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기출을 언제까지 해야할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88960
안녕하세요 만31 저자 세현입니다.
질문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출 관련 질문에 대한 답을 해보려고 합니다.
“기출은 1회독이면 충분한가요?”
“기출을 끝낸다는 말이 무슨 말인가요”
등등 …
“기출을 끝낸다” 는 말은, 제가 생각하기엔
기출에서 등장한 아이디어 등을 암기하고, 어떤 발문이나 조건이 나왔을 때 그것을 직관적으로 해석하고 & 케이스를 분류하는 것입니다.
저는 수학이 어느 정도는 암기라고 생각합니다.(70퍼 정도)
구체적으로 문제 예시를 한 번 들어보도록 하죠
기출입니다.
문제를 풀기 전, 어떤 생각이 들어야 할까요?
a가 3루트5가 아니니, “특수한 지점”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f(x)는 최고차항이 “음수” 인 이차함수이고,
g(x)는 “미분가능” 한 함수네요.
결국 구해야 하는 것은 a, f(x) 겠습니다.
여기까지가 조건을 눌러서 읽는 단계입니다.
문제의 조건, 특징들을 눌러서 읽고 파악합니다.
구하는 것을 좁힙니다.
다음은 풀이를 전개해 봅시다.
(가) 조건을 사용해야 하겠죠? 범위 내의 함수는 각각 미분 가능하므로
우리는 x=0에서만 조사를 하면 되겠습니다.
f(x)의 최고차항 계수를 p라고 “스스로 정의” 하면, 문제가 한껏 가벼워졌습니다.
이제 (나) 조건을 이용합시다.
g’(x)과 g’(x-4) 사이의 관계는 평행이동이겠죠?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래프 관점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수학은 계산과 그래프 관점을 고루 익혀야 합니다. (치우치면 x)
서로 다른 4개의 해를 가지려면, 각각 두 개의 겹치지 않는 해를 가지면 되겠죠? 그럼 그래프는 저렇게 생겼을 겁니다.
하지만 이를 식으로 풀어냈을 때, a= 3루트5 가 나와 모순이 생깁니다. (모순도 스스로 파악해야함)
그럼 다른 상황을 생각해봐야겠죠, 두 개의 해가 겹칠 때를 생각해 봅시다. 모순이 없죠?
그럼 이제 이 “그림을 식으로 정확히 옮겨야” 합니다. (얘도 연습 많이하셔야 합니다)
이것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이 그림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두 가지입니다.
1. 이차함수의 두 근 사이의 거리가 4이다.
2. g’(x) 에서 일차함수가 만나는 지점과 이차함수의 해가 만나는 지점의 거리도 4이다.
여기서 고1 수학이 들어오네요. 근계수를 활용하고, 축의 방정식을 고려하면 a가 나옵니다.
나머지는 착착 진행되겠네요.
느끼셨나요? 기출을 익힌다는 것은 위 풀이에서 사용된 아이디어와 테크닉을 접하고, 체화하는 것입니다.
이 조건이 나오면 이렇게 이용해야 하는구나, 모든 케이스를 다 알고는 있어야 하는구나. 그림을 식으로 정확히 나타낼 때 어떤 것들을 조심해서 해야 하는구나. 등이요.
이 경험치들이 3-5개년 기출로 적립이 되셨다면, 기출을 끝내신 겁니다.
기출을 끝낸 뒤에는 새로운 문제로 적용하는 연습을 해야겠죠!
새로운 문제를 풀고 막히면 기출로 돌아오지 말고, 계속 새로운 문제를 푸시길 바랍니다. 그 과정에서 추론이 길러집니다.
다음 칼럼에선 추론을 기르는 방법으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만31 저자 세현이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snupe_or
-
맞다면 정시 안 돌릴 이유는 없는데 오히려 개정 수능 때 n수생 몰렸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어서
-
한 십만 덕코 주고 전문항 해설 시키고 싶다
-
-국어 수완 가져갔는데 펼쳐보니 모고 반회분이 채점이 안되어있던 것 (그자리에서...
-
대성pc 0
아니 대성마이맥 인강 pc로 보면 스킵 1분고정임? 어딜 봐도 바꿀 수 있는곳이...
-
내일할거 8
씻기 비빔면먹기 가챠샵가기 만화카페가기 카페가서 망빙파르페먹기 쇼핑하기 오락실가기...
-
작수 수학 5-8, 16-19번 푸셈 예열 읽는 것보다 저거 푸는게 예열 훨 잘됨 ㅋㅋ
-
오늘 개강임? 4
몰랐다하고 다음주부터 가면안되는거?
-
명곡이네요
-
전작권 바칠때 1
걍 전부다 바쳤어야지 어쩌면 한국의 미래가 바뀔수도 있었는데 시발
-
이러면 안 되는데
-
내돈 내면서 듣는 중인데 슬슬 수능 치려고 모아둔 돈 바닥 나는중
-
빵 말고 좀 더 귀화가 덜 된 말로 하면 좋을 텐데
-
국어는 더프 다 1등급 수학은 점수 올랐고 영어는 감 확실히 잡은 상태고 지1만...
