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UMO [1362368]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5-09-04 00:25:38
조회수 719

[사회·문화 9모 전문항 해설] 9월 모의평가 사회·문화 전문항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46192

(198.2K) [389]

2026학년도 9월 모의고사 해설_사회·문화.pdf

안녕하세요, “모두가 양질의 교육을 누릴 수 있는 세상”을 꿈꾸는 SNUMO입니다.


오늘 실시된 9월 모의평가 사회·문화 영역 해설지를 사회문화 팀의 KKH 님께서 작성해 주셨습니다.

수험생 여러분께 도움이 될 만한 풀이 아이디어와 접근법이 잘 담겨 있습니다.


해설지는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첨부 파일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모의평가를 통해 본인의 학습 상황을 점검하시고, 해설을 참고하시면서 사고 과정을 꼼꼼히 복습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앞으로도 SNUMO는 다양한 과목에서 해설과 자료를 꾸준히 제공해 드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시험 직후 빠르게 정리된 해설지인 만큼, 보완할 점이나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확인 후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NUMO 드림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유니란 · 1180069 · 09/04 02:30 · MS 2022

  • 퀘일 · 1322412 · 09/04 09:34 · MS 2024

    신문이 비공식적 사회화 '기관'인 이유가 뭔지..

  • SNUMO · 1362368 · 16시간 전 · MS 2024

    안녕하세요, SNUMO입니다.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립니다!

    사회학은 본래 서양에서 들어온 학문입니다. 따라서 사회학에서 쓰이는 용어를 번역할 때 일대일로 대응되는 단어를 찾다 보니 가끔씩은 한국에서 통용되는 뜻에서 벗어나 있는 단어들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아래 설명을 읽으시면 좋을 듯합니다.

    ‘기관’의 본래 단어는 ‘agency’인데, 사회학에서 agency는 개인이 가치, 규범, 행동을 학습하는 수단이나 장치를 의미합니다. 대중문화는 이 정의에 부합하기 때문에 agency라고 봅니다. 이때 Agency를 직역하면 기관이 되기 때문에 교과서에서도 대중문화를 ‘기관’이라고 설명한 것입니다.

    사회학에서 기관이란 단어가 쓰이는 맥락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맥락과 다르다는 점을 기억하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공부하는 카피바라 · 1400397 · 09/04 10:19 · MS 2025

    5번에서 ㄱ선지에 각각 추출한 1000명이 표본이여서 틀린거 아닌가요?

  • SNUMO · 1362368 · 16시간 전 · MS 2024

    안녕하세요, SNUMO입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해설을 ‘㉠은 A의 연구의 표본이다‘로 고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