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모 영어 문법에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63620
답이 2번이잖아요
뒤에가 완전해서 찍긴했는데
이게 that으로 바뀌어서 동격으로 되야하는건가요? 자세히 어떤구조인지 잘 모르겠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https://youtu.be/QeYTPFPLftM?si=cm4el2iDtVKWDOz...
-
자야지요 4
네
-
내신 1.5로 광운대 13
광운대식 1.58로 광운대미디어 안정으로 무조건 붙을 수 있을까요..?ㅠㅠ
-
잘까
-
고2모고 수학 3뜨는 고2입니다 정시 결정 뒤늦게 해서 이제부터 김기현 커리...
-
수리논술 원서 0
중앙대 vs 경희대 인하대 vs 건국대 하향?카드가 과기대 하난데 그냥 1하 5상으로 지를까요?
-
국1수3 구해서 서로서로
-
맜있는 문제 없나 12
갑자기 저거 푸니까 수학머리도네
-
고2 그래도 수시에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게 맞는건가요 7
내신 1-1 3.32 1-2 3.00 2-1 3.87입니다 아래 사진은 이번 고2...
-
아까 문제 답 8
e^(5.2)-3
-
드릴 3이 집에 있는데 지금 푸는게 맞나요?? 옛날꺼라 기조가 안맞을거같아서 계속...
-
과외 받아야할거같은데 죄다 8-10 부름...
-
9모 1
21312 심지어 탐구 1 하나 빼곤 다 턱걸이. 할 수 있다. 수능은 11111
-
2학년 내신때 김승리의 선택 들었었고 1학기동안 유기햇다가 심각성을 느끼고...
-
매질이 필요함
-
우울하다 3
우울핑
-
난진짜모르겠다
-
작년보다는 별로 없는거죠?
-
귀차나..
-
제목만 들어봄 2009년인가에 했는데
-
내가 더 해줄 수 있는게 없는거같으니까 너무 무기력해 2
대체 내가 뭘 해줘야하지
-
사기 당했습니다 13
저도 잘한 짓은 아니긴 한데 필요한 자료가 있어 텔레그램 교환방에서 구매하려 했고...
-
분명 열심히 하는 사람들인데
-
사문. 마더텅 지금이라도 푸는게 맞죠?? 어 5개년인가 쨌든 6모 45 9모 42...
-
내 실력의 이슈임? 아님 그냥 사설이랑 안맞는거임?
-
챗지피티가 구한 근사값은 178.27임 무리수임
-
난 전역하고 3개월만에 21211 띄우긴 했음 근데 난 나형 고정 100 출신에...
-
페이커 닮아서
-
평가원 #~# 1
음의 편각 비교는 금단의 영역이거늘,,, 지1에도 마이너스 복각 대소비교 물어보겠네...
-
죽기는 또 무섭고 그냥 피철철내서 벌하고싶다
-
우걱우걱
-
다원수학 들어가라길래 사이트들어가봤는데 별 다른 구매 방법은 안나와있더라고요...
-
9모 이후 뉴런 2
본인 수시 최저러인데, 9모 미적 80점(15,21,28,29,30틀)입니다....
-
강k, 강x 2
요즘들어 많이들어보는데 둘 다 수학 실모인가요? 그리고 둘 차이는 뭔가여
-
걍존나해피
-
세지 자작문제 4
이정도면 킬러보단 쉽겠죠..? 댓글로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항상 어떤 옯창이 현타와서 탈릅하면 또 새로운 누가 등장함 이게 무한 반복됨...
-
수능공부할 땐 정해진 걸 하면 됐고 그냥 나만 잘하면 됐는데 지금은 나만 잘한다고...
-
님들 시대 사이트에서 파는 서바이벌 pack 추천하심? 4
서바 사려고 하는데 서바이벌 pack? 이거 사면 되는 건가요? 근데 제가 사려고...
-
풀어본사람 매일 문제 푸는거 습관으로 하고있는데 이제 풀게없음 내가 잘 몰라서.....
-
앞에 있는 친구는 암컷, 안에 있는 친구는 수컷. 수컷은 갈수록 작게 보이는...
-
구름이 너무 많아
-
다 탈락입니다 6
설명이별로
-
아이시테시맛타 2
젠부젠부
-
ㅠㅠ
-
우기분 언제 올라와 빨리 빨리 빨리 빨리 빨리 빨리 빨리 빨리
-
오느레 야식 9
마라탕+꿔바로우+직접만든 계란찜
-
수특에서 몇문제 풀어보긴 했는데 아직 기출은 안함
그냥 관계부사로 바꾸먄 되지 않나
좀만 자세히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ㅜㅜ 저 문법이 약해서..
