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지] 9모 국어 24번 투기장 열 주제는 아님 (9모 문학 해설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52790
9모 문학 해설지 (1).pdf
24번은 희망으로 컷 내기가 참 애매합니다..
아니 난 희망이 안 느껴진다니까? vs 아니 난 느껴지는 것 같기도????
예...
뭐 희망이 안 느껴지는 것 같긴합니다.
근데 저는 24번에서 2509를 떠올리셨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라???
그냥 해설지만 올리면 아무도 안 보길래 어그로 좀 끎 ㅇㅇ
24번은 투기장을 열 주제가 아닙니다.
실전적인 명확한 근거가 있어요.
9모 문학 Focusing (1)
이번 9월 모의고사에서 문학에서 이슈가 생긴 학생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 친구들을 위해 9월 모의고사 해설지를 올려드립니다.
문학focus와 제 수강생들도 이 해설지를 통해 방법론을 적용해보는 연습이 될 수 있으니 꼭 한 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파일을 다운받아서 봐주시기 바랍니다.
중간에 24번을 틀리신 분들을 위해 선물을 하나 넣어뒀습니다.
2609 (나) 이수익, 「달빛 체질」과 2509 백석, 「북방에서-정현웅에게」가 어떤 점에서 비슷했는지를 알 수 있는 자료입니다.
한번 같이 공부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서 제 교재를 발췌해서 삽입해두었습니다.
타 해설지와 달리 실제 시험장에서 문제와 지문의 조화를 어떻게 가져가야 할 지를 담은 해설지입니다.
다른 해설지와 구성이 매우 다릅니다.
처음부터 쭉 흐름을 따라가며 읽어보셨으면 합니다.
------------------------------------------------------------------------------------------------------------------------
아래는 광곱니다.
구매 링크
오르비 북스: https://atom.ac/books/13465/
YES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51124633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285843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69779869
제가 최근 교재 작업으로 많이 바빠 뒷 부분은 이번주중에 빠르게 이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냥 찐성적표 나올 때까지 하염없이 기다려야 됨
-
한테 부탁하면 구할 수 잇음? 강케이 사문 구하고싶은데 친구가 강대다녀서...
-
네이버 오르비 기준으로 쪽지함에 보면 Lacri_봇이라는게 있더라고요 저건 뭐지...
-
수학 모고 변화 6
100 (2403) - 처음이자 유일한 만점 99.55 88 (2409) - 커로...
-
오우
-
드릴3 0
N제는 몇권 풀었지만 드릴은 푼 적 없은데 집에 드릴3이 있거든요 드릴 이걸로...
-
먼가 허전해…
-
이왜진
-
인스타 위치 3
그거 켜둠? 나만켜두나
-
plurality 복수라길래 리벤지말하는줄 로터리도 교차로같은건줄암 ㅈㄴ허수같네하
-
독재로 도망갈까 7
-
애옹 3
애옹
-
화해해 16
누군진 모르겠지만 서로를 사랑한다고 말해줘..
-
ㄱㄱㄱ
-
이번 22번 좌표까지 다 구해놓고 마지막 계산과정에서 2분 남았길래..
-
공비가 진분수니까 점점 작아지는 수열이고, 216=2³×3³이니까 이걸로 만든...
-
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영어 오답률 1위 33번 해설 0
https://youtu.be/6sxtionMoVg?feature=shared
-
날.. "N수하는 버러지"라고 불러 줄 수 있나?.. 이유는.. 나도 멋진 별명을...
-
사문 퍼즐은 무작정 케이스 나누기 보다 생각좀 하고 가는게 좋을 듯한 0
이번 9모 퍼즐형들 현장 풀이인데 평가원은 퍼즐형을 출제할 때 무지성 케이스 분류...
-
오루비 잘자요 4
-
이번9평급 난이도 정도되는 도표, 채점형 퍼즐문제 모아놓은 사문 퀄리티 좋은 n제...
-
개뽀록이었나?
