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9모 전문항 해설] 9월 모의평가 사회·문화 전문항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46192
2026학년도 9월 모의고사 해설_사회·문화.pdf
안녕하세요, “모두가 양질의 교육을 누릴 수 있는 세상”을 꿈꾸는 SNUMO입니다.
오늘 실시된 9월 모의평가 사회·문화 영역 해설지를 사회문화 팀의 KKH 님께서 작성해 주셨습니다.
수험생 여러분께 도움이 될 만한 풀이 아이디어와 접근법이 잘 담겨 있습니다.
해설지는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첨부 파일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모의평가를 통해 본인의 학습 상황을 점검하시고, 해설을 참고하시면서 사고 과정을 꼼꼼히 복습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앞으로도 SNUMO는 다양한 과목에서 해설과 자료를 꾸준히 제공해 드릴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시험 직후 빠르게 정리된 해설지인 만큼, 보완할 점이나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확인 후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NUMO 드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과탐 진짜 무섭다 10
평소에 얼마나 잘했던간에 수능때 한번 삐끗하면 바로 끝나겠네.. 실모 몇백개 풀어도...
-
작수 55점이었고 재수중입당 그렇게 물이라던 6모도 어려웠고 66점 맞았는데 9모는...
-
기빨리지 않나요 몸은 예전만 못한데 우주공강있으면 어디 있을곳도 마땅찮고 개강하고...
-
입시결과 2
6모 91 100 2 48 47 9모 100 89 1 50 50 수학 실수 이슈...
-
국어 1컷 다시 올라갔다 ㅋㅋㅋㅋ
-
왜 모든 강사들은 9모가 더 쉬웠다고 그럴까
-
수학 점수 변화 1
현역 확통임 백분위로 3모 88.2 5모 81.5 6모 92.0 7모 95.2 9모...
-
이거 대놓고 신발끈 쓰라고 낸줄 얼았는데 아니엿내.
-
심특 스블 1
심특이 스블이랑 결이 비슷한가요? 개념 설명 쫌 해주고 문풀 위주 강의??
-
독1틀 문2틀했는데 국어가 좀 불안해서 새기분 들을려하는데 ㅇㄸ? 지금 하기에...
-
머 추천하심??
-
홍보가 아니라 국어강사중 현장응시 하는 사람 거의 없지않음? 0
국현인가 ㄹㅈㄷ네 작수도 100 올해도 당당하게 현장응시 ㄷㄷㄷ 만약 올해도...
-
다들 지켜봐줘!!
-
뭔가 무서운데 이제 오르비 욕도 마음대로 못하는거아냐 ㅠㅠ
-
보통 연고서성한 공대 라인에서 영어 1이랑 2랑 차이가 어느정도인가요 수학으로 치면...
-
아 미적 29번 4
다시 봐도 ㅈ같네 여기서 시간을 얼마나 쓴거야
-
[강윤구T] 3등급에서 100점으로 가는 공부(9모 예시) 6
마지막 수학 학습 자체에 대해 답답함을 갖고 있는 3등급이상의 친구들에게...
-
국어 있잖슴 0
시간내에 다 풀긴 하는데 의문사를 많이당함 맨날 2등급 fix 느낌
-
사문 어렵네 4
특히 개념.. 사탐런한 이과 죽일려고 개념을 저렇게 내는건가
신문이 비공식적 사회화 '기관'인 이유가 뭔지..
안녕하세요, SNUMO입니다.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립니다!
사회학은 본래 서양에서 들어온 학문입니다. 따라서 사회학에서 쓰이는 용어를 번역할 때 일대일로 대응되는 단어를 찾다 보니 가끔씩은 한국에서 통용되는 뜻에서 벗어나 있는 단어들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아래 설명을 읽으시면 좋을 듯합니다.
‘기관’의 본래 단어는 ‘agency’인데, 사회학에서 agency는 개인이 가치, 규범, 행동을 학습하는 수단이나 장치를 의미합니다. 대중문화는 이 정의에 부합하기 때문에 agency라고 봅니다. 이때 Agency를 직역하면 기관이 되기 때문에 교과서에서도 대중문화를 ‘기관’이라고 설명한 것입니다.
사회학에서 기관이란 단어가 쓰이는 맥락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쓰는 맥락과 다르다는 점을 기억하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5번에서 ㄱ선지에 각각 추출한 1000명이 표본이여서 틀린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SNUMO입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해설을 ‘㉠은 A의 연구의 표본이다‘로 고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수고가 많으십니다. 해설지 작성하시던 중에 오류사항이 몇 가지 있는 것 같아 확인차 댓글 남깁니다.
1. 9번 문항의 해설 첫 번째 문단에서 일탈을 규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있다고 보는 이론은 낙인 이론이 아니라 이를 제외한 전부입니다. 오직 낙인 이론만이 일탈을 규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없다고 하였으니, 서술 도중에 실수가 있으셨던 것 같습니다.
2. 15번 도표 문항 4번 선지에서 중복 수혜자 중 사회보험(A)의 혜택을 받는 사람은 3%가 아닌 5%로 보입니다. 해당 문제의 조건에 중복 수혜자는 2개 '이상'의 혜택을 받는 사람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6%가 아닌 10%가 되어야 합니다.
양질의 해설지 작성해주신 점 감사합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SNUMO입니다.
좋은 지적 감사드립니다.
1. 일탈을 규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있다고 보는 이론은 낙인 이론이다 → 일탈을 규정하는 객관적인 기준이 있다고 보는 이론은 뒤르켐의 아노미 이론, 머튼의 아노미 이론, 차별 교제 이론이다
2. ④ 중복 수혜자 중 사회 보험의 혜택을 받는 사람 수의 2배는 (1+2)*2=6이다 → ④ 중복 수혜자 중 사회 보험의 혜택을 받는 사람 수의 2배는 (1+2+2)*2=10이다
로 수정해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NUMO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