안녕하세요. 차근차근 생각해 봅시다.
원래 다음의 두 문장이 있었습니다.
ⓐ Natural honey can also be called 'blended honey'
자연 꿀은 또한 섞인[혼합된] 꿀이라고 불린다.
ⓑ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in the 'blended honey'.
다양한 원천에서 온 꿀은 'blended honey(혼합된 꿀)' 속에 함께 섞여 있다.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를 이용하여 한 문장으로 합치겠습니다. 이때, ⓑ 문장을 관계대명사절로 사용하겠습니다. 관계사를 이용해 두 문장이 하나로 이어질 때는 다음의 원칙을 따릅니다.
1. 두 문장에서 의미상 겹치는 어구를 찾는다.
→ ⓐ의 'blended honey'와 ⓑ의 'the blended honey'가 겹침.
2. ⓑ 문장에서, 겹치는 어구가 전치사 in의 목적어 자리에 앉아있고 사물이므로 관계대명사 which로 바꾼다.
→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in which.
3. 관계사는 자신이 있던 문장의 맨 앞으로 이동한다.
→ Which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in.
3.5 전치사의 목적어를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바꿀 경우, 자신의 목적어(blended honey)를 잃고 홀로 뒤에 남은 전치사를 관계대명사 앞으로 옮겨줄 수 있다.
→ In which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4. 관계사절을 선행사의 바로 뒤로 이동시킨다.
→ Natural honey can also be called 'blended honey' in which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 계속적 용법으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관계사절의 바로 앞에 콤마를 찍어준다.
→ Natural honey can also be called 'blended honey', in which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
위의 2단계에서, 다시 다음과 같은 조작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2. ⓑ 문장에서, 겹치는 어구를 'the blended honey'라는 명사에 한정하지 않고 'in the blended honey'라는 전치사구라고 생각하면, 전치사구(in ~ honey)가 부사구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in 전치사구'를 통째로 장소의 관계부사 where로 바꿔 쓸 수 있다.
→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where.
3단계, 4단계를 거쳐 다음의 문장이 탄생한다.
→ Natural honey can also be called 'blended honey', where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따라서 in which 또는 where 형태는 가능하나 which 형태로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
동격 that은 말 그대로 that 앞뒤의 어구(또는 내용)가 동격일 때 사용하지만, 여기서는 관계사절의 내용이 일어나는 '장소'로 선행사('blended honey')를 꾸며주고 있기 때문에 동격이라 볼 수 없습니다.
---
관계부사 that의 경우 (주로 구어체에서) 다른 관계부사를 대신할 수는 있지만 계속적 용법으로는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 that ~' 형태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
결국, 관계사절에 대한 이해가 받쳐주지 않으면 제 설명도, 다른 강사님들의 설명도 이해할 수 없거니와 문제를 제대로 풀 수도 없습니다. 어려운 수준의 어법 문제가 아니니 관계사절 파트를 다시 공부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영어를 두리뭉실하게 느끼시는 분들이 많은데, 언어도 일정한 규칙과 체계를 가지고 있는 만큼 대부분의 개념에서 원리가 존재합니다. (수학으로 치면 증명과정이 존재한다는 뜻)
두리뭉실하지 않게 공부하시면, 명확하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which 뒤는 불완전 ~', 'what 뒤는 완전~' 처럼 가르치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학생들을 위한 유용한 스킬은 되어주나 사실 불완전한 설명입니다. (이렇게 가르치는 분들 스스로도 이미 모두 잘 알고 계실 겁니다) 하지만 절평 기조에서 요구하는 학생들의 니즈에 맞춰 빨리빨리, 짧게 가르칠 수밖에 없다 보니 개념이 점점 불완전해지고, 그러니 조금만 문제가 꼬여도 틀리는 경우가 나오는 거죠..
아하 장소로서 이해했어야 하는군요.. 친절하고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ㅜ!! 댓글보고 정리해볼게요
저는 증명과정을 풀어써드린 것이고, 가장 쉬운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which는 관계대명사이다.
2. 이는 곧, which가 원래 선행사(blended honey)와 동일했다는 의미이다.
3. which를 blended honey로 풀어 써보면, 이 명사구가 갈 명사 자리가 없다. 주어에는 이미 honeys가 있고, 본 문장이 3형식 수동태이므로 be p.p 뒤에는 목적어나 보어가 올 수 없기 때문이다.
→ 그래서 which는 안 된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