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요즘 물질만능주의가 문제라고 하면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24033
뭔가 서민적인? 가치관을 드러낸 콘텐츠나 댓글에는 반응이 우호적임
그렇다면 추구미가 소박함과 소소함인 것이 무조건 바람직하단 얘긴가
안분지족하는 선비들의 자세가 드러난 고전문학을 그토록 많이 배워서 그런가
근데 그런 선비들 중에도 정작 부자는 많지 않았나... 모르겠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말도안돼
-
그 찍기 툴이 생겨버림
-
수학 실모 2
9모 72점인데 약술 논술도 대비중이라 수능까지 수완+실모 꾸준히 오답까지 하는건 어떰
-
그냥 설 맞이나 풀어야 되나요
-
이게 옳게된 선진병영이지 ㅅㅅㅅㅅㅅ
-
최저 2합5 수능날에 가능할까요? 계속 맞춰왔는데 9모때 갑자기 성적이 너무...
-
저녁 머거야지 13
냉동치킨이랑 자장라면 훠훠
-
6장 중 5장은 정했는데 남은 한장을 연대 활우 반도체를 쓸지 서강 서류형 반도체를...
-
참고로 논술은 한 번도 안 해봤습니다.
-
진짜 풀세트 실모 뭐 있음?
-
집 가는 길인데 2
확실히 날이 선선하네요 한강에서 라면 한 사발에 치맥하면 딱 좋은 날씨
-
최지욱t vod 0
최지욱t 교점함수 차수논리 배우고싶습니다 다원에서 살수있다는데 시즌2부터 살수있다는대 뭘 사야하나요
-
[앵커] 직장을 그만둘 때 꼭 챙겨야 할 목돈, '퇴직금'이죠. 이 목돈을 한 번에...
-
260928은 같은 상황인데 미분가능만 준거 보면 260628에서 무지성 두번...
-
밤길에 가다가 밟을뻔 밟았으면 물리고 즉사했을거야
-
나 수학 11
못하지 않구나
-
맥 특징 멍청해서 배웠던거 맨날 까먹음
-
https://orbi.kr/00074559660/%EC%96%B4%EC%A0%9C%...
-
쪽지좀 주세요 아니면 노베,기본ver 차이 많이 나나요? 알려주세요 제발ㅠ 고2...
-
작년부터 자꾸 평가원에서 기하적 해석 저격하는 문제들 쏟아지는데 3
왜그러는거임? 사교육이 기하직관 딸깍한다 생각하는건가
-
입맛이 업어
-
지금 9평 성적으로 무료로 메디컬, SKY, 서성한 합격확률을 알고 싶다면? (그림...
-
다들 몇점임? 42점이면 ㅁㅌㅊ??
-
6평 2등급 9평 72점으로 3등급 찍어버림 고2때까지 90점대였는데 고3되고나서...
-
이번 물2가 빡세긴 했는데 시간이 모자라진 않았던게 6
역학 힘빼서 그런가봄 비역학강화 물리시험지에 더 강함
-
화작 확통 영어 사문 정법 92 80 89 39 39 수학은 15 21 22...
-
차분한 마음으로 다시 푸니까 귀신같이 잘 풀리네 하 머가 문제인가. 어떤 연습을 해야 하는가.ㅜ
-
작년엔 있었던 거 같은데 못 찾겠어서
-
매몰비용 개아까워서 최저충인데 적백 받을 거임 그동안 푼 수학 실모가 몇백갠데
-
why why why
-
답정너 질문이긴한데... 국수영 6모 232 9모 4(3?)23 나왔습니다...
-
운영자잡힌거아녓음?
-
여러분 학교에서 누가 제일 인기있나요?
-
어떻게 아무도 전화를 안 받냐
-
커넥션 수1 3
배송 받고 신나게 뛰어가다가 바닥에 내동댕이쳐서 표지 좀 까짐..싸게 구매하실분...
-
공공재인거 아니까 아예 6회차 안 만드나보네
-
크포 2주컷내고 2주동안 불법취득한 실모벅벅하면 1달안에 1등급되나요?
