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아카데미3 [1324093] · MS 2024 · 쪽지

2025-09-03 20:41:52
조회수 644

2025년 시행 고3 9월 모평 국어 총평(ft. 독서 지문분석 무료배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39631

(324.7K) [22]

2025년 시행 고3 9월 모평 국어 독서 지각부호화의 오디오 신호 압축 원리 분석.pdf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9월 3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가 실시되었는데요,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고3 9월 모평 국어 영역에 대한 총평을 다루고자 합니다:)


이번 9모의 문항 구성, EBS 연계율, 등급컷, 오답률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항 구성

문항은 작년 수능, 그리고 올해 6모와 아주 유사하게 구성되었습니다.

수능, 6모와 마찬가지로 독서 주제통합 지문이 4~9번인 두 번째 지문으로 배치되었고 문학 갈래복합 지문은 22~26번인 두 번째 지문으로 배치되었습니다.

단, 수능에서는 갈래복합이 6문항이 출제되었었는데, 6모와 9모에서는 갈래복합이 5문항 출제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문학 구성은 최근 출제 경향에서 벗어나지 않았지만, 기존의 출제 유형에서 일부 변형한 신유형이(독서 9번, 14번, 화작 40번, 45번)이 출제되어 낯설게 느꼈을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했습니다.




EBS 연계율

EBS 수능특강 교재와 연계된 부분은 위와 같습니다.

EBS 연계율 역시 최근 출제 경향에서 벗어나지 않고, 독서에서 3개 지문이, 문학에서 3개 작품이 연계되어 출제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전년도 수능, 올해 6모와 유사하게 출제되었고, 독서와 문학 모두 EBS 수능완성보다는 수능특강 교재에서 많이 연계되었는데요.

연계된 독서 지문 중 사회 지문은 거의 다른 지문으로 판단될 만큼 체감 연계율이 매우 낮았고,  

과학·기술 지문은 ‘축음기’라는 키워드가 겹칠 뿐 실상 이해해야 하는 내용은 ‘오디오 신호 압축 과정’이어서 체감 연계도가 다소 낮았습니다.

반면 연계된 문학 지문 중 고전소설인 <이화전>의 경우 수능완성에 수록된 지문이 그대로 나와 EBS 연계 학습을 충실히 수행한 학생들의 경우 큰 어려움이 없이 풀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등급컷

9월 3일 오후 8시 기준 등급컷입니다.(출처: EBSi)

등급컷은 역시 화법과 작문의 컷이 언어와 매체의 컷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1등급컷이 각각 92, 87인 것을 통해 변별력 있게 출제되었음을 알 수 있겠습니다.






오답률

순서대로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의 오답률 TOP 10입니다.

9월 3일 오후 7시 기준(출처: EBSi)

공통 과목에서 오답률 1위는 30번으로 문학 갈래복합 지문에서 나왔으며,

오답률 2위는 17번으로 독서 기술 지문에서 나왔습니다.

그리고 언어와 매체를 선택한 학생들 중에서는 38번의 오답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전문가들은 최근 출제 기조대로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은 없었으며

고난도 문항으로 예상되는 문항은 다음과 같다고 밝혔습니다.


-독서: 8, 17번

-문학: 21번, 24번

-화법과 작문: 39번

-언어와 매체: 38번


실제 오답률과 전문가들의 예상을 토대로 살펴보면 공통과목에서 가장 어려웠던 문항은 17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17번 문제를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문에 제시된 ‘주파수’, ‘소리 크기’, ‘최소가청강도’, ‘차폐 문턱값’ 등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여 <보기>에 제시된 표를 해석하는 문제였는데요.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지문의 핵심 원리들을 <보기>의 표에 적용해야 합니다.

  •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조건: 소리의 크기가 '차폐 문턱값'보다 커야 한다.

  • 비트 할당 원리: '소리 크기'와 '차폐 문턱값'의 차이가 클수록 더 많은 비트가 할당된다.

  • 임계대역 폭: 주파수가 높을수록(고음일수록) 임계대역의 폭이 넓어진다.


위 핵심 원리를 바탕으로 정답 선택지인 ⑤와 학생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오답 선택지인 ④를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⑤ 압축할 때는 C의 소리 크기보다 D의 소리 크기에 더 많은 비트가 할당되겠군.

  • 비트 할당량은 (소리 크기 - 차폐 문턱값)의 차이로 결정됩니다.

  • C의 경우: 63dB(소리 크기) - 38dB(차폐 문턱값) = 25dB

  • D의 경우: 55dB(소리 크기) - 6dB(차폐 문턱값) = 49dB

  • D의 차이값(49dB)이 C의 차이값(25dB)보다 크므로, D에 더 많은 비트가 할당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습니다.


④ A와 C의 차폐 문턱값이 같으므로 A가 포함된 임계대역의 폭과 C가 포함된 임계대역의 폭은 같겠군.

  • 임계대역의 폭은 차폐 문턱값이 아니라 주파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지문에 따르면 고음일수록 임계대역이 넓어집니다.

  • A의 주파수는 150Hz(저음), C의 주파수는 1,500Hz(고음)이므로, C가 포함된 임계대역의 폭이 A보다 훨씬 넓습니다.


지문에 '임계대역의 폭은 차폐음의 주파수에 따라 다른데'라고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차폐 문턱값'에 따라 '임계대역의 폭'이 결정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선후 관계를 분명히 알고 있었다면, 그리고 임계대역의 폭은 주파수가 높을수록 넓다는 것을 기억하고 있었다면 쉽게 풀 수 있었겠죠?


.

.

.

.

.


지금까지 9월 모의평가 국어영역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습니다!


요약하자면 지난 수능, 6모와 비슷하게 출제되었지만

킬러문항을 배제하면서도 변별력을 갖추어 출제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오답률이 높았던 17번 문항에 해당하는 독서 기술 지문의 분석 파일을 첨부하오니 여러분들이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첨부파일

2025년 시행 고3 9월 모평 국어 독서 지각부호화의 오디오 신호 압축 원리 분석.pdf

파일 다운로드

끝으로 여러분들의 취약점을 잘 보완하셔서 다가올 수능에서 좋은 결과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이상 나무아카데미였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