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니 심지어 20분?도안걸렸음,, 개빨리 풀고 검토만 몇번을 했는데 9모...
-
아직도 눈물난다 국어는 작수 96점받고 지금까지 한번도 96점보다 잘본적이 없어서...
-
사문러들와바 3
이번에 어려웠어? 등급컷얼마예상?
-
ㄹㅇ 자기위로가 아니라 그동안 다들 한 번은 사설, 교육청, 평가원 중 커하 찍은...
-
넵. 6모랑은 아직 성적표 안나와서 잘 모르겠고 일단 작수때보다는 잘본거 같으니깐 잘하고 있는거겠지
-
삽입이랑 요약문 답이 다 이상해서 장문으로 못넘어감
-
ㅠㅠㅠㅠ
-
무려 1점 떨어짐 시발
-
진짜 뭐냐??? 난 갠적으로 대성,이투스,종로>>>>>>>>>>메가라 본다
-
평이?
-
OMR 인쇄소가 바뀐건지 색감이 달라짐
-
그냥 평소에도 웃음이 많음
-
6잘9망수잘 ㄱㄱ
-
오늘부터 2
언매 문학 확통에 올인. 사탐 버려.
-
ㅇㅇ
-
진짜 사설이랑 유사함 사설이렁 구분하라고하면 못하겠음 문제에서 물어보는거랑.. 사설양치기해야겟담..
-
시간너무안가네 2
이제집가야할거같은데 왤케많이남았지..
-
수학왜이러지ㄹㅇ죽고싳네확통3개틀리고
-
수능때 이거 ㄹㅇ 큰거 올듯
-
이제 몇년 지나면 왜 .5가 나오냐고 하면 틀 소리 듣겠네..
그래서 [주서] 먹는다 이리 말하는 걸까요 으하하

정답. 방언은 보수적인 어휘를 간직합니다.찌찌뽕
아니 그럼 ‘줏어‘라는 사투리가 원래 맞는 말이었던 건가
딩동댕
현대국어에선 '주섬주섬' 같은 극히 제한적인 단어에만 남아 잇으
그럼 언제부터 줍다가 된 건가요
18세기에 '줍-'이 등장하는데 '줏-'과 19세기까지 경쟁하다가 언중이 '줍-'을 채택하면서 '줏-'은 사투리가 됩니다.
씻어를 [씨처]라고 발음하는 사투리가 있던데 혹시 이거도 비슷한 경우인가요.??
그건 좀 어렵습니다. '줏다~줍다'는 활용형을 오해했다는 점에서 소위 말하는 "어간 재구조화(어간을 새롭게 인식함)"라는 것인데, '씻다~씿다'는 활용형을 오해해서 만들어졌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어중 ㅊ은 ㅈㄱ 연쇄에서 발달했다고 설명하는데(ㅈ+ㄱ>ㅈ+ㅎ>ㅊ; ㄱ이 ㅎ으로 약화함) 그렇다면 '씿다'는 '*씾그다' 따위에서 온 말일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씻다'는 '씾다'에서 8종성법(ㅈ을 ㅅ으로 표기하는 표기법. '곶(꽃)'을 '곳'으로 표기함)을 적용한 표기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문제는 '씻다'는 15세기 문헌부터 ㅅ으로 연음됐다는 것입니다.
정확한 설명을 잘 모르겠습니다.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그래서 주서먹는다는 말을 쓰는거군요..사투린가?
맞습니다. 사투리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