-
김승리 성대모사 2
이사람 오지훈 웃음소리 따라하는거 왜이렇게 웃기지 오지훈 들어본적도 없는데 그냥...
-
2025 중앙대 인문 논술 기출 분석과 효과적인 공부법 3가지 0
중앙대 인문 논술 기출, 무엇이 다른가? 중앙대 논술을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가장...
-
기출 중요하다고 보심? 시간 운용도 크게 의미없고 그냥 푸냐 못푸느냐 싸움 같은데...
-
3점 두개 나감 90이엿음
-
김기현 선생님 듣고 있는 고2인데 아이디어하고 기생집까지 한 다음 기출코드 하고...
-
진심 저게 더 어려워보이는데
-
"58점" 확정
-
뭐라씨부리는지를모르겠노
-
듣기 2개 어법 1개 틀려서 77인데... 듣기는 졸아서 못들은거고 어법은 2번...
-
음 생각해봤는데 1
15 21은 뭔가 갈수록 식정리가 중요해지는 거 같음 이전처럼 뭔가 바로 특수네...
-
지금은 화해함...
-
핫식스vs더킹vs몬스터vs넷플릭스vs에반게리온
-
고3이 더쉬움
-
아 미 새 ~
-
하 ..떼야겠지?
-
고2수학솔직히 7
집와서벅벅풀면풀림 1컷85가맞음
-
촉이 와 4
단번에 느껴 널 한입에 치즈처럼 잡아먹을테다
-
사문 신문,가족 9
이번 9평에 신문이 사회화기관에 속하는거랑 작수 처럼 가족이 사회화 기관에 속하는등...
-
4번이 답인 이유를 명확하게 설명 좀 해주실분 보기2의 컨텍스트에 임에 대한 원망이...
-
국영수 안탄탄하면 지금 국영수에 몰빵하능게 낫지? 사탐 하나 시작하는거보단..?
-
이게 그리 놀랍지 않다..
-
해줘 응애
-
뭘 해야할까요? 1
현역인데 9평도 끝났고... 뭘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분명히 12월달부터해서...
-
다들 진작에 차단해놔서 누가 싸우는지도 모르네
-
ㄹㅈㄷ 평화임
-
이게 한 시험지에 나왔는데 1컷이 80이라고?? 그 6모도 76이었는데? 08 수준...
-
편의점갈말 4
스파게티먹고싶어....
-
서성한 ㄱㄴ? 4
이걸로 서성한 공대 ㄱㄴ함? 스나이퍼랑 텔그랑 고속이랑 다 달라서 헷갈림
아 24번 젊음에 대한 인식인데 젊음만 보고 뭐가무거워? 하고 1번찍고 문학 1틀함 ㅋㅋ
ㅜㅜㅜ
얘만 맞았어도 88로 1인데 ㅋㅋ 계속 수문장 점수만 뜨네요
이건 작품의 '구두' 파트를 제대로 안 봐서 생긴 문제 같기도 합니다...
필독하겠슘댜...(9모 문학 7틀 ㅠㅠ)
엇.. 어쩌다가....
언매에서 딜레이 걸리고 문학 현소에서 멘붕...
그 현소가 24수능 인물 관계 파악의 연장선상이라고 보긴 하는데
선지 하나하나가 좀 뭐랄까 세세한 걸 물었죠
세세한 거를 못 봐서...문학 연마 많이 해야겠어요...
24번 해설 부분 말인데요
달이 태양보다 덜 밝기 때문에 눈이 부신 속성을 가지지 않았다고 볼 수가 있나요?
내 조상은 뜨겁고 부신
태양 체질이 아니었다. 내 조상은
뒤안처럼 아늑하고
조용한
달의 숭배자였다.
뜨겁고 부신 것은 태양입니다.
저는 둘 다 빛 내고있는거 맞는데
그게 희망을 추구하는 내면을 나타내진 않는다고 생각해서 찍었어요
희망을 추구한다는 것은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드러냈다는 것인데, 이는 주로 현재의 결핍에서 비롯됩니다. (가)와 (나) 둘 다 현재 상황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시험장이라면 이 부분에서 희망X로 그어도 됩니다.
