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국어 종종나오는 정보처리 tactics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17870
오이카와입니다.
![]()
오늘은 간단히 9평을 맞이해서, 수능국어에 종종 나왔던 정보처리 스킬로, 2x2 행렬 활용하기에 대해 살펴봅시다.
![]()
수능국어 본질은 정보처리시험입니다. 지문의 정보를 한정된 시간 안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문제에 적용하여 추론하는것이 출제의도입니다.
![]()
아직도 비문학을 이해하고 납득하려고 시간을 쓰는 안타까운 모습을 많이 봅니다. 빠르게 쟁점잡고 논리적 구조를 파악한 후 선지에서 쇼부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두 가지 축이 결합될 때, 트리 구조를 쓰는 것보다 행렬을 쓰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1 - 2019 6평 LFIA의 원리

이제 너무 낡은 기출이 되어버린 LFIA 키트 지문입니다. 위양성, 위음성, 양성, 음성과 함께, 사실 통계학적으로 꽤 흥미로운 주제에 대해 의문을 던지는 지문입니다.

이 지문의 경우, 머리로 이해하려고 애쓰기보다 빠르게 행렬을 그리는 것이 좋습니다. 민감도와 특이도는 분수인데, 이를 저는 네모와 동그라미 등으로 구분했습니다.

예시 2 - 2024 6평 공포 소구

윤석열 수능의 시작을 알린 지문이죠. 쉽습니다만, 여기서도 우리는 공통된 구조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과외의 흔적입니다. 이 지문 역시 2x2 행렬로 정리가 가능합니다.
예시 3 - 2024 수능 망해

이러한 정보처리 전략은 문학에서도 쓸 수 있습니다.
(솔직히 수필은 그냥 고문국역 비문학이지만 말이죠)
![]()
사실과 가치라는 이항대립과 함께, 행렬을 이용하여 정보를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시 4 - 2020 LEET 시간 여행
![]()
(시간 여행을 떠나는 오댕이와 오리비의 모습)
상당히 흥미로운 주제의 지문이었습니다.
간단히 정보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
매년 나온다고는 못하지만, 종종 나오는 스킬입니다.
또한, 이 방법은 무한한 확장이 가능합니다. 행과 열의 숫자를 조절하는 등의 방법을 고민할 수 있겠네요.
짧은 칼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9평 잘보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 13번 0 0
케이거 자연수인줄 알고 6 햇는데 저같으신분 잇으신가요뷰
-
하 전체 4틀 중 언매3틀 0 0
진쯔 개좆같네 90점 1등급 가능?
-
확통 96점 백분위 98일거 같음 99일거 같음 0 0
다 맞은줄 알고 싱글벙글했는디 22번 틀렸네 글고 21번 걍 특수가 답이라 겨우...
-
시발 ㅈ됬노 0 0
미적 2830 계산의 깊이 부족 15 계산실수 21 니미씨발 함수 잘못봐서...
-
언미 점수 0 0
84,85 개조졌네 ㅠㅠ
-
언매좀 해야겟다 0 0
ㅁㅊ
-
9모 0 0
75 88 2(?) 45(?) 47(?) 씨발.
-
미적 88 공2 미1 0 0
백분위 몇 뜰까요
-
작년 정법의 악몽이 떠오르네 0 0
1컷 47vs48 2컷 45vs44 계속 생중계 되는거 재밌었는데
-
지구는 개념이 생소한 게 나온 게 체감이 큰건가 3 0
으렵네
-
현역 9모 좆됨 0 0
국어 ㅡ 시간관리 못해서 마킹 거싀 못함 수학 ㅡ 13번틀리고 기하 27부터 다틀림...
-
생1 45점 0 0
-
확통에서만 두개 틀렸네요 0 0
수학 공부시간 절반 넘게 통통에 가져가는데 절망스럽네
-
진짜 지랄하지마 시발 0 0
개씨발 아니씨발
-
내가알던 확통과 사문이아니네 0 0
설맞이사야겟네
-
지구 ㅅㅂㄹ 0 0
지구 ㅅㅂ 저만 시간 모자랐나요?
-
흠...
-
아니 기하 0 0
ㅅㅂ 더프만 어려운 줄 알았는데 기하한테 개터짐
-
지금 탐구 빼고 답지 다 뜸? 0 0
ㅈㄱㄴ.. 아니 폰 로딩이 아예안되는데?
-
9모 모고에서 쳣는데 0 0
모교보프 받아서 매교시 끜나고 담타 ㅋㅋ수월해서 좋노











캬
매트릭스 정리는 역시 대종평
오 유대종선생님께서 이 내용 가르치시나요?
넹
스앵님은 지문읽을때 표기하면서 읽어야한다고 생각하시나요? 제가 원래 지문에 표시안하고 한번읽고 가서 문제다푸는 편이엇는데 요즘 지문에 체크하면서 읽으니까 이해도 떨어지고 선지랑 지문왔다갔다하는거같아서요..ㅠ
어디까지나 도구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작업을 할 때 끌과 망치를 사용하면 좋은 것이지, 그것을 꼭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죠. 다만 사용해서 효율적 작업이 가능하다면, 그 방법을 익혀 사용하면 될 뿐입니다. 수능국어는 행동이나 태도를 교정해서 정복할 수 있는 시험이 아닙니다.
경제나 인문지문중에 인식 프레임이 여러개(3개이상)나오는 구조에서는 어떤식으로 정보처리하시나용
함수적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아요. 또는 트리 구조도 쓸 수 있죠.
아 그니까 읽으면서 적으면서 정리하는지가 궁금했는데 말을 이상하게햇네요.
아 넵
지문 위에 구조를 표시하기도 하고, 따로 여백에 메모하기도 합니다.
이해하려 하지 않고, 정보를 정확히 도식화하는것에 집중합니다.

반갑카와일해라 심심한
검토해 빨리 뭐하는거야
알겟슨,.
(답글이 더 안달려서아래 적습니다 )저두 이원준선생님들으면서 시도하는데 잘안되기도하고 그래서 자꾸 원래하던데로 돌아가는거같아서.. 정보처리식으로 읽어도 정답률 떨어지거나 하진않나요…?
전혀 문제 없습니다.
큰부끄러움 작은부끄러움 큰즐거움 작은즐거움에도 써먹을 수 있겠군요

언제 기출이던가요?21 9평 고전운문이요!
이분이 그 오이카와 그분이었구나
+2506 이대봉전에서 인물관계 파악이랑 상황 파악이 전혀 안되는데 좀 팁좀.. ㅠ
나중에 한번 써 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