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9모 전문항 해설] 9월 모의평가 사회·문화 전문항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46192
2026학년도 9월 모의고사 해설_사회·문화.pdf
안녕하세요, “모두가 양질의 교육을 누릴 수 있는 세상”을 꿈꾸는 SNUMO입니다.
오늘 실시된 9월 모의평가 사회·문화 영역 해설지를 사회문화 팀의 KKH 님께서 작성해 주셨습니다.
수험생 여러분께 도움이 될 만한 풀이 아이디어와 접근법이 잘 담겨 있습니다.
해설지는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첨부 파일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모의평가를 통해 본인의 학습 상황을 점검하시고, 해설을 참고하시면서 사고 과정을 꼼꼼히 복습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앞으로도 SNUMO는 다양한 과목에서 해설과 자료를 꾸준히 제공해 드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시험 직후 빠르게 정리된 해설지인 만큼, 보완할 점이나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확인 후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NUMO 드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능 접수 할말 2
공부 하나도 안 했고 거의 머슬 메모리로만 풀 것 같은데 재미로 접수할까요 말까요
-
절댓값 때문에 숨이 턱 막혔어서.. 이런 문제들은 원래 함수를 그려서 개형 먼저...
-
[사설] 조국당 성추행 고발자에 ‘개돼지’ 막말 최강욱… 정치판 떠나라 2
더불어민주당 최강욱 교육연수원장이 4일 조국혁신당 성 비위 사건과 관련해 2차...
-
9모 화작확통생윤사문 순 백분위 98 96 100 96 영어2 떨어져도 광탈은 아니죠??......
-
지금 시점에서 무엇을 하면 좋을까요? 화작 기하 세지 정법 과목을 할 예정이고 국...
-
이의 게시판 보다가 신기한거 발견해서 올려봅니다. 이게 가능한 건가요..? 두 지문...
-
확통 29번 4
작년에 미적하다가 올해 확통으로 틀었는데… 자꾸 29번 같은 확통 3단원 통계파트가...
-
많이 어렵나요? 드릴드랑 비교하면 어느정도 되나요.?
-
수학2 국어3 안되나요??? 너무 아쉬울거같은데
-
아아 그 수능 ptsd온다 그냥 내 필임
-
수능 4
4만 7천원치 로또뽑는심정으로 접수는해둠
-
이런데는 지금 입학자가 졸업하면 아웃풋도 개떨어짐?
-
저 6모때 확통 했다가 74점맞고 공통다맞고 선택 3점만 다 맞춘다는 마인드로...
-
흠...
-
재수생 수시 0
9평 성적으로 서성한 정도 나오는데 내신 2.0으로 수능 끝나고 면접 있는 전형으로...
-
막바지에 김동욱 T 들으려 했는데.. 작년에도 김동욱 T 풀커리 탔고 이정수 T...
-
하루에 1시간씩 했는데 고정 2에서 3으로 떨어짐.. 공부가 손에 안잡힘..
-
사탐 백분위랑 과탐백분위 점수 같음요?
-
예전 국어 사설 0
문학이 계속 연계만 보고 연계 문제만 풀다보니까 문학 감이 많이 떨어진거같아서.....
-
g0제곱이랑 약분되는게 먼가 좋앗음
신문이 비공식적 사회화 '기관'인 이유가 뭔지..
안녕하세요, SNUMO입니다.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립니다!
사회학은 본래 서양에서 들어온 학문입니다. 따라서 사회학에서 쓰이는 용어를 번역할 때 일대일로 대응되는 단어를 찾다 보니 가끔씩은 한국에서 통용되는 뜻에서 벗어나 있는 단어들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아래 설명을 읽으시면 좋을 듯합니다.
‘기관’의 본래 단어는 ‘agency’인데, 사회학에서 agency는 개인이 가치, 규범, 행동을 학습하는 수단이나 장치를 의미합니다. 대중문화는 이 정의에 부합하기 때문에 agency라고 봅니다. 이때 Agency를 직역하면 기관이 되기 때문에 교과서에서도 대중문화를 ‘기관’이라고 설명한 것입니다.
사회학에서 기관이란 단어가 쓰이는 맥락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맥락과 다르다는 점을 기억하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5번에서 ㄱ선지에 각각 추출한 1000명이 표본이여서 틀린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SNUMO입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해설을 ‘㉠은 A의 연구의 표본이다‘로 고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수고가 많으십니다. 해설지 작성하시던 중에 오류사항이 몇 가지 있는 것 같아 확인차 댓글 남깁니다.
1. 9번 문항의 해설 첫 번째 문단에서 일탈을 규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있다고 보는 이론은 낙인 이론이 아니라 이를 제외한 전부입니다. 오직 낙인 이론만이 일탈을 규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없다고 하였으니, 서술 도중에 실수가 있으셨던 것 같습니다.
2. 15번 도표 문항 4번 선지에서 중복 수혜자 중 사회보험(A)의 혜택을 받는 사람은 3%가 아닌 5%로 보입니다. 해당 문제의 조건에 중복 수혜자는 2개 '이상'의 혜택을 받는 사람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6%가 아닌 10%가 되어야 합니다.
양질의 해설지 작성해주신 점 감사합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SNUMO입니다.
좋은 지적 감사드립니다.
1. 일탈을 규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있다고 보는 이론은 낙인 이론이다 → 일탈을 규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있다고 보는 이론은 뒤르켐의 아노미 이론, 머튼의 아노미 이론, 차별 교제 이론이다
2. ④ 중복 수혜자 중 사회 보험의 혜택을 받는 사람 수의 2배는 (1+2)*2=6이다 → ④ 중복 수혜자 중 사회 보험의 혜택을 받는 사람 수의 2배는 (1+2+2)*2=10이다
로 수정해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NUMO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