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의 25 [1285000] · MS 2023 · 쪽지

2025-09-04 02:07:05
조회수 824

심심해서 풀어본 과탐 후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47710

화2 1컷 50이 납득이 될 정도로 정말로 무난한 시험지


1페 

따로 평가할 건 딱히 없지만

4번같은 문제 요즘 자꾸 내는데 개정 교육과정 이후 수능을 대비하려고 하는 건지... 의문이네

(6평때부터 과학탐구실험과 연계하려고 하는 경향이 점점 뚜렷하게 드러남)


2페

6번에서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이 나와서 조금 당황했을 수도 

7번에서 생소한 유형으로 문제가 제시 (증기압력 퍼즐...)

오히려 상평형에서 장난 안치고 증기압력으로 장난을 치는거 보니 수능이 두려움

나머지는 정말 무난한 끓는점 오름, 농도, 반응속도 문제로 계산양도 적고 추론거리 x


정말 잘하는 학생들은 5분 내로 3페이지까지 도달했을 것으로 추정됨


3페

15번 산염기가 그나마 가장 까다로웠다고 볼 수 있을 듯

12번 열화학 13번 기체 14번 평형은 3페이지 치고는 굉장히 주는 문제에 가까움

16번도 3페이지 마지막 문제 반응속도 치고는 A 질량 조건이 거의 문제를 거저 주는 수준이라 정말 쉬웠음


3페이지까지 소위 "킬러"라고 생각이 들만한 문제는 그나마 15번 정도 빼곤 없었다고 봐도 무방함


4페

17번은 평소라면 3페이지에 있어야할 난도의 쉬운 산염기 

(어려운 산염기를 15번에 쉬운 산염기를 17번에 배치함)

18번 계산이 없이 르샤틀리에 원리를 활용하는 평형 이동

19번 지시하는대로만 따라가면 손쉽게 풀리는 기체 반응 문제(추론요소 제로)

20번 그나마 이 시험지에서 추론해야할 요소가 있었지만 그마저도 평소 20번에 비하면 정말 쉬운 수준


전체 시험지 중에서 15번이 가장 어렵다고 느낄 정도로 "킬러" 수준의 문제가 거의 없다시피해서 

표본 고인걸 감안하더라도 1컷이 50점이 나오는 건 당연한 수순이라고 보여짐


수능때는 절대 이렇게 안나올 거라고 생각하고 대비해야함


생2 9평치곤 1컷 45도 높은데...?(수능이면 1컷 47점 나올 표본) 

작수보다 객관적으로 더 어렵게 느껴졌음

그럼에도 작수보다 1컷이 높다는 건... 표본이 심각하게 고였다는 뜻


비킬러의 난이도가 24수능만큼 상당히 까다로웠고 

(3번/7번/9번/12번/17번 모두 평소보다 조금 더 까다로운 문제)


2페에 나오는 샤가프는 작수에 이어서 또 한 번 더 핵심 킬러로 자리 잡음


3페의 전사인자 추론은 주는 수준의 문제로 나왔고 하디-바인베르크 추론도 추론이라고 하기엔 민망한 정도로 쉽게 답케이스가 구해짐


복제추론은 조금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을수도 있고 실수 요소도 많아서 의문사를 당하는 경우가 많았을 것으로 추정됨


4페이지 코돈 추론 y부터 시작해서 x 역추론 z 추론을 하면 코돈 문제치고는 무난하게 풀 수 있는 난이도

제한효소 추론 -> 고려해야할 케이스가 많아 잘못 케이스를 잡으면 그대로 말렸을 가능성이 높고 시간이 꽤 소요되었을 문제


요즘 전반적으로 코돈 추론이 24수능부터 계속해서 쉬워지는 추세고 샤가프 법칙과 복제추론이 점점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음 

거기에 제한효소까지 시간을 꽤나 잡아먹기 쉬운 문제들이 까다롭게 출제되어 시간 분배에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예상됨


수능은 9모 난이도 이상으로 나오는것이 생2는 정배이기 때문에 올수능은 22수능 23수능 필수시절급으로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함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