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volt [1381218] · MS 2025 · 쪽지

2025-09-04 10:30:55
조회수 144

은하 별 초신성 폭발 비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49296

초신성 폭발은 초거성이 더이상 핵융합을 못해서 중력수축으로 인해 폭발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는데 그럼 타원은하는 나이가 있고 온도가 낮은 별이 많이 있으니까 초거성 같은 별이 있어서 초신성폭발이 많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리고 나선은하 같은 경우에는 온도가 타원은하에 비해 높고 젊은 별이 주로 있으니까 초신성 폭발이 적은 것 아닌가요? 이렇게 알고 있다가 9모에서 틀렸네요;; 정확한 개념을 알려주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생투성애자 · 1348501 · 19시간 전 · MS 2024

    6번 문제 말하는 거면
    저도 현장에서 당황했긴 한데

    나선은하가 푸른 별 많다 > 질량 높은 주계열이 많다
    > 그럼 초신성 폭발 비율도 타원은하보다는 많겠지

    라고 생각해서 답 썼어요

  • b0n0n0b0 · 1391417 · 18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초거성은 나이가 많지 않아요. 질량 뒤지게 큰 별이 급발진하면서 팽창한게 초거성이라서 타원은하에선 오히려 초거성 비율이 낮아요.
    왜냐하면 새로 생기는 별 자체가 적어서 질량이 큰 별이 생길 확률도 낮은데,
    질량 큰 별들은 태어나기만 하면 사망 스피드런을 찍어버려서 별이 지속적으로 태어나는 환경이여야만 초신성이 생길 수 있어요.
    근데 타원은하는 처음에 잠깐 반짝하고 별 오지게 많이 낳았다가 그 뒤로 거의 생성이 안되니 이미 무거운 별은 다 뒤지고 쪼매난 놈들만 남은겁니다.
    따라서 초신성 폭발이 타원은하에선 덜 일어나요. 나선은하는 이거의 정반대

  • Xevolt · 1381218 · 16시간 전 · MS 2025

    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