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거를태울땐시간을너네와달리해
-
수학 난도 오떰 0
공통은 또 쉬움? 불미적 평가하 물확통인가
-
다들 꼭 시험 잘보십셔 낼 봅시다
-
한국사어캄 2
7등급받기싫음ㅅㅂ
-
보조사 격조사 구별도 좀 빡세네
-
2컷 예상하고 가주시면 감사하갯습니다
-
흐흐흫ㅎ나좀좋아해줘
-
3번 아니에요?????
-
내가 3이라 써놓고 나중에 5라읽음 내가 7이라 써놓고 나중에 11이라 읽음...
-
ㅇㅇㅇㅇㅇㅇㅌ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
빈순삽 답 공유좀
-
영어 망해도 됨 0
뛰어내리면 그만이야
-
배고픈데 2
지금 먹기에는 늦었겠지..
-
9모때 1
점심 꼽껴서 먹어도 되려나? 작년 졸업생이라 다 얼굴 이긴 할텐데
-
국어4틀인데 2개 화작이고 이씨발수학년은 공통3개나가리 아오씨발진짜
-
푼 거 4개 틀리고 3지문은 다 틀림 기분 좋아야하나
-
프장 꼬라지 보고 못자는거 보면 9월이 어찌될지 훤히 보이네요
-
28 1
작년 9모만점이 2로찍으라는데
-
지금 야동 보면 1
낼 9몬데 뇌 망가짐? 안 됨?
-
평가원이 사설틱하게 내는건지 뭔가 문제들이 낯설지가 않음 어디서 본 느낌
그래서 [주서] 먹는다 이리 말하는 걸까요 으하하

정답. 방언은 보수적인 어휘를 간직합니다.찌찌뽕
아니 그럼 ‘줏어‘라는 사투리가 원래 맞는 말이었던 건가
딩동댕
현대국어에선 '주섬주섬' 같은 극히 제한적인 단어에만 남아 잇으
그럼 언제부터 줍다가 된 건가요
18세기에 '줍-'이 등장하는데 '줏-'과 19세기까지 경쟁하다가 언중이 '줍-'을 채택하면서 '줏-'은 사투리가 됩니다.
씻어를 [씨처]라고 발음하는 사투리가 있던데 혹시 이거도 비슷한 경우인가요.??
그건 좀 어렵습니다. '줏다~줍다'는 활용형을 오해했다는 점에서 소위 말하는 "어간 재구조화(어간을 새롭게 인식함)"라는 것인데, '씻다~씿다'는 활용형을 오해해서 만들어졌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어중 ㅊ은 ㅈㄱ 연쇄에서 발달했다고 설명하는데(ㅈ+ㄱ>ㅈ+ㅎ>ㅊ; ㄱ이 ㅎ으로 약화함) 그렇다면 '씿다'는 '*씾그다' 따위에서 온 말일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씻다'는 '씾다'에서 8종성법(ㅈ을 ㅅ으로 표기하는 표기법. '곶(꽃)'을 '곳'으로 표기함)을 적용한 표기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문제는 '씻다'는 15세기 문헌부터 ㅅ으로 연음됐다는 것입니다.
정확한 설명을 잘 모르겠습니다.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그래서 주서먹는다는 말을 쓰는거군요..사투린가?
맞습니다. 사투리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