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MI) 이번 유자나ᇚ 같은 거 표준국어대사전에 있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47344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원래 일욜에 반데옾하는데 오늘 이미 너무 늦었음 딤주부터 철저한 생패관리 드간다 진짜
-
알고리즘에 떴는데 뭐지 걍 놀랍네
-
집가장 8
오공끝 국어 2409 문학 다시 풀고 설맞이 mx 3개 푸니까 한시간반 금방갓어
-
1컷이 48이였음 난이도가 쉬운건지 어려운건지 잘 모르겠네
-
교과서 중심 정석 느낌인가여 아니면 도구정리하는 느낌인가요
-
이거 찾으신 분들?
-
뭐가 맞나요...?
-
우웅 7
우울하지말구
-
대학공부 평생
-
아 씌발 7
마라샹궈 시켜버려?
-
포기하면편할까 7
-
이거 진짜 같아요 둘이 성적 같이 떨어지다가 같이 오름..
-
강k ㅂㅂ
-
공부도 열심히 하고 귀여운거 좋아하고 맛있는거 좋아하는데 진짜 이게 귀여운게 아닐까...
-
벌써 12시군 7
착한어린이는 꿈나라로
-
와 8
땀 장난아니네 에어컨 틀었는데 와 이럼
-
새르비 망했노 3
금요일 새벽에 글리젠 이정도야?
-
아 개잠옴 6
빨리 씻고 자야지 내일아침엔 일어나서 아침먹고!!!! 독서길갈거임
-
진짜 물리적으로 가보고싶음 어케생겼는지 얼마나 큰지 궁금하고 정문도 한번 보고싶음
남간
왜냐면 옛날 한글맞춤법은 ㅁㄱ을 인정했었고 속담 등의 관용 표현에서 ㅁㄱ을 쓰게 했는데 그게 표국대로 넘어오면서도 유지된 것
저거 어떻게 발음해야함
아까 봤는데 이거 발음 못하겠는데
ㄱ은 연음
걍 흔한 겹받침 발음하듯이 하면 됨
아 별거없네.
남그정도 발음인가
놉. 자음군이 어떻게 발음되는지 생각해 보면 두 자음 모두 발음하지 않는다는 걸 알 수 있음
근데 사실 중세국어에선 '나ᇚ'은 모음 앞에서만 쓰여서 연음됐고 그외의 경우엔 '나모'로 쓰였고 시간이 흐르면서 '나ᇚ'이 관용구에만 흔적을 남겼는데 고어의 특징을 지니기에 역시나 모음과만 어울림
단독형은 쓰인 적이 없어서 나ᇚ의 단일형의 정확한 발음은 알기 어렵긴 해. 다만 ㅁㄱ 연쇄가 부자연스러우니 남 정도로 읽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임

ㄱ곡용체언을 저렇게도 쓸수있었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