그러나 ‘결핍 → 희망 추구’가 성립한다고 해서, 그 역인 ‘희망 추구 → 결핍’이 반드시 성립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복습하는 과정에서는 사실관계를 통해 정오 판정을 내리는 연습을 하여야 합니다.
실제로 과거 2509에서도 저렇게 나왔다고 봅니다.
완전 이해햇어요 뜨겁고 부신 체질이 아니라면 부시지 않은 체질이라는 뜻이라는거죠?
완전 문학 마스터시네요
글고 이건 다른 얘기긴 한데요
희망 추구는 결핍에서 비롯되는 거잖아요.
‘희망 추구 → 결핍’ 이 성립한다고 해서, 역인 ‘결핍 → 희망 추구’ 가 반드시 성립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말이 맞지 않나요? 희망 추구의 전제조건이 결핍인 거잖아요.
주로 결핍에서 희망을 찾는 게 맞지만 그걸 무조건 그렇다 라고 보긴 힘들다고 생각했습니다.
저 교훈 파트는 일반론적으로 다뤄서 배워가자 파트거든요
희망 (希望)
명사
1
어떤 일을 이루거나 하기를 바람.
희망 사항.
2
앞으로 잘될 수 있는 가능성.
희망이 보이다.
어떤 다른 시에서는 희망찬 현재 상황에서 미래에서도 희망이 유지되기를 바라는 것을 보일 수도 있지 않을까요?
저기 교훈 파트에는 그런 일반론적인 것을 써둔 겁니다.
물론 대부분의 시는 극적인 효괄 주기 위해 결핍에서 희망찬 미래를 기대하는 상황을 차용하겠죠.
그리고 시험장에서 희망이 없다라고 보고 답을 골랐을 때는 작품에서 희망이 있나 없나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 검토단계에서 바꾸고 틀릴 수도 있습니다.
전 답 고르고도 근거가 딱 안 보여서 찜찜한 상황을 제일 싫어하거든요.
그래서 명시적으로 드러난 바를 보고 고르자고 했습니다.
혹시 어제 다른게시물 댓글에서 해설 올리신 걸 봤는데, 24번 문제 해설에 태양이 눈이 부시다는 이야기에 덧붙여 희망이 아니라고 해설해주셔서 그리 납득했는데, 그 해설보다는 오늘 해설 바탕으로 납득하면될까요? 희망은 그럼 애매한 부분일까요?
저기에 교훈 파트는 일반론적으로 배워가자는 파트다보니 다른 시에도 적용 가능하냐 유무까지 따져서 써뒀습니다.
참고로 저는 저 희망 유무가 또 적막, 겸양, 경외감에 이은 소모성 논쟁이라고 봅니다.
결국 명백히 앞 부분이 틀렸음을 파악했으면 넘기는게 맞기에 그 관점으로 써뒀습니다.
컨셉이 실전에서 할 수 있는 것을 하자여서요.
위에 댓글 단 것으로 갈음합니다.
------
시험장에서 희망이 없다라고 보고 답을 골랐을 때는 작품에서 희망이 있나 없나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 검토단계에서 바꾸고 틀릴 수도 있습니다.
전 답 고르고도 근거가 딱 안 보여서 찜찜한 상황을 제일 싫어하거든요.
그래서 명시적으로 드러난 바를 보고 고르자고 했습니다.
-----
아마 희망은 저 시에서 아니긴 할 겁니다.
결론
1. 태양이 눈이 부신속성이라서 땡
2. 희망도 땡
그런데
2번 풀이의 논리를 일반화해서 들고가기엔 헛점이 존재함
따라서
다른 시에서도 어 희망을 추구하네? 지금 상황은 무조건 결핍!
-> 이건 아닐 수 있으니 주의하라는 ‘교훈’을 써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