질문도...
-
지금 우리학번 남녀비율 7대3 정도인데 공보의 시발 부족하다며ㅋㅋㅋ 정시 더...
-
우산 고장나서 만지작거리니까 손가락 간지럽고 막 부음
-
근데 극한이 상쇄되지 않는 논리적인 이유가 궁금함 10
다들 극한이 어케 상쇄되냐고만 하고 이렇게 해야 올바른 방법이라고만 하면서 상쇄되면...
-
이번 9모 국어 시험자체는 어려웠는데 등급컷만 보면 평이한 수준아닌가..? 어려우면...
-
고2 이과 국어 인강 안 듣고 혼자 문제집 풀어서 성적 올릴 수 있을까요?? 0
고2 이과 희망하는 학생입니다 다른 과목은 그리 걱정이 되진 않는데 국어가 모의고사...
-
웹툰봐야지 5
-
멘탈 회복해서 7
이제 흑마늘 아닌데 다시 바꿔야하나
그냥 관계부사로 바꾸먄 되지 않나
좀만 자세히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ㅜㅜ 저 문법이 약해서..
안녕하세요. 차근차근 생각해 봅시다.
원래 다음의 두 문장이 있었습니다.
ⓐ Natural honey can also be called 'blended honey'
자연 꿀은 또한 섞인[혼합된] 꿀이라고 불린다.
ⓑ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in the 'blended honey'.
다양한 원천에서 온 꿀은 'blended honey(혼합된 꿀)' 속에 함께 섞여 있다.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를 이용하여 한 문장으로 합치겠습니다. 이때, ⓑ 문장을 관계대명사절로 사용하겠습니다. 관계사를 이용해 두 문장이 하나로 이어질 때는 다음의 원칙을 따릅니다.
1. 두 문장에서 의미상 겹치는 어구를 찾는다.
→ ⓐ의 'blended honey'와 ⓑ의 'the blended honey'가 겹침.
2. ⓑ 문장에서, 겹치는 어구가 전치사 in의 목적어 자리에 앉아있고 사물이므로 관계대명사 which로 바꾼다.
→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in which.
3. 관계사는 자신이 있던 문장의 맨 앞으로 이동한다.
→ Which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in.
3.5 전치사의 목적어를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바꿀 경우, 자신의 목적어(blended honey)를 잃고 홀로 뒤에 남은 전치사를 관계대명사 앞으로 옮겨줄 수 있다.
→ In which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4. 관계사절을 선행사의 바로 뒤로 이동시킨다.
→ Natural honey can also be called 'blended honey' in which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 계속적 용법으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관계사절의 바로 앞에 콤마를 찍어준다.
→ Natural honey can also be called 'blended honey', in which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
위의 2단계에서, 다시 다음과 같은 조작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2. ⓑ 문장에서, 겹치는 어구를 'the blended honey'라는 명사에 한정하지 않고 'in the blended honey'라는 전치사구라고 생각하면, 전치사구(in ~ honey)가 부사구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in 전치사구'를 통째로 장소의 관계부사 where로 바꿔 쓸 수 있다.
→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where.
3단계, 4단계를 거쳐 다음의 문장이 탄생한다.
→ Natural honey can also be called 'blended honey', where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따라서 in which 또는 where 형태는 가능하나 which 형태로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
동격 that은 말 그대로 that 앞뒤의 어구(또는 내용)가 동격일 때 사용하지만, 여기서는 관계사절의 내용이 일어나는 '장소'로 선행사('blended honey')를 꾸며주고 있기 때문에 동격이라 볼 수 없습니다.
---
관계부사 that의 경우 (주로 구어체에서) 다른 관계부사를 대신할 수는 있지만 계속적 용법으로는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 that ~' 형태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
결국, 관계사절에 대한 이해가 받쳐주지 않으면 제 설명도, 다른 강사님들의 설명도 이해할 수 없거니와 문제를 제대로 풀 수도 없습니다. 어려운 수준의 어법 문제가 아니니 관계사절 파트를 다시 공부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영어를 두리뭉실하게 느끼시는 분들이 많은데, 언어도 일정한 규칙과 체계를 가지고 있는 만큼 대부분의 개념에서 원리가 존재합니다. (수학으로 치면 증명과정이 존재한다는 뜻)
두리뭉실하지 않게 공부하시면, 명확하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which 뒤는 불완전 ~', 'what 뒤는 완전~' 처럼 가르치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학생들을 위한 유용한 스킬은 되어주나 사실 불완전한 설명입니다. (이렇게 가르치는 분들 스스로도 이미 모두 잘 알고 계실 겁니다) 하지만 절평 기조에서 요구하는 학생들의 니즈에 맞춰 빨리빨리, 짧게 가르칠 수밖에 없다 보니 개념이 점점 불완전해지고, 그러니 조금만 문제가 꼬여도 틀리는 경우가 나오는 거죠..
아하 장소로서 이해했어야 하는군요.. 친절하고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ㅜ!! 댓글보고 정리해볼게요
저는 증명과정을 풀어써드린 것이고, 가장 쉬운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which는 관계대명사이다.
2. 이는 곧, which가 원래 선행사(blended honey)와 동일했다는 의미이다.
3. which를 blended honey로 풀어 써보면, 이 명사구가 갈 명사 자리가 없다. 주어에는 이미 honeys가 있고, 본 문장이 3형식 수동태이므로 be p.p 뒤에는 목적어나 보어가 올 수 없기 때문이다.
→ 그래서 which는 안 된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