-
케바케긴하겠지만 애매하네 풀면 확실히 뇌가 깨는 기분인데 에너지를 괜히...
-
시발 에어컨 없다고 빨리 시원해지셈;;
-
있는건 작년부터 알았는데 어차피 현강이랑 다르겠지, 피뎁있는데 굳이 라는 생각에...
-
과탐 두과목 응시 제한 학교들은 좀 상대적으로 호재인가 5
사탐런 여파가 상당히 궁금하네
-
근데 그럴만한게 씨발 여기는 온갖 병신같은 불합리가 너무많음 다 나열이 귀찮을정도로...
-
9월 특 3
가을이라는데 시발 존나 더움
-
빵을 안먹으면 되잖아??
-
9월 1일? 0
1939년 "독일의 폴란드 침공"
-
포카랑 앨범 매물 한 35-40% 정도 되팔이 완료했는데 쓴돈 25% 정도 복구됨...
-
8개월 전만 해도 새해 카운트다운하고 술 마시러 갔는데 2
왜 벌써 9월?
-
ㅈ간지 0
주간지
-
직독직해하는 영어 강사 누구죠?
-
난 돌 잡이 때 1
돌 잡음
-
사랑해 옵붕아 1
움
-
그래서 하나도 제대로 성공 못 하나
-
안녕히 주무세요 10
오늘은 일찍 자러 갈게여
-
하
-
ㅅㅂ 찐 무휴반 시작이구나
-
올해도 얼마 안 남음...
-
열아홉살의 2
-
그냥 정시로 가는게 맞으려나 1학기를 너무 조져서 계속 계산해봤는데 안된다가 정배인...
-
내나이2x 고졸 사업어쩌구어쩌구다 뭐 어쩌구 좋은 어쩌구 전설의 어쩌구에게 같이...
-
개학하고 교복을 하루도 안입고갔더니 그거 담당하는 쌤이 한번더 안입고 오면 선도 보내겠다고 햇음
-
8월이 끝났다공
-
수능을 여러 차례보는 망령이 되어버림
-
함수의 극한: 8번 미분: 2,15,16번 적분: 3번 이 문제들은 제가 만든 문제입니다
-
아이고
-
9월이라고? 2
말도안돼 ㅅㅂ
-
8월섭종 봤으니 7
이제 슬슬 코코낸내해야겟다
-
사문만 판다고 했을 때..
-
애인자러감 원래도 많이 하지 않았냐는 나쁜말은 ㄴㄴ
모든 케이스를 다 알아야 한다는 저 문제의 케이스를 말하는 건가요? 다른 문제에 접할때 케이스를 모두 파악을 해야 한다고 말하는 건가요?
음 예를들어 저 문제에서는, (나) 조건을 해결할 때 나올 수 있는 모든 케이스는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혹시 기출 풀때 너무 얻어 걸려서 케이스를 때려 맞췄다고 생각하면 나중에 기출 분석할때 케이스를 정리하는 거에만 멈추지 않고 놓친 발상,다르게 볼 수도 있는 관점을 암기하는 게 맞는 방법인가요?
옹 네 그런거 정리하면 도움 많이 될거예요.
노트패드에 생각하지 못한 부분 해서 적어놓고 복습 시기 맞춰서 보세요
예를 들어 sina:sinb=1:3이다 같은 게 문제 상황에 나오면 그거에 대한 강령을 정하는 거도 좋나요? 이건 너무 암기 같은데..
아뇨 그런것도 적으세요! 생각 허들 낮추는 것도 도움이 많이 돼요. 속도가 빨라지면 정확도도 좋아집니다.
알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31세라고요? 유튜브 보면 고딩 얼굴인데
엥 제 책이 [만년 3등급이 1등급 받은 수학공부법]이라 줄여서 만31 로 줄여서 부른 거에요!!
아 만31세인 줄 알앗음요…ㅋㅋㅋㅋㅋㅋㅋ
ㅜㅜ 아니에요
와 정말 제 생각과 완전히 일치하시는 것 같아 반갑습니다!
개인적으로 수능수학을 대비하는 데 있어 기출을 저자님처럼 사고를 전부 정립해놓으면 N제나 실모가 크게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실모 대신 교육청을 세트로 푸는 것으로 대체했을 때)
학생들이 너무 컨텐츠에 집착하는 현 시점에서 이런 칼럼은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ㅎㅎ
헉 .. 감사해요!! 저희 콜라보 해도 좋을 것 같아용ㅎㅎ

그림을 컴퓨터로 그리셨나봐요ㅠㅠ
기출은 3개년~5개년 회독만으로 충분하다고 보시는 편인가요? 나형기출까지 권하는 분들도 많더라고요
시간 되면 나형도 하세요 역순으로 ㄱㄱ