-
롯또지 0
롯데 또 진다는 뜻
-
설계 같이 하시는 분이 자기 전과생이라 잘 모르니까 알아서 해달라고 하시네요,,,...
-
영어닉은 20
처음인데 반가워요
-
병원가기싫다 주말에단과인데 병원 이틀정도 안가도 안죽겠지
-
아 수능날 죽어도 자극전파 안 고른다
-
다시, 작심삼일 6
작심삼일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람이 마음을 굳게 먹어도 그걸 유지하기는 참으로...
-
!!!!!
-
작수 화작 미적 영어 생윤 물1 5(53) 4(76) 6 4 5 6평 화작 미적 영...
-
리트 꼭 풀라는 분도 있고 수능이랑 괴리가 있어서 안좋다는 분도 있어서 헷갈리네요...
-
지1 19번 ㄷ현장풀이 13
원10개 내접시켜서 풀기 이게 맞냐 ㅋㅋ
-
개허수 0
이번 9모 국어(언매) 68 수학(확통) 77 진짜 개허수인데 시대 파이널 들으려고...
-
오르비 지운다 11
잠깐 차단사이트에 넣고 70일 참는다 돌아올 그날을 기다린다 수능 다맞아올게
서민적인 컨텐츠들에 우호적이라기보다는
단지 본인 소득 수준과 괴리된 과소비를 경계한다는 말이 더 맞음
국민 대다수가 200~300 버는 서민층들인 상황에서 차사고 명품사고 해외여행 가는게 당연시되는거보단 검소함이랑 합리적 소비를 장려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더 건강하다 보는데
그리고 님아 젊을때부터 소박하게 소비하면서 돈 아끼고 자산축적하는건 가치관이나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과 직결된 필수불가결한 부분임. 냉정하게 20대때 즐길거 다 즐기고 사고싶은거 다사고 30대 와서 돈 모으려면 그게 될거 같음? 소비습관은 높아져있고 3040되면 20대때보다 고정지출이 더 늘어나있을텐데?
본인 수준에 맞지 않는 소비는 경계해야 하는 게 맞는데
그 소득수준 자체를 높여보자는 생각은 할 수 있는 거잖음? 꼭 사치 때문이 아니라
근데 그런 높은 목표치에 대해서 인스타 보고 허영심이 생겨서 그렇다, 평범하게 사는 게 얼마나 어랴운데 이러면서 찍어누르는 것도 문제라고 보는 거임
그런 현상이 꼭 돈이 아니라 다른데서도 나타나는듯
인서울 하위권도 전국으로 따지면 15~20%? 정도밖에 못 간다고 알고 있는데
누군가는 작년 나같이 인서울 하위권에서 반수하려는 학생 보면서 전국 평균은 5등급인데 눈이 높아졌다 이럴 수도 있는 거임 ㅋㅋㅋㅋ 사실 우리나라에서 학벌로 그렇게 얘기하는 사람은 많이 못 보긴 했지만 그냥 예시로…
높은 목표, 자산수준을 이루길 지향하는 사람 치고 정작 그에 상응하는 노력을 하는 이가 극히 드무니까 그런거임. 부자가 되고 싶다고 말하면서 정작 재테크나 투자 관련된 공부는 고사하고 저축도 제대로 안하며, 일상생활에서의 짜잘한 소비들조차 통제 못하고 즐길거 다 즐기는 사람들이 태반이니까. 그런 사람들이 돈에 대한 개념과 현실감각 1도 없이 눈만 높다고 비판받는거임. 그리고 소득수준이 아무리 높아져봐야 소비수준도 덩달아 올라가면 하등 의미가 없다는걸 인지해야 됨. 어릴때부터 절약하는 습관을 들여야하는것도 향후 소득이 늘어났을때 자산축적을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함이고. 젊을때 쓸거 다쓰고 나중에 돈 모아보려는 사람과 20대때부터 일찍 저축하고 투자하면서 복리효과로 경제적 기반 다져놓은 사람 중 누가 부자될지는 너무 자명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