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ux] 환동 [925060] · MS 2019 · 쪽지

2025-09-04 13:34:17
조회수 1,797

예상등급컷 읽는 방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51234

① 단일 등급컷형 (ex. EBS)


이거는 그냥 보이는대로 읽으시면 됩니다. 읽기 어려울게 전혀 없어요. 

원래는 공틀선틀에 따라 등급컷 조금씩 달라지는데, 이런 타입의 등급컷은 직관성을 위해서 그 점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즉, 디테일보다는 직관성을 중시한 타입의 등급컷이죠.




② 등급컷 범위형 (ex. 메가스터디)

단일 등급컷형과 달리 여기는 공틀선틀에 따라 등급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 등급컷을 내는데, 이 때문에 잘못 읽는 사람이 생겨납니다.


예를 들어서 미적분 1컷이 84-87로 되어있으니까 "아! 미적분 84는 무조건 1등급이라는 소리구나"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은 "84-87 중에서 87은 공틀선틀 상관없이 무조건 1등급이고 84~86은 공틀선틀에 따라 1등급이 될 수도 있고 2등급이 될 수도 있다"라고 해석하는게 맞습니다.


84~86 중에서도 점수가 낮을수록 상위 등급이 되기 위한 조건이 까다롭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마 메가 기준으로는 84는 공통만 4개 틀린거 아닌 이상 2등급으로 뜨실겁니다.




③ 해당 등급에 포함되는 원점수 범위형 (ex. 대성마이맥)



이것도 잘못 읽으시는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미적분 1등급 범위가 100-82로 되어있으니까 "와! 1컷이 82라고? 역시 갓대성"이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중요한 함정은 2등급 범위가 84-75로 되어있다는 점입니다. 82~84는 1등급 범위에도 포함되지만 2등급 범위에도 포함되는거죠.


이때 82~84는 공틀선틀에 따라서 1등급이 될 수도 있고 2등급이 될 수도 있다고 해석하시는게 옳습니다. 그러니까 여기서는 미적 많이 틀린 84는 2등급이 될 수도 있다고 예측을 하고 있는거예요

rare-matplotlib rare-pandas rare-OpenAI rare-Jupyter NB rare-NumPy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